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문화유산550

[서울]종로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종 목 : 국보 제101호 명 칭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原州 法泉寺址 智光國師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서울 종로구 세종로 1 경복궁 내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국립중앙박물관 이 탑 고려시대의 승려 지광국사 해린(984∼1070)을 기리기 위한 것으로, 원래 법천사터에 있던 것인데 일제시대에 일본의 오사카로 몰래 빼돌려졌다가 반환되었으며, 현재는 경복궁 경내에 있다. 일반적으로 통일신라 이후의 탑이 8각을 기본형으로 만들어진 것에 비해, 이 탑은 전체적으로 4각의 평면을 기본으로 하는 새로운 양식을 보여준다. 바닥돌은 네 귀퉁이마다 용의 발톱같은 조각을 두어 땅에 밀착된 듯한 안정감이 느껴지.. 2013. 5. 4.
[충남]공주 마곡사 명부전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64호 명 칭 : 마곡사명부전 (麻谷寺冥府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 량 : 1동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567 시 대 : 일제강점기 소유자 : 마곡사 관리자 : 마곡사 문 의 : 충청남도 공주시 문화재관리소 041-840-2814 마곡사는 백제 무왕 41년(640)에 자장율사가 세웠다고 전한다. 절 경내에는 명부전을 비롯하여 대웅전, 영산전, 대광보전, 홍성루 등 많은 건물이 남아 있다. 명부전은 지장보살을 중심으로 좌우에 명부시왕상을 모시고 있어 지장전·시왕전이라고도 한다. 지장보살은 모든 인간을 교화시키는 역할을 맡았으며, 시왕은 염라대왕을 비롯한 10명의 지옥 심판관이다. 자 료 : 문화재청 .. 2013. 5. 3.
[전북]전주 풍남문 종 목 : 보물 제308호 명 칭 : 전주 풍남문 (全州 豐南門)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곽시설 수 량 : 면적 1동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전북 전주시 완산구 풍남문3길 1 (전동)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전주시 읍성은 지방행정의 중심지가 되는 고을을 둘러쌓았던 성을 말한다. 옛 전주읍성의 남쪽문으로 선조 30년(1597) 정유재란 때 파괴된 것을 영조 10년(1734) 성곽과 성문을 다시 지으면서 명견루라 불렀다. ‘풍남문’이라는 이름은 영조 43년(1767) 화재로 불탄 것을 관찰사 홍낙인이 영조 44년(1768) 다시 지으면서 붙인 것이다. 순종 때 도시계획으로 성곽과 성문이 철거되면서 풍남문도 많은 손상을 입었는데 지금 있는 문은 19.. 2013. 5. 2.
[전북]전주 전주향교 종 목 : 사적 제379호 명 칭 : 전주향교 (全州鄕校) 분 류 :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교육기관/ 향교 수 량 : 면적 10,357.4㎡ 지정일 : 1992.12.23 소재지 : 전북 전주시 완산구 교동 26-3외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전라북도 향교재단 향교는 유학교육과 인재양성을 위해 지방에 설립한 교육기관이다. 이 향교는 고려시대에 세웠다고 하는데 정확한 기록은 없다. 당시에는 조선 태조의 영정을 모신 경기전(사적 제339호) 근처에 있었으나, 향교에서 들려오는 소리가 시끄럽다하여 전주성 서쪽 황화대 아래로 옮겼다 한다. 지금 위치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겪은 뒤, 관찰사 장만이 옮긴 것이다. 현재 이 향교에는 여러 훌륭한 분들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전라북도유형문화재 제7호)을 비롯해.. 2013. 5. 2.
[전북]전주 경기전 종 목 : 사적 제339호 명 칭 : 전주 경기전 (全州 慶基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제사유적/ 제사터 수 량 : 면적 49,590㎡ 지정일 : 1991.01.09 소재지 : 전북 전주시 완산구 풍남동3가 102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전주시 조선 태조 이성계의 초상화를 모신 곳이다. 태종은 1410년 전주·경주·평양에 태조의 모습을 그린 초상화를 모시고 어용전이라 하였다. 그 후 태종 12년(1412)에 태조 진전이라 부르다가 세종 24년(1442)에 와서 전주는 경기전, 경주는 집경전, 평양은 영흥전으로 달리 이름을 지었다. 경기전은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광해군 6년(1614)에 다시 고쳐 지었다. 건물의 구성은 본전·헌·익랑 들로 이루어져 있고 이를 내삼문과.. 2013. 5. 2.
[경북]문경 봉암사 환적당지경탑 종 목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33호 명 칭 : 환적당지경탑 (幻寂堂智鏡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5.08.05 소재지 : 경북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산1-1 소유자 : 봉암사 관리자 : 봉암사 문 의 : 경상북도 문경시 문화관광과 054-550-6062 부도는 승려의 무덤을 상징하여 그 유골이나 사리를 모셔둔다. 봉암사 뒤쪽 기슭에는 3기의 부도가 자리하고 있는데, 이 부도도 그 중 하나로, 조선시대 중기의 승려인 환적당의 사리를 모셔두고 있다. 환적당(1603∼1690)은 ‘지경’이라 불리기도 하였는데, 16세에 승려가 지켜야 할 계율을 받고 팔공산 동화사에 들어가 성현대사의 가르침을 받았다. 21세에는 청량산에 들어가, 그 곳에서 31년간.. 2013. 3. 19.
[경북]문경 봉암사 함허당득동탑 종 목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34호 명 칭 : 함허당득통탑 (涵虛堂得通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5.08.05 소재지 : 경북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산1-1 소유자 : 봉암사 관리자 : 봉암사 문 의 : 경상북도 문경시 문화관광과 054-550-6062 부도는 승려의 무덤을 상징하여 그 유골이나 사리를 모셔둔다. 봉암사 뒤쪽 기슭에는 3기의 부도가 자리하고 있는데, 이 부도도 그 중 하나로, 조선시대 전기의 승려인 함허당의 사리를 모셔두고 있다. 함허당(1376∼1433)의 호는 득통으로, 21세에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다. 세종의 부름을 받아 4년동안 대차어찰에 머무르며 교화를 하였고, 봉암사를 새로이 보수하기도 하였다. 이 절에서『금강설의』.. 2013. 3. 19.
[경북]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종 목 : 국보 제315호 명 칭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聞慶 鳳巖寺 智證大師塔碑) 분 류 : 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 수 량 : 1기 지정일 : 2010.01.04 소재지 : 경북 문경시 가은읍 원북길 313, 봉암사 (원북리)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봉암사 관리자 : 봉암사 이 석비는 구산선문(九山禪門)의 하나인 희양산문(曦陽山門)의 개창자인 도헌국사(道憲國師) 곧 지증대사(智證大師)의 탑비로서, 비석의 크기나 귀부와 이수의 조각수법 등이 통일신라 말기를 대표하는 전형적인 양식과 기법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비문에는 신라의 불교사를 3시기로 나누어 약술하고 도신(道信)-쌍봉(雙峰)-법랑(法朗)-신행(愼行)-준범(遵範)-혜은(慧隱)-도헌(道憲)으로 이어지는 도헌국사의 법계(法系.. 2013. 3. 19.
[경북]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 종 목 : 보물 제137호 명 칭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 (聞慶 鳳巖寺 智證大師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경북 문경시 가은읍 원북길 313, 봉암사 (원북리)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봉암사 관리자 : 봉암사 지증대사의 사리를 모신 탑으로 봉암사 대웅전 왼쪽에 서 있다. 지증대사(824∼882)는 이 절을 창건한 승려로, 17세에 승려가 되어 헌강왕 7년(881)에 왕사로 임명되었으나 이를 사양하고 봉암사로 돌아와 이듬해인 882년에 입적하였다. 왕은 ‘지증’이라는 시호를 내리고, 탑 이름을‘적조’라 하도록 하였다. 이 탑은 사리를 넣어두는 탑신(塔身)을 중심으로 하여 아래에는 이를 받쳐주는 기단부(基壇部)를 두고.. 2013. 3.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