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186

충남 서천 성북리오층석탑 보물 서천 성북리 오층석탑 (舒川 城北里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서천군 비인면 성북리 182-1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지방적인 특색이 강했던 고려시대의 탑으로, 옛 백제 영토에 지어진 다른 탑들처럼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의 양식을 모방하였는데, 특히 가장 충실히 따르고 있다. 바닥돌 위에 올려진 기단(基壇)은 목조건축의 기둥과 벽과 같이 모서리에 기둥을 세우고, 그 기둥 사이를 판판한 돌을 세워 막았다. 탑신(塔身)은 몸돌을 기단에서처럼 기둥과 벽을 따로 마련하여 세워 놓았는데, 각 면의 모습이 위는 좁고 아래는 넓어 사다리꼴을 하고 있다. 몸돌 위로는 지붕돌을 얹기 전에 지붕받침을 2.. 2022. 8. 8.
충북 충주 탑평리칠층석탑(중앙탑) 국보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忠州 塔坪里 七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62.12.20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11 시 대 : 통일신라시대 8세기 남한강의 아름다운 경관과 잘 어우러져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으로, 당시에 세워진 석탑 중 가장 규모가 크며, 우리나라의 중앙부에 위치한다고 해서 중앙탑(中央塔)이라고도 부르는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7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높은 탑신을 받치기 위해 넓게 시작되는 기단은 각 면마다 여러 개의 기둥 모양을 새겨 놓았고, 탑신부의 각 층 몸돌 역시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몸돌을 덮고 있는 지붕돌은 네 귀퉁이 끝이 경쾌하게 치켜올려 있어.. 2022. 8. 8.
충북 충주호에서 충북 충주 충주호 아침안개 2022.01.31 촬영 2022. 6. 29.
충남 당진 한진포구 일출 충남 당진 한진포구에 서해대교 2022년 새해일출 2022.01.01 촬영 2022. 6. 29.
충남 예산 오추리고택 국가민속문화재 예산 오추리 고택 (禮山 梧楸里 古宅) 분 류 :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면적 : 필지/820㎡ 지정(등록)일 : 1984.12.24 소재지 : 충남 예산군 고덕면 지곡오추길 133-62 (오추리) 시 대 : 조선시대 ( 19세기 ) 안내판설명 국가민속문화재 제191호 충청남도 예산군 고덕면 오추리586 오추리 고택은 19세기 초에 지은 것으로 보이는 초가집이다. 이 집은 뒤로 산이 아늑하게 감싸고, 앞으로 넓은 들판이 펼쳐진 곳에 동남쪽을 향하여 자리를 잡고 있다. 안마당을 중심으로 안채와 사랑채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곳간채와 부엌, 광(창고) 등이 왼쪽과 오른쪽을 감싸고 있어 전체적으로 튼 ‘ㅁ’자 모양을 하고 있다. 본채와 별도로 헛간채와 화장실이 있다... 2022. 6. 10.
충남 당진 안국사지 석탑 및 석조여래삼존입상 보물 당진 안국사지 석탑 (唐津 安國寺址 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63.01.21 소재지 : 충청남도 당진시 원당골1길 188 (정미면) 시 대 : 고려시대 안국사터에 세워져 있는 탑이다. 안국사는 창건된 해가 분명하지 않고, 다만 절 안에서 발견된 유물들을 통해 고려시대에 창건되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후 조선시대에 폐사되었던 것을, 1929년 승려 임용준이 주지가 되어 다시 일으켜 세웠으나 곧 다시 폐사되어 현재는 터만 남아있다. 절터에는 이 탑 외에도 당진 안국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보물)이 보존되어 있다. 탑은 아래부분인 기단부(基壇部)가 다른 탑들에 비해 간단하고, 2층 이상의 탑몸돌이 없어진 채 지붕돌만 포개져 있어 다소.. 2022. 6. 10.
충남 서산 보원사지법인국사탑비외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瑞山 普願寺址 法印國師塔碑) 분 류 : 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19-2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서산시 보원사는 고란사라고도 하며, 이 절에 관한 역사는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주변에 담아있는 유물들을 볼 때 규모가 큰 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다. 비받침인 귀부(龜趺)는 거북모양이나, 머리는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의 모습으로, 목은 앞으로 빼고 콧수염은 뒤로 돌아 있으며 눈은 크게 튀어 나와 있다. 등 위에는 3단받침을 하고 비를 얹었으며, 비머리는 네 귀퉁이에서 안쪽을 바라보는 용을 새기고, 앞·뒷면에는 구름무늬를 조각하였다. 비문에 의하면, 법인국사.. 2022. 6. 9.
충남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보물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19-1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국유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보원사(普願寺)터 서쪽의 금당터 앞에 세워져 있는 고려시대의 석탑이다. 보원사는 백제 때의 절로 사찰에 대한 역사는 전혀 알려지지 않았으나, 1959년 국보 제84호인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이 발견되면서 학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절터에는 이 탑 외에도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과 탑비, 당간지주, 석조 등이 남아있어 당시 사찰의 규모가 매우 컸음을 알 수 있다.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이다... 2022. 6. 9.
충남 예산 대흥동헌및아문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예산대흥동헌및아문 (禮山大興東軒및衙門)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관아 수량/면적 : 2동 지정(등록)일 : 2003.10.30 소재지 : 충남 예산군 대흥면 동서리 106-1번지 시 대 : 조선 태종 7년(1407) 대흥동헌은 조선 초인 태종 7년(1407)에 창건되었고, 1914년에 대흥면사무소로 개조하여 사용되다가 1979년 해체복원 정비되었다. 대흥동헌은 기본 구조가 잘 남아 있고, 예산지역에 현존하고 있는 유일한 관아건물이며 1405년에 건립된 대흥향교와 함께 대흥지역의 역사를 증명하는 건축물로서 역사적·건축학적 보존가치가 있다. 자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한국의문화유산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예산대흥동헌및아문 2021.12.12 촬영 대흥동헌 이전글보기 .. 2022. 6.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