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219 [경남]통영 해저터널 명 칭 : 통영해저터널 (統營 海底터널)종 목 : 등록문화재 제201호분 류 : 등록문화재 / 기타/ 공공용시설/ 수량/면적 : 터널 1기, 길이 483m, 폭 5m, 높이 3.5m지정일 : 2005.09.14소재지 : 경남 통영시 당동 406외, 미수동 907-1 외시 대 : 일제강점기소유자 : 통영시 1932년 건립 이 시설물은 통영과 미륵도를 연결하는 동양 최초의 해저 구조물이다. 해저터널로 연결되기 전의 미륵도는 밀물 때에는 섬이지만 썰물 때에는 도보로 왕래가 가능한 상태였다. 그런데 일제 강점기에 일본 어민의 이주가 본격화됨에 따라 두 지역 간 거리 단축을 위해 이 해저터널이 만들어졌다. 비록 공사의 주창과 시행이 일제에 의한 것이라고 해도 투입된 인력과 자재가 우리 민족에 의한 것이라는 측면에.. 2014. 4. 30. [경남]통영 문화동벅수 명 칭 : 충무시문화동벅수 (忠武市文化洞벅수)종 목 : 중요민속문화재 제7호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민간신앙/ 마을신앙수 량 : 1기지정일 : 1968.11.23소재지 : 경남 통영시 문화동 95-123시 대 : 대한제국시대소유자 : 국유관리자 : 통영시 세병관(국보 제305호)으로 오르는 길가 오른쪽에 서 있는 석장승이다. 장승이라는 명칭은 지역에 따라 다르게 전승되고 있는데 이곳에서는 ‘벅수’라고도 한다. 장승은 민간신앙의 한 형태로 마을이나 사찰 입구 등에 세워져 경계를 나타내기도 하고 잡귀의 출입을 막는 수호신 역할도 한다. 남녀 한 쌍이 짝을 이루어 서 있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 장승은 하나만 있는 독장승이다. 이 부근의 위치가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낮은 지대로 기(氣)를 보강해주고 .. 2014. 4. 30. [충북]제천 경은사 석탑 충북 제천시 경은사 석탑 2013.08.01 문현준 2014. 4. 30. [충남]공주 신원사 대웅전앞 오층석탑 충남 공주 신원사 대웅전앞오층석탑 2013.07.28문현준 이전글보기2011/10/11 - [한국의석탑/충남권] - [충남]공주 신원사 대웅전앞오층석탑 2014. 4. 30. [충남]공주 신원사의여름 명 칭 : 신원사대웅전 (新元寺大雄殿)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80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 량 : 1동 지정일 : 1978.12.30 소재지 : 충남 공주시 계룡면 양화리 8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신원사 관리자 : 신원사 문 의 : 충청남도 공주시 문화재과 ☎ 1899-0088 신원사는 계룡산 기슭에 있는 절로 백제 의자왕 11년(651)에 보덕이 처음 지었다고 전한다. 고려와 조선을 거치면서 여러 번 다시 지어졌고, 지금의 대웅전 건물은 조선 고종 13년(1876)에 보연이 지은 것이라고 한다. 앞면 3칸·옆면 3칸의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화려한 팔작지붕집이다. 처마의 끝을 살짝 올려 우아한 멋을 나타내었다. 지붕을 받치면서 장식.. 2014. 4. 30. [충남]보령 청라저수지 충남 보령 청라저수지 2013.07.20문현준 2014. 4. 30. [충남]서천 홍원항소경 충남 서천 홍원항에서2013.07.19문현준 홍원항 이전글보기2012/07/28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충남]서천 홍원항일몰2011/11/14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충남]서천 일몰2011/11/14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충남]서천 일몰2011/11/14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충남]서천일몰2011/11/10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충남]서천일몰 2014. 4. 26. [충남]서천 홍원항에서~ 서천 홍원항에서 2013.07.19문현준 2014. 4. 26. [충남]서천 성북리오층석탑(비인오층석탑) 명 칭 : 서천 성북리 오층석탑 (舒川 城北里 五層石塔) 종 목 : 보물 제224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서천군 비인면 성북리 182-1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서천군 지방적인 특색이 강했던 고려시대의 탑으로, 옛 백제 영토에 지어진 다른 탑들처럼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 제9호)의 양식을 모방하였는데, 특히 가장 충실히 따르고 있다. 바닥돌 위에 올려진 기단(基壇)은 목조건축의 기둥과 벽과 같이 모서리에 기둥을 세우고, 그 기둥 사이를 판판한 돌을 세워 막았다. 탑신(塔身)은 몸돌을 기단에서처럼 기둥과 벽을 따로 마련하여 세워 놓았는데, 각 면의 모습이 위는 좁고 아래는 넓어 사다리꼴을 하.. 2014. 4. 26. 이전 1 ··· 167 168 169 170 171 172 173 ··· 3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