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186 [전남]진도 남도진성(남도석성) 명 칭 : 진도 남도진성 (珍島 南桃鎭城)종 목 : 사적 제127호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곽수량/면적 :41,368㎡지정일 : 1964.06.10소재지 : 전남 진도군 임회면 남동리 149번지시 대 : 삼국시대소유자 : 국·공·사유관리자 : 진도군 고려 원종(재위 1259∼1274), 삼별초가 진도에서 몽골과 항쟁을 벌일 때 해안지방을 방어하기 위해 쌓은 성으로, 삼별초가 제주도로 옮겨갈 때 이곳에서 출발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백제 때 진도에는 3개의 마을이 있었고 그 중 한 마을의 중심지가 이곳으로 여겨지는데, 통일신라를 거쳐 고려시대까지 이어져 오는 것을 보면, 삼국시대에 이미 성이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13세기부터는 왜구가 나타나서 노략질을 계속해 오자, 고려 충정왕 2년(1.. 2014. 5. 12. [전남]진도 진도 굴포 진도 급치산 전망대 진도 서망항 진도 세방 2013.08.10문현준 2014. 5. 12. [전남]진도 팽목항 지난해 여름.. 평화롭던 바다인데 ..저 섬너머에 아직도 집으로 돌려 보내지 못한 아들,딸들이 있다고 생각하니 마음이 아픕니다. 요 몇일 사건이후 집떠나 있는 아들에게 자주 전화를 하게 되네요.부디 한명도 빠짐없이 집으로 돌아가길 바랍니다 2014. 5. 2. [경남]진주 함양구양리삼층석탑 함양구양리삼층석탑 2013.08.04문현준 2014. 5. 2. [경남]진주 진주성 촉석루 명 칭 : 촉석루 (矗石樓)종 목 :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8호분 류 :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조경건축/ 누정수량/면적 :1동지정일 : 1983.07.20소재지 : 경남 진주시 시 대 : 조선시대소유자 : 진주시관리자 : 진주시문 의 : 경상남도 진주시 문화관광담당관실 055-749-2053 남강 변 벼랑 위에 있는 이 누각은 진주성의 남쪽 장대(지휘하는 사람이 올라서서 명령하던 대)로서 장원루라고도 한다. 고려 공민왕 14년(1365)에 세운 후 7차례의 중건과 보수를 거쳤는데, 전쟁이 일어나면 진주성을 지키는 지휘본부로 사용하였고, 평상시에는 과거를 치루는 고시장으로 쓰였다. 현재의 누각은 한국전쟁 때 불타 없어진 것을 1960년 진주고적보존회에서 재건한 것으로 앞면 5칸·옆면 4칸이다. 자료바로.. 2014. 5. 2. [경남]산청 목면시배유지 명 칭 : 산청 목면시배 유지 (山淸 木棉始培 遺址)종 목 : 사적 제108호분 류 :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역사사건/ 역사사건수량/면적 : 1,131㎡지정일 : 1963.01.21소재지 : 경남 산청군 시 대 : 고려시대소유자 : 국유,사유관리자 : 산청군 고려 후기에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면화를 재배한 곳이다. 공민왕 12년(1363) 문익점은 중국 원나라에 사신으로 갔다가 돌아올 때, 밭을 지키던 노인이 말리는 것을 무릅쓰고 목화 몇 송이를 따서 그 씨앗을 붓통에 넣어가지고 왔다. 장인 정천익과 함께 시험재배를 하였는데, 처음에는 재배기술을 몰라 한 그루만을 겨우 살릴 수 있었다. 그러다가 3년간의 노력 끝에 드디어 성공하여 전국에 목화재배를 널리 퍼지게 하였다. 문익점이 태어난 곳인 배양마을은.. 2014. 5. 2. [경남]통영 세병관 명 칭 : 통영 세병관 (統營 洗兵館)종 목 : 국보 제305호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궁궐·관아/ 관아수 량 : 1동지정일 : 2002.10.14소재지 : 경남 통영시 시 대 : 조선시대소유자 : 국유관리자 : 통영시 세병관은 조선 선조 당시 이경준(李慶濬) 제6대 통제사가 두릉포에서 통제영을 이곳으로 옮겨 완공한 통제영의 중심건물이다. 이 건물은 창건 후 약 290년 동안 3도(경상·전라·충청도) 수군을 총 지휘했던 곳으로 그 후 몇 차례의 보수를 거치긴 했지만 아직도 멀리 남해를 바라보며 당시의 위용을 자랑하고 있는 건물 중 최고의 건물이다. 앞면 9칸·옆면 5칸 규모의 웅장한 건물로, 지붕은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꾸몄다. 건물 내부 바닥에는 우물마루를 깔았는데, 중.. 2014. 5. 2. [경남]통영 삼도수군통제영 운주당영역 (통제영지) 경남 통영 삼도수군통제영(통제영지) 운주당 영역 2013.08.03문현준 관련글보기2014/05/02 - [한국의문화유산/경상권] - [경남]통영 삼도수군통제영(통제영지) 2014. 5. 2. [경남]통영 삼도수군통제영(통제영지) 명 칭 : 통영 삼도수군통제영 (統營 三道水軍統制營)종 목 : 사적 제402호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궁궐·관아/ 관아수량/면적 : 41,022㎢지정일 : 1998.02.20소재지 : 경남 통영시 시 대 : 조선시대소유자 : 국유,공유,사유관리자 : 통영시 통제영이란 충청·전라·경상도의 삼도수군을 통할하는 통제사가 있는 본진을 말하는 것으로, 삼도수군통제영을 줄여서 표현한 것이다. 선조 26년(1593)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의 한산진영이 최초의 통제영이다. 지금의 통영시 관내에 통제영을 짓기 시작한 것은 선조 36년(1603) 때의 일이다. 제6대 이경준 통제사가 이곳에 터를 닦고 2년 뒤인 선조 38년(1605)에 세병관 (보물 제293호에서 국보 305호로 승격 지정), 백화당, 정해정 등.. 2014. 5. 2. 이전 1 ··· 162 163 164 165 166 167 168 ··· 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