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232

전남 신안 팔금삼층석탑(신안읍리삼층석탑) 종 목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71호 명 칭 : 신안읍리삼층석탑 (新安邑里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78.09.22 소재지 : 전남 신안군 안좌면 읍리 350-1번지 시 대 소유자 관리자 : 신안군 문 의 : 전라남도 신안군 자치관광과 061-242-6501 들판 한 가운데 서 있는 탑으로, 탑이 속했던 절의 구체적인 역사는 전하고 있지 않다. 탑은 1층 기단(基壇) 위에 탑신부(塔身部)를 세우고 머리장식을 갖춘 모습이다. 기단은 각 면의 모서리마다 기둥조각을 가지런히 새겨 넣었다.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이 각 한돌로 이루어졌으며 위로 오를수록 크기가 알맞게 줄고 있어 안정감을 준다. 두꺼워 보이는 지붕돌은 밑면에 4단씩의 받침을 두었고,.. 2015. 12. 19.
전남 신안 암태도 전남 신안 암태도에서 2015.08.16 문현준 암태도 이전글보기 2015/09/08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전남]신안 암태도 2015/12/19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전남 신안 새천년대교 2015. 12. 19.
전남 신안 새천년대교(천사대교) 현재 건설중일 새천년대교 전남 신안 송공에서 암태도연결중 2015.08.16 문현준 이전글보기 2015/09/08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전남]신안 암태도 2015. 12. 19.
전남 목포 목포대교야경 목포대교 야경2015.08.16문현준 목포대교 이전글보기2015/11/23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전남 목포 유달산외2014/12/19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목포]폭포대교야경2014/05/12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전남]목포 목포대교 야경2012/01/10 - [한국의산하/인물및구성] - [전남]목포 해양대향교에서..2012/01/10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전남]목포 북항에서 2015. 12. 19.
경남 진주 묘엄사지삼층석탑외 진주 석탑들 명 칭 : 두방암다층석탑 (杜芳庵多層石塔) 종 목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00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2.08.02 소재지 : 경남 진주시 문산읍 상문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관리자 : 두방암 문 의 : 경상남도 진주시 문화관광담당관실 055-749-2053 두방암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원래 법륜사에 있던 것을 임진왜란으로 절이 없어져 이곳으로 옮겨 놓은 것이다. 푸른빛이 도는 점판암을 이용해 만든 것으로 일명 청석탑(靑石塔)이라 한다. 기단부(基壇部)의 바닥돌은 탑을 옮겨 세울 때 새로 시멘트로 만들었고, 각 기단의 맨윗돌에는 연꽃을 새겨 장식하였다. 탑신부(塔身部)는 부서지기 쉬운 돌의 특성상 상자모양의 몸돌과 얇은 지붕돌을.. 2015. 12. 17.
경남 진주 진주성야경 종 목 : 사적 제118호 명 칭 : 진주성 (晋州城)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곽 수량/면적 : 171,805㎡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626 (본성동, 진주성)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관리자 : 진주시 진주성은 진주의 역사와 문화가 집약되어 있는 진주의 성지(聖地)이다. 본시 토성이던 것을 고려조 우왕 5년(1379)에 진주목사 김중광(金仲光)이 석축하였다. 조선조 선조 24년(1591) 7월, 경상감사 김수(金수:1537∼1615)는 진주성을 수축하고 외성(外城)을 쌓았다. 동 25년(1592) 10월, 임진왜란 제1차 진주성 전투에서는 진주목사 김시민(金時敏:1554∼1592)이 3,800명의 군사로서 3만 여명의 왜적을 물리쳐 진.. 2015. 12. 17.
(사)한국환경사진협회 아산지회 회원전 (사) 한국환경사진협회 아산지회 회원전2015.12.03 - 12.09 (7일간)아산시민문화복지쎈타(구경찰서) 2015. 12. 2.
충북 충주 탑평리칠층석탑(중앙탑) 종   목 : 국보 제6호  명   칭 :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忠州 塔坪里 七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11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충주시 남한강의 아름다운 경관과 잘 어우러져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으로, 당시에 세워진 석탑 중 가장 규모가 크며, 우리나라의 중앙부에 위치한다고 해서 중앙탑(中央塔)이라고도 부르는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7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높은 탑신을 받치기 위해 넓게 시작되는 기단은 각 면마다 여러 개의 기둥 모양을 새겨 놓았고, 탑신부의 각 층 몸돌 역시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몸돌.. 2015. 12. 1.
강원 원주 거돈사지삼층석탑 종 목 : 보물 제750호 명 칭 : 원주 거돈사지 삼층석탑 (原州 居頓寺址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3.12.27 소재지 : 강원 원주시 부론면 정산리 188번지 시 대 : 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원주시 거돈사 옛 절터의 금당터 앞에 세워져 있는 탑으로, 2단의 기단(基壇)위로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아래층 기단은 네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새긴 형태로, 기단을 이루는 밑돌·가운데돌·맨윗돌이 각각 4매로 이루어진 특징이 보인다. 위층 기단은 남·북쪽에 무늬없는 긴 돌만 세우고 동·서면에는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새긴 돌을 끼워 맞춘 방식이다. 즉, 남·북쪽에서 보았을 때 동·서면에 세운 석재의 두께가 자.. 2015. 1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