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232 [충남]아산 오봉암 충남 아산시 장존동 산60번지오봉암(五峰庵)은 아산시 장존동 산60번지 설화산(雪華山)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 마곡사의 말사이다. 아산시의 진산인 설화산은 사화산(死火山)으로 온양온천수의 발원지인데, 크게 다섯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진 것에서부터 오봉(五峰)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혹은 온양의 옛 읍인 온주(溫州)의 남쪽에 있다고 하여 남산(南山)이라고 불렀다고도 한다. 남산인 설화산이 읍을 진호하고 그 곳에 절을 창건하여 온주의 백성들의 안위를 기원하였을 것이다. 현재 이 절의 구체적 기록은 전혀 발견되지 않아 지금으로서는 사세의 규모나 연혁을 알 수 없다. 다만 경내의 삼층석탑은 경상북도 경주시 암곡동에 있는 보물 제126호 무장사(諪藏寺) 삼층석탑과 양식상 유사하며, 또한 이곳에서.. 2012. 7. 11. [전북]군산 임피역사 종 목 : 등록문화재 제208호 명 칭 : 군산 임피역사 (群山 臨陂驛舍) 분 류 : 등록문화재 / 기타/ 공공용시설/ 공공용시설 수 량 : 면적 2동, 1층 연면적 역사 86.48㎡ 화장실 43.32㎡ 지정일 : 2005.11.11 소재지 : 전북 군산시 임피면 서원석곡로 39 (술산리) 시 대 : 일제강점기 소유자 : 한국철도공사 임피역사는 2동, 1층 규모로 역사 건축면적 86.48㎡, 화장실 43.32㎡이다. 임피역사는 군산선로의 역사로 1936년경에 건립된 것으로 판단되며, 1920년 12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구조는 목조로 벽체는 시멘트 모르타르 마감되어 있다. 지붕은 맞배집 형태에 박공을 설치하였는데 출입구와 개찰구 위에 직선으로 설치하였고, 철로변 사무실에 모임지붕이 돌출되.. 2012. 7. 9. [전북]김제 심포항에서 전북 김제 심포항에서 2012.05.05 문현준 2012. 7. 9. [전북]김제 청운사석탑 청운사석탑 전북 김제시 청하면 대청리 산 91-2 청운사에 있는 석탑으로 상륜부와 기단부만 남아 있고, 탑신부는 소실되었다. 전북 김제 청운사석탑 2012.05.05 문현준 2012. 7. 9. [전북]김제 청운사오층석탑 청운사오층석탑 전라북도 김제시 청하면 대청리 산91-2 청운사에 있는 석가탑이다. 전북 김제 청운사 오층석탑 2012.05.05 문현준 2012. 7. 9. [전북]김제 청도리삼층석탑 종 목 :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53호 명 칭 : 청도리삼층석탑 (淸道里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면적 1기 지정일 : 2000.06.23 소재지 : 전북 김제시 금산면 청도리 91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나주라씨금양군파낙천와공종중 문 의 : 전라북도 김제시 문화홍보축제실 063-540-3884, 3324 귀신사와 가까운 곳에 서 있는 탑으로, 본래의 모습을 많이 잃어 다시 복원한 것이다. 형태는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안상(眼象) 무늬를, 위층 기단에는 기둥 모양을 새겨 놓았다. 탑신의 몸돌에도 기둥 모양을 새겼으며, 네 귀퉁이가 살짝 들린 지붕돌은 밑면에 3단의 받침을 두었다. 탑신의 몸돌과 지붕돌.. 2012. 7. 9. [전북]김제 귀신사석탑 종 목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62호 명 칭 : 귀신사석탑 (歸信寺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면적 1기 7,293㎡ 지정일 : 1974.09.27 소재지 : 전북 김제시 금산면 청도리 81 시 대 : 소유자 : 귀신사 관리자 : 귀신사 문 의 : 전라북도 김제시 문화홍보축제실 063-540-3884, 3324 귀신사는 통일신라 문무왕 16년(676) 의상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절안에 이 3층 석탑이 자리하고 있다. 바닥돌 위에 여러 장의 돌을 짜맞추어 기단(基壇)을 만들고 그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렸다. 탑신의 몸돌은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선명하게 조각하였다. 지붕돌은 얇고 넓으며 처마가 거의 평행을 이루다 네 귀퉁이에서 살짝 들려 있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 2012. 7. 9. [전북]김제 귀신사 석수 종 목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64호 명 칭 : 귀신사석수 (歸信寺石獸) 분 류 : 유물 / 기타종교조각/ 민간신앙조각/ 석조 수 량 : 면적 1구 지정일 : 1974.09.27 소재지 : 전북 김제시 금산면 청도리 81 시 대 : 소유자 : 귀신사 관리자 : 귀신사 문 의 : 전라북도 김제시 문화홍보축제실 063-540-3884, 3324 귀신사 3층 석탑 앞쪽에 놓여 있는 것으로, 웅크리고 있는 사자상 등 위로 남근석(남성의 생식기 모양으로 다듬은 돌)이 놓여 있다. 사자상은 머리를 치켜들고 앞을 바라보고 있는데 매우 사실적으로 표현되었다. 남근석은 2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아랫부분은 대나무에서와 같은 옅은 마디를 두었다. 사찰 내에서 이러한 조각상을 찾아보기란 매우 드문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 2012. 7. 9. [전북]김제 귀신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종 목 : 보물 제1516호 명 칭 : 김제 귀신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金堤 歸信寺 塑造毘盧遮那三佛坐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소조/ 불상 수 량 : 면적 3구 지정일 : 2007.04.20 소재지 : 전북 김제시 금산면 청도6길 40, 귀신사 (청도리)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귀신사 관리자 : 귀신사 지권인(智拳印)의 비로자나불을 본존으로 하고 좌우에 약사불(向右)과 아미타불(向左)을 배치한 삼불형식으로, 흙으로 제작한 소조상이다. 임진왜란 이후 17세기에는 대형의 소조불상이 많이 만들어졌는데 이 삼불좌상은 보물 제1360호 법주사 소조삼불좌상(玄眞 作, 1626년), 보물 제1274호 완주 송광사 소조삼불좌상(淸憲 作, 1641년) 등과 더불어 이러한 양상을 입증하여 주는 좋은 예이.. 2012. 7. 9. 이전 1 ··· 205 206 207 208 209 210 211 ··· 3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