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186 충남 예산 보덕사 극락전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보덕사극락전 (報德寺極樂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수량/면적 : 1동 지정일 : 1995.10.07 소재지 : 충남 예산군 덕산면 가야산로 400-74 (상가리) 보덕사는 서원산 남쪽기슭에 위치한다. 본래 옥양봉 남쪽 기슭에 있던 가야사의 뒤를 이어 고종 8년(1871)에 처음 지어졌다. 가야사에는 금탑이라 불리는 지극히 빼어난 석탑이 있었고, 그 탑의 4면에는 돌로 만든 방이 있어 각각 돌부처가 모셔져 있었다. 그러나 이 절의 터가 왕손을 낳게 한다는 풍수설에 따라 흥선대원군이 철종 11년(1860)에 가야사를 불사르고 아버지인 남원군의 묘를 썼다. 그 뒤 아들 고종(재위 1863∼1907)이 왕위에 오르게 되었으므로 은혜를 갚는다는 뜻에서 지금의.. 2024. 7. 31. 충남 예산 보덕사 석등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보덕사석등 (報德寺石燈)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석등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1984.05.17 소재지 : 충남 예산군 덕산면 상가리 227번지 보덕사 내에 남아 있는 석등으로, 거의 절반이 없어진 상태이다. 일반적으로 석등은 등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로는 3단의 받침을 두고 위로는 지붕돌을 올려놓는데, 이 석등은 현재 화사석과 1단의 받침돌, 지붕돌만 남아있다. 8각을 이루는 화사석은 4곳에 불빛이 새어나오도록 창을 내고, 나머지 4면에는 4천왕상(四天王像)을 정교하게 새겨 놓았다. 지붕돌은 심하게 닳아 옛 모습을 찾기가 힘든 상태이며, 꼭대기에는 둥근 돌이 솟아 머리장식을 하고 있다. 보덕사는 조선시대 후기인 고종 2년.. 2024. 7. 31. 충북 충주 동촌CC 충북 충주 동촌CC2023.08.29 2024. 7. 30. 충남 보령 학성리 공룡화석지 일몰 충남 보령 학성리 공룡화석지 일몰 2024. 7. 30. 전남 신안 흑산진리무심사지삼층석탑과석등 전라남도 문화유산자료 신안흑산진리무심사지삼층석탑과석등 (新安 黑山 鎭里 三層石塔과 石燈)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일괄 지정일 : 1994.01.31 소재지 : 전남 신안군 흑산면 진리 721-2번지 읍동마을 당산나무 밑에 놓여 있는 석탑과 석등으로, 주위에는 밭이 펼쳐 있고 뒤로는 상라산이 병풍처럼 배경을 이루고 있다. 절터의 흔적은 찾아볼 수 없으나 주위에서 토기나 기와조각들이 발견되고 있어, 지금도 불교신도들이 이곳에 찾아와 불공을 드리고 있다. 석탑은 땅 위로 기단(基壇)의 맨 윗돌만 드러나 그 아래는 모두 묻혀 있으며, 위로는 3층의 탑신(塔身)이 쌓여 있다. 탑신의 세 몸돌은 모두 위아래와 서로 틀이 딱 맞지 않아 원래의 것이 아니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2024. 7. 30. 전남 신안 흑산 진리성황당 전남 신안 흑산 진리성황당2023.08.22 2024. 7. 30. 전남 신안 흑산성당 신안 흑산성당 국가등록문화유산 분 류 : 등록문화유산 / 기타 / 종교시설 수량/면적 : 1동 (현황측량면적 393㎡) 지정일 : 2019.08.05 소재지 :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일주로 180-20 (흑산면) 진리 41, 42, 산79-7 시 대 : 미상 소유자 : 재)광주구천주교회유지재단 신안 흑산성당은 우리나라 서남해의 최남단에 위치한 흑산도에 천주교가 전파되어 가는 과정을 엿볼 수 있는 장소로, 선교뿐 아니라 교육, 의료 등 다양한 분야의 봉사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하여 낙후되었던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했던 점에서 종교적 가치 및 지역사적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 자 료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신안 흑산성당 국가등록문화유산 2023.08.22 2024. 7. 30. 충남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보물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扶餘 無量寺 五層石塔) 분 류 : 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청남도 부여군 무량로 203 (외산면, 무량사) 시 대 : 고려시대 무량사 극락전 앞에 자리하고 있는 웅장한 모습의 5층 석탑이다. 탑을 받치는 기단(基壇)은 1단으로, 둥글게 다듬은 두툼한 석재를 포함한 층단으로 괴임을 만들고 각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을 세웠다. 탑신(塔身)은 지붕돌과 몸돌을 한 층으로 하여 5층을 이루고 있다. 네 모서리에 기둥을 세우고 있는 몸돌은 지붕돌에 비하여 높이가 낮은 편이나 전체적으로 알맞은 비례를 보이고 있어 우아하면서도 장중한 느낌을 준다. 지붕돌은 얇고 넓으며 처마는 수평을 이루다가 끝에서 가볍게.. 2024. 7. 30. 충북 옥천 금암리 삼층석탑 충북 옥천 금암리삼층석탑2023.18.15금암리삼층석탑 이전글보기2012.06.13 - [한국의석탑/충청북도] - [충북]옥천 금암리삼층석탑 [충북]옥천 금암리삼층석탑충북 옥천군 동이면 금암리 금암리사지석탑 2012.04.14 문현준sajin365.net 2024. 7. 30.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