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186

전북 익산 남부교회 전북 익산 남부교회에서 2021.06.20 2021. 7. 8.
충남 태안 흥주사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흥주사만세루 (興住寺萬歲樓)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각루 수량/면적 : 1동19.8평 지정(등록)일 : 1990.09.27 소재지 : 충청남도 태안군 속말1길 61-61 (태안읍) 시 대 : 조선시대 태안읍의 뒷산 백화산 줄기의 동남편 산중턱에 자리한 고려시대 절인 흥주사의 중문이다. 중종 25년(1527)에 처음 지어지고 그 후 4차례에 걸쳐 다시 지었고, 1944년에 해체·복원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집이다. 경사진 곳에 자연석으로 축대를 쌓고 지었기 때문에 밖에서 보면 2층이지만 안에서 보면 단층건물로 보인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건물의 앞쪽에만 있는데 .. 2021. 7. 1.
충남 태안 흥주사삼층석탑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흥주사삼층석탑 (興住寺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73.12.26 소재지 : 충남 태안군 태안읍 속말1길 61-24 (상옥리) 시 대 : 고려시대 흥주사 대웅전 앞에 서 있는 탑으로, 일부분이 없어지거나 매몰되는 등 훼손이 심한 상태이다. 탑을 받쳐주는 기단(基壇)은 2층을 이루고 있는데, 아래층 기단의 일부가 땅에 묻혀 온전한 형태를 알 수 없다. 각 기단의 맨 윗돌은 아래위 모서리를 깎아내어 무딘 감을 주고 있으며, 위층 기단의 네 모서리와 각 면의 가운데부분에는 기둥모양을 본떠 조각해 놓았다. 탑신부(塔身部)는 2층까지만 남아 있으나, 비례로 보아 3층 석탑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1층 몸돌에는 각 면에 네모.. 2021. 7. 1.
충남 태안 남문리오층석탑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01호 명 칭 : 남문리오층석탑 (南門里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태안군 태안읍 탑골길 55 (남문리) 시 대 : 고려시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남문리 마을 안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널찍하게 마련한 돌단 위에 놓여 있다. 몇년 전까지 주변에서 기와조각이 발견되었고, 인근 민가 앞에서 작은 석불(石佛)이 발견되어 이곳이 절터였음을 말해주고 있다. 대체로 파손이 심하지 않은 이 탑은 기단(基壇)을 1층으로 쌓고, 그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윗돌을 괴어두는 부분에 2단의 높직한 괴임을 두었다. 탑신의 각 지붕돌은 밑면에 4단씩의 받침을 새겼으며,.. 2021. 7. 1.
충남 서산 동문동당간지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96호 서산동문동당간지주 (瑞山東門洞幢竿支柱) 분 류 : 유적건조물 수량/면적 : 1기/1 지정(등록)일 : 2008.04.10 소재지 : 충청남도 서산시 동문동 832-34 동문동에 소재한 오층석탑과 당간지주가 위치한 이곳은 고려시대에 큰절이 있었다고 해서 지금도 이곳을 대사동(大寺洞)이라고 부른다. 당간지주의 간대(竿臺)는 중앙에 간을 받치는 부분을 직경 20㎝ 정도로 파고 기둥자리의 원자(圓座)를 양각하였다. 장식적인 의장이나 아무런 조각이 없으며 1개의 통석으로 비교적 작고 소박하게 조성된 것으로 보아 고려 말에서 조선초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96호 서산동문동당간지주 2021.06.16 동문동 당간지주 이전글보기 2.. 2021. 6. 28.
충남 서산 동문동오층석탑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95호 서산동문동오층석탑 (瑞山東門洞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7.9 지정(등록)일 : 2008.04.10 소재지 : 충청남도 서산시 동문동 832-14 동문동에 소재한 오층석탑과 당간지주가 위치한 이곳은 고려시대에 큰절이 있었다고 해서 지금도 이곳을 대사동(大寺洞)이라고 부른다. 당간지주와 약 50m 정도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오층석탑은 현재 3층만이 남아있다. 현재 2중기단의 갑석위에 올려져 있는 탑층은 3층까지만 남아 있고 4층과 5층, 상륜부 등이 결실되었다. 옥개석과 탑신은 모두 1개의 통석으로 되어 있고 옥개받침은 4단이며 옥개석 네 귀퉁이가 반전되었고 우아한 체감율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고려시대 석탑이다 자료:국가문화.. 2021. 6. 28.
전북 군산에서 전북 군산에서 나무의 세월을 보다 2021.06.13 2021. 6. 25.
전북 군산 신용동 일본식가옥내 석탑 및 석등 전국 군산 신용동 일본식가옥내 석탑 및 석등 2021.06.13 2021. 6. 25.
전북 군산 은적사오층석탑 전북 군산 은적사 오층석탑 2021.06.13 은적사 오층석탑 이전글보기 2012.03.27 - [한국의석탑/전라북도] - [전북]군산 은적사 오층석탑 [전북]군산 은적사 오층석탑 전북 군산 은적사 오층석탑 2012.03.04촬영 문현준 sajin365.net 2021. 6.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