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223 충남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보물 제104호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19-1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국유 보원사(普願寺)터 서쪽의 금당터 앞에 세워져 있는 고려시대의 석탑이다. 보원사는 백제 때의 절로 사찰에 대한 역사는 전혀 알려지지 않았으나, 1959년 국보 제84호인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이 발견되면서 학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절터에는 이 탑 외에도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과 탑비, 당간지주, 석조 등이 남아있어 당시 사찰의 규모가 매우 컸음을 알 수 있다.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이다. 아래기단 옆면에는 사자상을 .. 2021. 10. 6. 충남 서천 성북리오층석탑 보물 제224호 서천 성북리 오층석탑 (舒川 城北里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서천군 비인면 성북리 182-1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지방적인 특색이 강했던 고려시대의 탑으로, 옛 백제 영토에 지어진 다른 탑들처럼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 제9호)의 양식을 모방하였는데, 특히 가장 충실히 따르고 있다. 바닥돌 위에 올려진 기단(基壇)은 목조건축의 기둥과 벽과 같이 모서리에 기둥을 세우고, 그 기둥 사이를 판판한 돌을 세워 막았다. 탑신(塔身)은 몸돌을 기단에서처럼 기둥과 벽을 따로 마련하여 세워 놓았는데, 각 면의 모습이 위는 좁고 아래는 넓어 사다리꼴을 하고 있다. 몸돌 위로는 지붕돌을 얹기 .. 2021. 10. 6. 충남 서천 봉남리삼층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30호 봉남리삼층석탑 (峰南里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84.05.17 소재지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봉남리 산 57-2 시 대 : 고려시대 봉남리에 자리하고 있는 3층 석탑이다. 기단(基壇)과 탑신(塔身)의 몸돌에는 기둥 모양을 새겼고, 특히 1층 몸돌에는 문모양과 문고리를 조각해 두었다. 고려시대에 만든 탑으로 짐작되며, 전해오는 말에는 탑의 뒷편에 사찰이 있었다 하나 지금은 절터만 남아있다. 탑 속에서 발견된 귀금속은 일제 시대 때 일본군이 훔쳐가 남아있지 않다. 자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한국의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30호 봉남리삼층석탑 2021.08.11 봉남리삼층석탑 이전글보기 2021.0.. 2021. 10. 6. 충북 단양 양백산 전망대 일몰 충북 단양 양백산 전망대 일몰 2021.08.08 2021. 9. 29. 충북 제천 비봉산 전망대 충북 제천 비봉산 전망대에서 바라본 보슴 2021.08.08 2021. 9. 29. 충북 단양 만천하스카이워크 충북 단양 만천하스카이워크에서 바라본 단양 2021.08.08 2021. 9. 29. 충북 단양 고수동굴 천연기념물 단양 고수동굴 (丹陽 古藪洞窟) 분 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지구과학기념물 / 천연동굴 수량/면적 : 61,784㎡ 지정(등록)일 : 1976.09.24 소재지 : 충북 단양군 단양읍 고수리 산4-2번지 외 시 대 : 고생대 단양 고수리 동굴은 남한강 상류 충주호반의 단양읍 금곡천 냇가에 있다. 총길이는 1,200m이나 현재 공개하여 관광코스로 이용하고 있는 구간은 600m 이며, 안쪽의 나머지 지역은 동굴 환경을 보존하기 위하여 출입통제 구역으로 설정되어 있다. 동굴 내부에는 동굴의 수호신이라고 할 수 있는 사자바위를 비롯하여, 웅장한 폭포를 이루는 종유석, 선녀탕이라 불리는 물 웅덩이, 7m 길이의 고드름처럼 생긴 종유석, 땅에서 돌출되어 올라온 석순, 석순과 종유석이 만나 기둥을.. 2021. 9. 29. 충남 아산 모나무르 까페에서 충남 아산 모나무르 까까페에서 2021.08.06 2021. 9. 29. 충남 당진 안국사지석탑 및 석조여래삼존입상 보물 제100호 당진 안국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 (唐津 安國寺址 石造如來三尊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 3구 지정(등록)일 : 1963.01.21 소재지 : 충청남도 당진시 원당골1길 188 (정미면) 시 대 : 고려시대 안국사는 안국산(일명 은봉산)에 위치한 폐사지(廢寺地)로 1929년에 다시 세웠다고하나 또다시 폐사되었다. 이곳에서 200m쯤 떨어진 곳에 높이 5m에 가까운 큰 석불입상이 있다. 머리에는 커다란 사각형의 갓을 쓰고 있으며, 얼굴은 신체의 비례상 어색하게 큰 편이다. 불상의 몸은 대형화되었는데 인체의 조형성이 감소되어 네모난 기둥같은 느낌을 준다. 또 몸과 어울리지 않게 팔과 손을 붙여 비현실적인 모습을 하고 있다. 오른손은 가슴에 대고 있으며, 왼.. 2021. 9. 29. 이전 1 ··· 39 40 41 42 43 44 45 ··· 3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