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186 충남 예산 화암사 화암사 전통사찰 제70호 충남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 202 화암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7교구본사 수덕사의 말사로,화암사의 창건연대는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삼국시대의 고찰 이라고 전해지고 있으며, 이곳은 추사의 증조부인 월성위 김한신이 조선 영조의 부마가 되었을 때에 별사전으로 분급된 일대의 전토에 포함되어 있어 그 일문에 세습 되었다. 영조 28년(1752) 월성위가 중건 하였으나 그 후 대웅전은 소실되고 요사체만 남아있다.추사는 이 곳 오석산 화암사에서 불교에 정심하였고 현종 12년(1846) 제주 적소에서 문중에 서한을 보내어 화암사 중건을 지시한 사실이 전해진다. 이곳 화암사에 추사의 친필인 무량수각,시경,편액이 있으며.호암사 뒤편 오석산 암벽에 친필각자한 시경,천축고선생댁,소봉래등의 유적이 있다... 2022. 8. 20. 경북 울진 행곡리처진소나무 천연기념물 울진 행곡리 처진소나무 (蔚珍 杏谷里 처진소나무) 분 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문화역사기념물 / 기념 수량/면적 : 1주 지정(등록)일 : 1999.04.06 소재지 : 경북 울진군 근남면 행곡리 672번지 문화재 설명 처진 소나무는 가지가 밑으로 축 처진 모습을 하고 있으며 매우 희귀하다. 이 처진 소나무는 나이가 약 350년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가 11m, 둘레는 3.01m이다. 이 나무는 마을이 생겨날 때 심어진 것으로 전해지고 있어 마을의 상징으로 보호를 받고 있으며, 특히 나무의 모습이 매우 아름답다. 울진 행곡리 처진 소나무는 희귀종으로 생물학적 자료로서의 가치가 인정되어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천연기념물 울진 행곡리 처진소나무 2.. 2022. 8. 18. 경북 울진 동림사 삼층석탑 경북 울진 동림사 삼층석탑 2022.07.09 2022. 8. 18. 경북 울진 불영사 삼층석탑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불영사삼층석탑 (佛影寺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79.01.25 소재지 : 경상북도 울진군 불영사길 48 (금강송면, 불영사) 문화재 설명 불영사 내에 서 있는 3층 석탑으로,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 탑신(塔身)을 올린 후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 아래·위층 기단의 각면에는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을 새겼다.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하나의 돌로 쌓아올렸으며, 몸돌의 각 면마다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을 가지런히 새겼다. 지붕돌은 밑면에 4단씩의 받침을 두었고, 처마는 수평을 이루다 네 귀퉁이에서 살짝 올라갔다. 꼭대기에는 노반(露盤:머리장식받침받침) 위로 복발(覆鉢:엎어놓은 그릇모양의 장식), 앙화(仰.. 2022. 8. 18. 경북 울진 불영사 부도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불영사 부도 (佛影寺 浮屠)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85.08.05 소재지 : 경상북도 울진군 금강송면 하원리 산 34 시 대 : 22년(1696년) 문화재 설명 불영사로 들어가는 입구 옆에 자리하고 있는 사리탑으로, 조선 전기의 승려인 양성당 선사의 사리를 모셔두고 있다. 양성당 선사의 이름은 혜능(惠能)으로, 12세에 출가하여 승려의 길에 들어섰다. 숙종 22년(1696)에 돌아가셨는데 화장을 하고 나니 사리가 발견되어 이곳에 탑을 세우고 그 안에 사리를 모셔두었다 한다. 탑은 사각 바닥돌 위로 납작하고 둥근 기단(基壇)을 두고, 종모양의 탑신(塔身)을 올려놓은 모습이다. 기단의 옆면에는 연꽃무늬를 둘러 새겨 놓았고, 탑신의 .. 2022. 8. 18. 경북 울진 불영사 보물 울진 불영사 대웅보전 (蔚珍 佛影寺 大雄寶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수량/면적 : 1동 지정(등록)일 : 1994.05.02 소재지 : 경상북도 울진군 불영사길 48 (금강송면, 불영사) 시 대 : 조선시대 문화재 설명 불영사는 신라 진덕여왕 5년(651)에 의상대사가 세웠다고 전하는 절이다. 대웅보전은 절에서 석가모니불상을 모셔 놓은 중심 법당을 가리키며 지금 있는 건물은 안에 있는 탱화의 기록으로 영조 11년(1735)에 세운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규모는 앞면과 옆면이 모두 3칸씩이고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짜은 구조가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으로, 각 공포의 조각 솜씨가.. 2022. 8. 18. 경북 울진 구산리삼층석탑 보물 울진 구산리 삼층석탑 (蔚珍 九山里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68.12.19 소재지 : 경북 울진군 근남면 구산리 1494-1번지 문화재 설명 경북 울진군 구산리에 있는 탑으로,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이다. 기단은 아래위층 모두 네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본떠 새겼다. 각 기단의 맨윗돌은 윗면에 약한 경사가 있으며, 네 모서리의 선은 뚜렷하게 표현되어 있다.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고, 몸돌은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이 새겨져 있다. 1층 몸돌의 남쪽 면에는 길고 네모난 윤곽이 새겨져 있으나 무엇을 표현하려 하는지는 알 수가 없다. 지붕돌은 밑면에 5.. 2022. 8. 18. 강원 인제 한계사지 남.북 삼층석탑 보물 인제 한계사지 남 삼층석탑 (麟蹄 寒溪寺址 南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98.04.06 소재지 : 강원 인제군 북면 한계리 90-4번지 시 대 : 9세기 문화재 설명 한계사터는 한계령 중턱의 장수대에 자리잡고 있다. 앞으로는 한계천이 흐르고, 뒤로는 산줄기가 병풍처럼 펼쳐져 있는데, 한용운이 지은 책에 의하면, 신라 진덕여왕 원년(647)에 자장율사가 창건했다고 한다. 그 후 몇 차례의 보수를 거쳐 약 17세기 말까지는 절의 명맥을 유지했던 것으로 짐작된다. 현재 이 절터에는 건물의 주춧돌이 그대로 남아 있고, 삼층석탑 2기와 불상, 석등 등 많은 석조물이 있다. 쌍탑으로 보기도 하는 두 삼층석탑 가운데 금당터 앞에 서있는.. 2022. 8. 18. 강원 양양 오색리삼층석탑 보물 양양 오색리 삼층석탑 (襄陽 五色里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68.12.19 소재지 : 강원 양양군 서면 약수길 132 (오색리) 시 대 : 통일신라시대 문화재 설명 강원도 양양의 오색약수터에서 약 2㎞정도 떨어져 있는 곳에 위치한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이다. 이곳은 성국사(城國寺)터라 전해지는데 근거는 확실하지 않다. 3층석탑 외에 또다른 부재들이 흩어져 있는 것으로 보아 그리 넓지 않은 사찰이었다고 추정된다.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두고 있는 형태이다. 기단에는 기둥 모양을 새겼으며, 위층 기단의 맨윗돌에는 네 모서리에 빗물이 흐르는 홈을 표시하였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한 돌.. 2022. 8. 18.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