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석탑1010

[서울]종로 창경궁 오층석탑 창경궁 오층석탑 2012.11.11 문현준 2013. 5. 4.
[서울]종로 창경궁 팔각칠층석탑 종 목 : 보물 제1119호 명 칭 : 창경궁 팔각칠층석탑 (昌慶宮 八角七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92.01.15 소재지 : 서울 종로구 창경궁로 185, 창경궁 (와룡동)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창경궁 창경궁 안의 연못 옆에 건립되어 있는 탑으로, 8각 평면 위에 7층의 탑신을 세운 석탑이다. 기단부(基壇部)는 3단의 바닥돌 위로 높직한 1단의 기단이 올려진 모습인데, 각 면마다 조각으로 가득차 있다. 바닥돌은 4각으로 밑단을 두고 그 위로 2단의 8각 바닥돌을 두었는데, 8각의 각 면마다 안상(眼象)을 얕게 새겼다. 기단과 닿는 곳에는 1단의 연꽃받침을 놓았으며, 기단은 각 면마다 꽃무늬를 새겨 두었다. 기단의 맨윗돌.. 2013. 5. 4.
[충남]예산 향천사 구층석탑 향천사구층석탑 (香泉寺九層石塔)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74호 명 칭 : 향천사구층석탑 (香泉寺九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예산군 예산읍 향천리 57 시 대 : 삼국시대 소유자 : 향천사 관리자 : 향천사 문 의 : 충청남도 예산군 문화관광과 041-339-7323 향천사 나한전 앞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1층 기단(基壇) 위에 9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네 모서리와 가운데에, 탑신은 몸돌의 모서리에 각각 기둥 모양을 본 떠 새겼다. 탑신의 2층 몸돌은 1층에 비해 높이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으며, 4층 부터는 몸돌이 없어진 채 지붕돌만 포개져 있어 옛 탑이 지니고 있었을 아름다움을 많.. 2013. 5. 3.
[충남]아산 외암리 민속마을 삼층석탑 외암리 민속마을 삼층석탑 2012.11.01 문현준 2013. 4. 24.
[전북]전주 덕진공원삼층석탑 덕진공원 삼층석탑 종 목 : 전주시 향토문화유산 제3호 지정일 : 2009.10.30 이석탑은 원래 익산군 왕궁면에 있었으나, 1992년 전주 풍패지관(전주객사)로 옯겨졌다. 이후 현재의 위치로 다시 옯겨졌는데 그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다.높이는 277cm 내외이며 탑신과 옥개석은 원형 그대로 이다.상륜부에는 노반을 얹었다. 탑신은 하나의 돌로 만들어 졌고 우주는 돋을새김으로 표현하였다. 전체적은 비례면으로 볼때 1층 옥개석이 기단 상단석에 비해 커서 윗부분이 무거운 느낌을 준다.기단부는 상대석만 남아 있고 기단부 하대석은 다른돌로 만들어져 그 원형을 알 수없다.전체적으로 고려시대에 조성된것으로 보인다. 전주 덕진공원삼층석탑 전주시 향토문화유산 제3호 2012.10.29 문현준 2013. 4. 23.
[경북]문경 봉암사삼층석탑 종 목 : 보물 제169호 명 칭 : 문경 봉암사 삼층석탑 (聞慶 鳳巖寺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경북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490-2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봉암사 관리자 : 봉암사 봉암사에 자리잡고 있는 3층 석탑이다. 탑은 건물의 댓돌에 해당하는 기단부(基壇部), 탑의 중심이 되는 탑신부(塔身部), 꼭대기의 머리장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인 통일신라의 석탑은 기단이 2단이나, 현재 땅 위로 드러나 있는 이 탑의 기단은 1단이다. 특이한 것은 지면과 맞닿아 있어야 할 탑의 받침돌 밑면에 또 하나의 받침이 있어 혹시 이것이 아래층 기단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지만, 그러기에는 너무 넓어 보인다. 또 하나.. 2013. 3. 19.
[경북]문경 갈평리오층석탑 종 목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85호 명 칭 : 문경갈평리오층석탑 (聞慶葛坪里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12.29 소재지 : 경북 문경시 문경읍 갈평리 564-3 시 대 :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문경군 문 의 : 경상북도 문경시 문화관광과 054-550-6062 갈평출장소 내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일제시대 때 일본인들에게 빼앗겼던 것을 이웃주민들이 다시 찾아 이 곳에 옮겨 세웠다. 탑은 전체의 무게를 받치는 기단(基壇)을 1층으로 두고, 그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의 4면에는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모양을 본 떠 새겼다. 탑신의 두꺼운 지붕돌은 윗면의 경사가 완만하고, 밑면에는 4단의 받침을 두었다. 꼭대.. 2013. 3. 6.
[경북]문경 미면사지다층석탑 기단부 경북 문경 미면사지 다층석탑 기단부 2012.09.11 문현준 2013. 3. 4.
[경북]문경 상리삼층석탑 문경상리삼층석탑 이탑은 문경서중학교 뜰에 있던것을 문경읍사무소로 옯겼다가 1997년 박문관으로 옮겨온 것이다. 높이는1.5m로서 상대석과 1층의 옥신은 완전하나 나머지 탑재는 파손이 심하고 2,3층의 옥신과 상륜부가 없어졌다. 이탑은 원래 문경읍 상리에서 옮겨왔다는 이야기가 있다. 경북 문경 상리 삼층석탑 (옛길박물관) 2012.09.11 문현준 2013.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