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186 강원 강릉 관음리오층석탑 강원도 유형문화재 강릉관음리오층석탑 (江陵觀音里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기 지정(등록)일 : 1992.06.10 소재지 : 강원 강릉시 성산면 관음리 774번지 문화재 설명 2층 기단(基壇)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의 석탑으로, 주변에 절터로 보이는 건물터와 석불의 대좌로 보이는 석물 등이 남아있다. 아래층 기단의 각 면에는 둥글넓적한 안상(眼象)을 얕게 새기고, 위층 기단에는 각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새겼다.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하나의 돌로 쌓아 올렸는데, 1층 몸돌은 큰 편이며, 2층부터는 높이가 급격히 낮아졌다. 지붕돌은 밑면에 3단의 받침을 두고, 네 귀퉁이는 높이 치켜 올라갔는데, 각층이 비슷한 크기로 거의 .. 2022. 8. 13. 강원 강릉에서 강원 강릉에서.. 2022.06.07 2022. 8. 13. 충남 당진 삽교천 함상공원야경 2022.05.20 촬영 2022.06.02 촬영 충남 당진 삽교천 함상공원 야경 2022. 8. 13. 충남 아산 야경 충남 아산 야경 문현준의사진속으로(2022.05.15 촬영) 2022. 8. 12. 충북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중앙탑) 국보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忠州 塔坪里 七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62.12.20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11 시 대 : 통일신라시대 8세기 남한강의 아름다운 경관과 잘 어우러져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으로, 당시에 세워진 석탑 중 가장 규모가 크며, 우리나라의 중앙부에 위치한다고 해서 중앙탑(中央塔)이라고도 부르는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7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높은 탑신을 받치기 위해 넓게 시작되는 기단은 각 면마다 여러 개의 기둥 모양을 새겨 놓았고, 탑신부의 각 층 몸돌 역시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몸돌을 덮고 있는 지붕돌은 네 귀퉁이 끝이 경쾌하게 치켜올려 있어.. 2022. 8. 12. 충남 서산 삼길포 충남 서산 삼길포항 소경 2022.05.02 촬영 삼길포 이전글보기 2011.11.14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서산 삼길포 [충남]서산 삼길포 서산 삼길포 문현준의사진속으로[2010.02.07] sajin365.net 2022. 8. 12. 충남 공주 마곡사 청련암 충남 공주 마곡사 청련암 2022.04.30 촬영 2022. 8. 12. 충남 아산 현충사 야경 충남 아산 현충사 야경 2022.04.29 촬영 문현준의사진속으로 2022. 8. 11. 충남 부여 홍양리오층석탑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부여홍양리오층석탑 (扶餘鴻良里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74.09.01 소재지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홍양리 190-1 문화재 설명 안량사(安良寺)라는 절이 있었다고 전해지는 곳에 남아 있는 5층 석탑이다. 현재는 절이 있었던 흔적은 찾을 수 없고 다만 탑 주변으로 기와·자기조각, 토기 등이 흩어져 있을 뿐이다. 탑의 실제기단의 하부는 확인되지 않지만 지대석이 마련되어 있고 상하단의 기단석이 마련되었다. 하단은 여러매의 돌로 이루어졌던 것으로 추정되나 현재 일부 유실이 된 상태이고 상단은 두장의 넓은 돌로 되어 있다. 그러나 중심축 침하로 인해 상단의 기단은 그나마 기울어진 형상이다. 그 위로 5층의 탑신(.. 2022. 8. 11. 이전 1 ··· 27 28 29 30 31 32 33 ··· 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