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석탑1010 경기 이천 월전미술관석탑 경기 이천 월전미술관석탑 2015.04.10 문현준 이전글보기 2015/06/04 - [한국의석탑/경기도] - [경기]이천 월전미술관석탑 2015. 10. 2. 경기 이천 영월암삼층석탑 경기 이천 영월암삼층석탑 2015.04.10 문현준 이전글보기 2015/06/04 - [한국의법당/경기권] - [경기]이천 영월암 2015/06/04 - [한국의석탑/경기도] - [경기]이천 영월암 삼층석탑 2015/06/04 - [한국의문화유산/경기권] - [경기]이천 영월암 마애여래입상 2015. 10. 2. 경기 이천 관고리오층석탑 경기 이천 향토유적 제5호 관고리오층석탑 2015.04.10 문현준 이전글보기 2015/06/04 - [한국의석탑/경기도] - [경기]이천 관고리오층석탑 2015. 10. 2. 경기 이천 관고리삼층석탑 경기 이천 관고리삼층석탑 2015.04.10 문현준 이전글보기 2015/06/04 - [한국의석탑/경기도] - [경기]이천 관고리삼층석탑 2015. 10. 2. 경기 이천 감은사 경기 이천 감은사 2015.04.10 문현준 2015. 10. 2. 경기 이천 갈산동오층석탑 경기이천 갈산동오층석탑 2015.04.10문현준 이전글보기2015/06/04 - [한국의석탑/경기도] - [경기]이천 갈산동오층석탑 2015. 10. 2. 충북 충주 탑평리칠층석탑(중앙탑) 종 목 : 국보 제6호 명 칭 :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忠州 塔坪里 七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11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충주시 남한강의 아름다운 경관과 잘 어우러져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으로, 당시에 세워진 석탑 중 가장 규모가 크며, 우리나라의 중앙부에 위치한다고 해서 중앙탑(中央塔)이라고도 부르는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7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높은 탑신을 받치기 위해 넓게 시작되는 기단은 각 면마다 여러 개의 기둥 모양을 새겨 놓았고, 탑신부의 각 층 몸돌 역시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몸돌.. 2015. 9. 25. [충북]충주 미륵리삼층석탑 종 목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3호 명 칭 : 충주 미륵대원지 삼층석탑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76.12.21 소재지 : 충북 충주시 상모면 미륵리 58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충주시 문 의 : 충청북도 충주시 문화체육과 043-850-6631~4 석굴이 있는 미륵사터 경내에서 동쪽으로 500m쯤 떨어진 곳에 자리한 고려시대 3층 석탑이다. 이곳이 원래의 터로 추정되는데 절터와 멀리 떨어진 곳에 왜 탑을 세웠는지는 알 수 없다. 탑은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리고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 위 ·아래층 기단과 탑신의 몸돌에는 기둥 모양을 조각하였다. 탑신은 1층 몸돌에 비하여 2층 몸돌의 높이가 많이 줄.. 2015. 9. 19. [충북]충주 미륵리오층석탑 종 목 : 보물 제95호 명 칭 : 충주 미륵리 오층석탑 (忠州 彌勒里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북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 56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충주시 이 곳에는 고려시대의 석불과 석굴이 만들어졌던 흔적이 남아 있고, 그 앞쪽에 석등과 더불어 이 석탑이 남아 있다. 석탑은 기단부(基壇部)의 아래부분이 땅 속에 파묻혀 있어서, 그 구조가 어떤지를 정확히 확인할 수 없다. 드러난 부분은 자연석에 가까운 네모난 돌로 특별하게 장식을 하지 않았으며, 그 위로 기단의 맨윗돌이 올려져있다. 탑신(塔身)은 1층 지붕돌이 2장일 뿐 몸돌이나 다른 지붕돌은 모두 1장의 돌로 되어 있다. 각 층의 몸돌.. 2015. 9. 19. 이전 1 ··· 40 41 42 43 44 45 46 ··· 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