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석탑1010

[전북]익산 왕궁리오층석탑 종   목 : 국보 제289호  명   칭 :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益山 王宮里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97.01.01 소재지 : 전북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 산80-1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익산시 마한시대의 도읍지로 알려진 익산 왕궁면에서 남쪽으로 2㎞쯤 떨어진 언덕에 자리하고 있는 석탑이다. 1단의 기단(基壇)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기단부가 파묻혀 있던 것을 1965년 해체하여 수리하면서 원래의 모습이 드러났다.탑의 기단은 네 모서리에 8각으로 깎은 주춧돌을 기둥삼아 놓고, 기둥과 기둥 사이에는 길고 큰 네모난 돌을 지그재그로 맞물리게 여러 층 쌓아 올려놓아 목조탑의 형식.. 2015. 4. 26.
[전북]군산 발산리 오층석탑 종 목 : 보물 제276호 명 칭 : 군산 발산리 오층석탑 (群山 鉢山里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전북 군산시 개정면 바르메길 43 (발산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군산시 원래는 완주(完州) 봉림사터에 있던 것을 지금의 위치로 옮겨 세웠다. 2단의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였으나 지금은 탑신의 한 층이 없어지고 4층까지만 남아있다. 아래·위 기단 모두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으며, 기단 위로 4층의 탑신에는 각 층의 몸돌마다 네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새겨 놓았다. 지붕돌은 경사가 급하고 추녀 끝이 약간 들려 곡선을 이루고 있으며, 밑에는 3단의 받침을.. 2015. 4. 24.
[충남]예산 향천사구층석탑 향천사구층석탑 (香泉寺九層石塔)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74호 명   칭 : 향천사구층석탑 (香泉寺九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예산군 예산읍 향천리 57 시   대 : 삼국시대 소유자 : 향천사 관리자 : 향천사 문 의 : 충청남도 예산군 문화관광과 041-339-7323 향천사 나한전 앞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1층 기단(基壇) 위에 9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네 모서리와 가운데에, 탑신은 몸돌의 모서리에 각각 기둥 모양을 본 떠 새겼다. 탑신의 2층 몸돌은 1층에 비해 높이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으며, 4층 부터는 몸돌이 없어진 채 지붕돌만 포개져 있어 옛 탑이 지니고 있.. 2015. 4. 23.
[충남]태안 천리포수목원 석탑 충남 태안 천리포수목원석탑 2014.10.19 문현준 천리포수목원 이전글모기 2015/04/22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태안 천리포수목원 수련 2014/11/10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태안 천리포수목원 2014/11/10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태안 천리포수목원의 꽃 2014/11/10 - [한국의석탑/충청남도] - [충남]태안 천리포수목원석탑 2015. 4. 22.
[경기]평택 심복사 삼층석탑 경기 평택 심복사 삼층석탑 2014.10.09 문현준 심복사 이전글보기 2015/04/21 - [한국의문화유산/경기권] - [경기]평택 심복사 석조비로자나물좌상 2011/11/09 - [한국의법당/경기권] - [경기]평택 심복사 대적광전 2011/11/09 - [한국의석탑/경기도] - [경기]평택 심복사삼층석탑 2015. 4. 21.
[경기]안성 죽림리삼층석탑 종 목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79호 명 칭 : 안성죽림리삼층석탑 (安城竹林里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2002.04.08 소재지 : 경기 안성시 일죽면 죽림리 226-54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관리자 : 강성원 문 의 : 경기도 안성시 문화체육관광과 031-678-2478 이 탑은 전체 높이가 363cm이고, 지대석은 가로 171cm, 세로 140cm이다. 석탑은 단층 기단 위에 세워진 방형의 석탑으로, 중대석은 각 면을 1식으로 마감하고, 갑석은 1판석에 옥신괴임을 2단으로 둥글게 처리하였다. 1층 탑신은 2매의 석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 면에 둥근 고리(문비)를 탑몸돌[옥신 : 屋身]에는 양쪽에 모서리기둥 [우주 : 隅柱].. 2015. 4. 19.
[경기]안성 봉업사지오층석탑(죽산리오층석탑) 종 목 : 보물 제435호 명 칭 : 안성 봉업사지 오층석탑 (安城 奉業寺址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6.02.28 소재지 : 경기 안성시 죽산면 죽산리 148-5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안성시 지금은 주변이 경작지로 변한 봉업사(奉業寺)의 옛터에 위치하고 있는 탑으로, 1단의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하나로 짠 두툼한 널돌 위에 올려 완성하였는데, 이 때의 석재가 두툼한 탓인지 전체적으로 둔중한 느낌을 준다. 기단 위의 탑신은 1층 몸돌만 4장으로 이루어졌고 나머지는 한 돌로 구성하였다. 각 층의 네 모서리에는 폭이 좁은 기둥을 새겼다. 1층 몸돌 남쪽면 중앙에는 작은 감.. 2015. 4. 19.
[경기]안성 죽산리삼층석탑 종 목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78호 명 칭 : 안성죽산리삼층석탑 (安城竹山里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78.11.10 소재지 : 경기 안성시 죽산면 죽산리 240-2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관리자 : 안성시 문 의 : 경기도 안성시 문화체육관광과 031-678-2478 봉업사터 뒷편 비봉산 아래에 자리한 3층 석탑이다. 통일신라 후기의 승려인 혜소국사가 세운 탑으로 전하는데 지금은 이곳 동네 사람들의 소원을 비는 대상이 되고 있다. 탑은 기단부(基壇部)의 일부가 땅에 묻혀 탑의 완전한 모습은 알 수 없으나 땅위로 드러난 모습은 1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이다. 기단은 각 면의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새겼.. 2015. 4. 19.
[충남]부여 정림사지오층석탑 종   목 : 국보 제9호명   칭 :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扶餘 定林寺址 五層石塔)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수   량 : 1기지정일 : 1962.12.20소재지 :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254시   대 : 백제소유자 : 국유관리자 : 부여군부여 정림사터에 세워져 있는 석탑으로, 좁고 낮은 1단의 기단(基壇)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다. 신라와의 연합군으로 백제를 멸망시킨 당나라 장수 소정방이 ‘백제를 정벌한 기념탑’이라는 뜻의 글귀를 이 탑에 남겨놓아, 한때는 ‘평제탑’이라고 잘못 불리어지는 수모를 겪기도 하였다. 기단은 각 면의 가운데와 모서리에 기둥돌을 끼워 놓았고, 탑신부의 각 층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을 세워놓았는데, 위아래가 좁고 가운데를 볼록하게.. 2015. 4.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