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216

[경기]안산 구봉도 야생화 경기 안산 구봉도 야생화중에.. 2013.04.07문현준 2013. 9. 10.
2013 서울모터쇼 2013년 서울모터쇼 2013.04.03 문현준 2013. 9. 10.
[충남]예산 추사김정희선생고택(추사고택)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43호명 칭 : 김정희선생고택 (金正喜先生古宅)분 류 :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가옥수 량 : 2동지정일 : 1976.01.08소재지 : 충남 예산군 신암면 추사고택로 261시 대 : 조선시대소유자 : 예산군관리자 : 예산군관광시설사업소 추사고택담당문 의 : 충청남도 예산군 문화관광과 041-339-7323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실학자이며 서예가인 추사 김정희(1786∼1856)의 옛 집이다. 안채와 사랑채 2동짜리 건물로 조선 영조(재위 1724∼1776)의 사위이자 김정희의 증조할아버지인 김한신에 의해 지어진 집이라고 한다. 건물 전체가 동서로 길게 배치되어 있는데, 안채는 서쪽에 있고 사랑채는 안채보다 낮은 동쪽에 따로 있다. 사랑채는 남자주인이 머물면서.. 2013. 9. 6.
[경기]남양주 천마산 야생화 경기 남양주 천마산 야생화2013.03.17문현준 2013. 9. 5.
[충남]예산 상가리미륵불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82호명 칭 : 상가리미륵불 (上加里彌勒佛)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수 량 : 1구지정일 : 1984.05.17소재지 : 충남 예산군 덕산면 상가리 25시 대 : 고려시대소유자 : 예산군관리자 : 예산군문 의 : 충청남도 예산군 문화관광과 041-339-7323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에 위치한 이 불상은 전체적으로 돌기둥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미륵불로 불리지만 형태로 볼 때 관세음보살을 표현한 것이 분명하다. 머리에는 풀과 꽃무늬가 장식된 화려한 관(冠)을 쓰고 있으며, 관의 가운데에는 작은 부처가 조각되어 있다. 얼굴은 길쭉하며 양 볼에 두툼하게 살이 올라있다. 왼쪽 어깨를 감싸며 입은 옷은 선으로 새겼으며,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으로 자연스.. 2013. 9. 5.
[충남]예산 야생화 충남 예산군 덕산에서 야생화 2013.03.09문현준 2013. 9. 5.
[충남]태안 안면도 꽃지일몰 충남 태안 안면도 꽃지 일몰 2013.03.03문현준 안면도 이전글보기2013/08/22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충남]태안 안면도 꽃지일몰2012/04/10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충남]태안 안면도 꽃지일몰2012/02/03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태안 안면도 꽃지일몰2011/12/20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충남]태안 안면도 꽃지일몰2011/12/06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태안 안면도 꽃지일몰2011/11/08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충남]태안 안면도 꽃지일몰2011/11/02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충남]태안 안면도 일몰2011/11/02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충남]태안 안면도 일몰2011/11/01 .. 2013. 9. 4.
[전남]보성 우천리 삼층석탑 종 목 : 보물 제943호명 칭 : 보성 우천리 삼층석탑 (寶城 牛川里 三層石塔)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수 량 : 1기지정일 : 1988.04.01소재지 : 전남 보성군 조성면 우천리 326-17시 대 : 통일신라소유자 : 국유관리자 : 보성군 벌교와 보성간의 국도변인 우천리 마을 앞 논 한가운데에 세워져 있는 탑이다. 이 곳은 절터로 추정되나 문헌에 남아 있는 기록이 없고, 전해지는 이야기로는 징광사에 딸린 부속 절이 있던 곳이라 하기도 한다. 탑은 기단(基壇)의 일부분이 땅 속에 묻혀 있고, 바닥은 시멘트로 발라져 밑부분의 정확한 모습을 알 수 없다. 드러난 기단부에는 기둥을 본뜬 조각이 새겨져 있다. 탑신(塔身)은 3층을 이루고 있으며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2013. 9. 4.
[전남]보성 옥마리 오층석탑 종 목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41호 명 칭 : 보성옥마리오층석탑 (寶城玉馬里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6.02.07 소재지 : 전남 보성군 노동면 옥마리 348 시 대 : 소유자 : 월림사 관리자 : 월림사 문 의 : 전라남도 보성군 문화관광과 061-852-5924 고려 성종 15년(966)에 창건하였다고 전하는 월림사터에 남아있는 탑으로, ‘벽옥탑(碧玉塔)’이라고도 한다. 형태는 2층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아래·위층 기단과 탑신부의 각 층 몸돌에는 기둥모양을 조각하였다. 두툼한 지붕돌은 느린 경사가 흐르다 네 귀퉁이에서 살짝 들려 있으며, 밑면에 1·2층은 5단, 3층은 4단, 4·5층은 3단의 받침.. 2013. 9.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