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문화유산555

[경북]경주 골굴암마애여래좌상 종 목 : 보물 제581호 명 칭 : 경주 골굴암 마애여래좌상 (慶州 骨窟庵 磨崖如來坐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 량 : 1좌 지정일 : 1974.12.30 소재지 : 경북 경주시 양북면 안동리 산304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경주시 기림사 골짜기에 위치한 골굴암의 높은 암벽에 있는 자연굴을 이용하여 만든 12개의 석굴 중 가장 윗부분에 있는 마애여래좌상이다. 조선시대 겸재(謙齋) 정선이 그린 ‘골굴석굴’에는 목조전실이 묘사되었으나 지금은 바위에 흔적만 남아있다. 민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높이 솟아있고, 윤곽이 뚜렷한 얼굴은 가늘어진 눈·작은 입·좁고 긴 코 등의 표현에서 이전 보다 형식화가 진전된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입체감이 두드러진 .. 2013. 6. 4.
[경기]수원 화성 수원화성의여명 2012.11.17 문현준 수원화성 이전글보기 2011/11/14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경기]수원 화성 화홍문 2011/11/15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경기]수원 화성 2011/11/15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경기]수원 화성일몰 2012/06/20 - [한국의문화유산/경기권] - [경기]수원 화성의 낮과밤 2013. 5. 5.
[서울]종로 창경궁 창경궁 2012.11.11 문현준 2013. 5. 4.
[서울]종로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종 목 : 국보 제101호 명 칭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原州 法泉寺址 智光國師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서울 종로구 세종로 1 경복궁 내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국립중앙박물관 이 탑 고려시대의 승려 지광국사 해린(984∼1070)을 기리기 위한 것으로, 원래 법천사터에 있던 것인데 일제시대에 일본의 오사카로 몰래 빼돌려졌다가 반환되었으며, 현재는 경복궁 경내에 있다. 일반적으로 통일신라 이후의 탑이 8각을 기본형으로 만들어진 것에 비해, 이 탑은 전체적으로 4각의 평면을 기본으로 하는 새로운 양식을 보여준다. 바닥돌은 네 귀퉁이마다 용의 발톱같은 조각을 두어 땅에 밀착된 듯한 안정감이 느껴지.. 2013. 5. 4.
[충남]공주 마곡사 명부전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64호 명 칭 : 마곡사명부전 (麻谷寺冥府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 량 : 1동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567 시 대 : 일제강점기 소유자 : 마곡사 관리자 : 마곡사 문 의 : 충청남도 공주시 문화재관리소 041-840-2814 마곡사는 백제 무왕 41년(640)에 자장율사가 세웠다고 전한다. 절 경내에는 명부전을 비롯하여 대웅전, 영산전, 대광보전, 홍성루 등 많은 건물이 남아 있다. 명부전은 지장보살을 중심으로 좌우에 명부시왕상을 모시고 있어 지장전·시왕전이라고도 한다. 지장보살은 모든 인간을 교화시키는 역할을 맡았으며, 시왕은 염라대왕을 비롯한 10명의 지옥 심판관이다. 자 료 : 문화재청 .. 2013. 5. 3.
[전북]전주 풍남문 종 목 : 보물 제308호 명 칭 : 전주 풍남문 (全州 豐南門)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곽시설 수 량 : 면적 1동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전북 전주시 완산구 풍남문3길 1 (전동)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전주시 읍성은 지방행정의 중심지가 되는 고을을 둘러쌓았던 성을 말한다. 옛 전주읍성의 남쪽문으로 선조 30년(1597) 정유재란 때 파괴된 것을 영조 10년(1734) 성곽과 성문을 다시 지으면서 명견루라 불렀다. ‘풍남문’이라는 이름은 영조 43년(1767) 화재로 불탄 것을 관찰사 홍낙인이 영조 44년(1768) 다시 지으면서 붙인 것이다. 순종 때 도시계획으로 성곽과 성문이 철거되면서 풍남문도 많은 손상을 입었는데 지금 있는 문은 19.. 2013. 5. 2.
[전북]전주 전주향교 종 목 : 사적 제379호 명 칭 : 전주향교 (全州鄕校) 분 류 :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교육기관/ 향교 수 량 : 면적 10,357.4㎡ 지정일 : 1992.12.23 소재지 : 전북 전주시 완산구 교동 26-3외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전라북도 향교재단 향교는 유학교육과 인재양성을 위해 지방에 설립한 교육기관이다. 이 향교는 고려시대에 세웠다고 하는데 정확한 기록은 없다. 당시에는 조선 태조의 영정을 모신 경기전(사적 제339호) 근처에 있었으나, 향교에서 들려오는 소리가 시끄럽다하여 전주성 서쪽 황화대 아래로 옮겼다 한다. 지금 위치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겪은 뒤, 관찰사 장만이 옮긴 것이다. 현재 이 향교에는 여러 훌륭한 분들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전라북도유형문화재 제7호)을 비롯해.. 2013. 5. 2.
[전북]전주 전동성당 종 목 : 사적 제288호 명 칭 : 전주 전동성당 (全州 殿洞聖堂)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천주교/ 성당 수 량 : 면적 679㎡ 지정일 : 1981.09.25 소재지 : 전북 전주시 완산구 태조로 51 (전동) 시 대 : 일제강점기 소유자 : 재단법인전주교구천주교회유지재단 천주교 신자들을 사형했던 풍남문 밖에 지어진 성당이다. 프랑스 신부인 위돌박이 설계·감독을 하였고 1914년 완성되었다. 회색과 붉은색 벽돌을 이용해 지은 건물은 겉모습이 서울의 명동성당과 비슷하며, 초기 천주교 성당 중에서 매우 아름다운 건물로 손꼽힌다. 비잔틴 양식과 로마네스크 양식을 혼합한 건물로, 국내에서 가장 아름다운 건축물로 꼽힌다. 자 료 : 문화재청 사적 제288호 전주 전동성당 2012.11.06 문현준 2013. 5. 2.
[전북]전주 경기전 종 목 : 사적 제339호 명 칭 : 전주 경기전 (全州 慶基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제사유적/ 제사터 수 량 : 면적 49,590㎡ 지정일 : 1991.01.09 소재지 : 전북 전주시 완산구 풍남동3가 102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전주시 조선 태조 이성계의 초상화를 모신 곳이다. 태종은 1410년 전주·경주·평양에 태조의 모습을 그린 초상화를 모시고 어용전이라 하였다. 그 후 태종 12년(1412)에 태조 진전이라 부르다가 세종 24년(1442)에 와서 전주는 경기전, 경주는 집경전, 평양은 영흥전으로 달리 이름을 지었다. 경기전은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광해군 6년(1614)에 다시 고쳐 지었다. 건물의 구성은 본전·헌·익랑 들로 이루어져 있고 이를 내삼문과.. 2013. 5.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