한국의문화유산550 충남 당진 안국사지 석조여래입상 보물 제100호 당진 안국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 (唐津 安國寺址 石造如來三尊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 3구 지정(등록)일 : 1963.01.21 소재지 : 충청남도 당진시 원당골1길 188 (정미면) 시 대 : 고려시대 안국사는 안국산(일명 은봉산)에 위치한 폐사지(廢寺地)로 1929년에 다시 세웠다고하나 또다시 폐사되었다. 이곳에서 200m쯤 떨어진 곳에 높이 5m에 가까운 큰 석불입상이 있다. 머리에는 커다란 사각형의 갓을 쓰고 있으며, 얼굴은 신체의 비례상 어색하게 큰 편이다. 불상의 몸은 대형화되었는데 인체의 조형성이 감소되어 네모난 기둥같은 느낌을 준다. 또 몸과 어울리지 않게 팔과 손을 붙여 비현실적인 모습을 하고 있다. 오른손은 가슴에 대고 있으며, 왼.. 2021. 8. 25. 충남 아산 영인석불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영인석불 (靈仁石佛)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 1구 지정(등록)일 : 1984.05.17 소재지 :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아산리 615 시 대 : 미상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아산리에 위치한 석불입상으로, 화강암에 높이 265㎝, 너비 87㎝로 조각하였다. 목에 시멘트로 보수한 흔적이 있는데, 전하는 말에 의하면 청일전쟁 때 목이 절단된 채 방치되다가 1945년에 보수한 것이라 한다. 머리에는 관(冠)을 쓰고 있으며, 계란형의 얼굴은 양 볼이 통통하게 표현되었다. 당당한 체구에 옷은 왼쪽 어깨만을 감싸고 있는데 옷주름은 마멸로 인해 자세히 보이지 않지만, 배 아래에는 옷주름을 표현한 흔적이 보인다. 왼손의 손바닥에는 동그란 구슬이 올려져 있으며, .. 2021. 8. 24. 충남 아산 관음사석조여래불상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33호 명 칭 : 관음사석조여래불상 (觀音寺石造如來佛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량/면적 : 1구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아산시 영인면 영인로96번길 16-6 (아산리)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아산리 관음사에 있는 불상으로, 하나의 돌에 불신, 광배(光背), 대좌(臺座)를 조각하였다. 높이 320㎝, 폭 110㎝, 두께 18㎝이다. 얼굴은 둥글고 풍만하여 자비심이 느껴지는데, 이마에는 작은 구멍이 뚫어져 있다. 당당한 어깨를 모두 감싸고 있는 옷에는 아무런 무늬도 표현하지 않았다. 오른손을 쭉 뻗어 허벅지 부근의 옷자락을 가볍게 잡고 있으며, 왼 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대어 오른쪽 가슴에 대고 있다. 연꽃잎이 새겨진 대좌 위에 .. 2021. 8. 23. 충남 예산 이남규선생고택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이남규선생고택 (李南珪先生故宅) 분 류 :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면적 : 3동 지정(등록)일 : 1976.07.07 소재지 : 충남 예산군 대술면 상항리 국가지정문화재 중요민속문화재 제281호 '예산 수당고택'으로 승격 지정되어 지정해제.(2014.02.25.문화재청고시) 자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이남규선생고택 2021.06.26 2021. 8. 20. 충남 예산 상항리석불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예산상항리석불 (禮山上項里石佛)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 1구 지정(등록)일 : 1976.10.14 소재지 : 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 상항리 산 25-2 타원형의 평평한 돌에 새긴 것으로 마애불과 비슷한 형식의 불상이다. 둥글넓적한 얼굴에 눈과 입을 가는 선으로 작게 표현했지만 미소를 띠고 있다. 몸은 입체감 없이 평면적이며 양 어깨는 둥글게 처리되었다. 양 어깨에 걸쳐 입은 옷에는 계단식의 옷주름을 투박하게 나타냈고, 가슴과 배 아래에 띠매듭이 있다. 앉은 자세는 양 발을 무릎 위에 올리고 발바닥이 하늘을 향한 모습인데, 오른발의 처리가 조금은 어색하다.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광배(光背)는 선으로 표현하고 있다. 머리광배 좌우에 각각.. 2021. 8. 20. 전북 익산 미륵사지당간지주 보물 익산 미륵사지 당간지주 (益山 彌勒寺址 幢竿支柱)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당간 수량/면적 : 2기 지정(등록)일 : 1963.01.21 소재지 : 전북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 93-1, 79, 80-2 시 대 : 통일신라시대 당간지주는 사찰 입구에 세워두는 것으로, 절에서는 행사나 의식이 있을 때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깃발을 걸어두는 길쭉한 장대를 당간이라 하며,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미륵사터의 남쪽에는 2기의 지주가 약 90여 미터의 간격을 두고 서 있는데, 크기와 양식, 조성수법이 같아 같은 시기에 세워진 것으로 본다. 지주를 받치는 기단부(基壇部)는 완전히 파괴되어 대부분이 땅속에 묻혀있는 상태이며, 약간만이 드러나서 그 원모습.. 2021. 7. 8. 충남 서산 동문동당간지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96호 서산동문동당간지주 (瑞山東門洞幢竿支柱) 분 류 : 유적건조물 수량/면적 : 1기/1 지정(등록)일 : 2008.04.10 소재지 : 충청남도 서산시 동문동 832-34 동문동에 소재한 오층석탑과 당간지주가 위치한 이곳은 고려시대에 큰절이 있었다고 해서 지금도 이곳을 대사동(大寺洞)이라고 부른다. 당간지주의 간대(竿臺)는 중앙에 간을 받치는 부분을 직경 20㎝ 정도로 파고 기둥자리의 원자(圓座)를 양각하였다. 장식적인 의장이나 아무런 조각이 없으며 1개의 통석으로 비교적 작고 소박하게 조성된 것으로 보아 고려 말에서 조선초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96호 서산동문동당간지주 2021.06.16 동문동 당간지주 이전글보기 2.. 2021. 6. 28. 충북 청주 동화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68호 청주 동화사석조비로자나불좌상 (淸原 東華寺 石造毘盧遮那佛坐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90.12.14 소재지 :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척산화당로 444 충청북도 청원군 남이면 동화사의 대웅전 안에 주존불(主尊佛)로 모셔져 있는 불상이다. 높은 대좌(臺座) 위에 앉아 있으며, 부러져 있던 목을 잘못 복원하여 머리가 오른쪽으로 약간 틀어져 있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그 위로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솟아 있다. 얼굴 모습은 많이 닳고 전신에 금가루를 칠하여 원형을 알아보기가 어렵다. 양 어깨에서부터 흘러내린 옷은 가슴 앞에서 U자 모양의 주름을 이루면서 좌우대칭으로 처리되어 무릎을 감.. 2021. 6. 24. 충남 아산 도고면 농은리장승 충남 아산 농은리 장승 2021.06.09 2021. 6. 23. 이전 1 ··· 5 6 7 8 9 10 11 ··· 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