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186 충남 서산 문수사 석탑 문수사 삼층석탑 소재지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문수골길 201 시 대 : 고려/고려 후기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태봉리 문수사에 있는 고려 후기의 삼층 석탑으로 삼층석탑은 건립 배경에 관한 구체적인 기록이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문수사 삼층석탑은 부분적이기는 하지만 기단부, 탑신부, 상륜부를 모두 갖춘 114㎝ 높이의 탑이다. 탑 하단부는 매몰되어 잘 알 수 없으나, 방형의 지대석(地臺石) 위에 면석(面石)과 갑석(甲石)을 올려놓았다. 중대석 이외의 탑재가 멸실되어 확실한 기단을 살필 수는 없지만, 남아 있는 상대 갑석으로 보아 2층 기단임을 추정할 수 있다. 상대 갑석은 한 변이 93㎝인 비교적 넓은 판석으로 중대석을 받치고 있다. 중대석은 높이 38㎝로 우주(隅柱)[건물의 모퉁이에 세운 기둥].. 2021. 6. 23. 충남 서산 문수사 충남 서산 문수사 2021.06.06 2021. 6. 23. 충북 음성 코스카 골프 충북 음성 코스카 CC 소경 2021.05.11 2021. 6. 23. 충남 부여 홍양리오층석탑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9호 부여홍양리오층석탑 (扶餘鴻良里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74.09.01 소재지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홍양리 190-1 안량사(安良寺)라는 절이 있었다고 전해지는 곳에 남아 있는 5층 석탑이다. 현재는 절이 있었던 흔적은 찾을 수 없고 다만 탑 주변으로 기와·자기조각, 토기 등이 흩어져 있을 뿐이다. 탑의 실제기단의 하부는 확인되지 않지만 지대석이 마련되어 있고 상하단의 기단석이 마련되었다. 하단은 여러매의 돌로 이루어졌던 것으로 추정되나 현재 일부 유실이 된 상태이고 상단은 두장의 넓은 돌로 되어 있다. 그러나 중심축 침하로 인해 상단의 기단은 그나마 기울어진 형상이다. 그 위로 5층의 탑신(塔身.. 2021. 6. 17. 충남 서천 지현리삼층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28호 지현리삼층석탑 (芝峴里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서천군 한산면 지현리 18번지 지방 관아의 뜰에 남아 있던 것으로 전하는 3층 석탑이다. 탑신(塔身)의 1층 몸돌 남쪽면에 새긴 기록에는 고려 성종 10년(991) 한산지방의 호족이 나라를 지키기 위한 뜻을 담아 이 탑을 세웠다고 적고 있다. 자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28호 지현리삼층석탑 2021.05.05 지현리삼층석탑 이전글보기 2011.10.14 - [한국의석탑/충청남도] - [충남]서천 지현리삼층석탑 [충남]서천 지현리삼층석탑 지현리삼층석탑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28호 분 류 :.. 2021. 6. 17. 충남 서천 지석리삼층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31호 지석리삼층석탑 (支石里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서천군 종천면 지석길 39-28 (지석리) 지석리에 있는 3층 석탑으로, 원래 마을 뒷산에 있었는데 일제시대 때 일본인들이 가져가려고 이곳까지 운반해 왔다가 주민들의 반발로 가져가지 못하여 이곳에 자리잡게 되었다. 형태는 바닥돌 위에 1층 기단(基壇)을 세우고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에는 3개의 안상(眼象)을 얕게 조각하였고, 탑신의 몸돌에는 기둥을 본 뜬 조각을 두었다. 탑신의 1층 몸돌에 비해 2층 이상의 몸돌이 급격히 줄어들어 지붕돌보다도 높이가 낮아졌다. 기단에 새긴 안상조각이나 간략해진 탑의 구.. 2021. 6. 17. 충남 서천 수암리삼층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29호 수암리삼층석탑 (水岩里三層石塔) 수암리삼층석탑수암리삼층석탑 해당 문화재의 정보입니다. 분류, 수량/면적, 지정(등록)일, 소재지, 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관리자(관리단체)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서천군 문산면 수암리 229-11 시 대 : 조선시대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탑 전체를 하나의 돌로 조성한 것이 특이하다. 탑신의 몸돌에는 기둥 모양을 새겼다. 지붕돌은 네 귀퉁이가 치켜올라갔고, 밑면에는 3단의 받침을 두었다. 꼭대기에는 노반(露盤:머리장식받침)과 연꽃무늬를 두른 복발(覆鉢:엎어 놓은 그릇모양)을 올려 머.. 2021. 6. 17. 충남 서천 성북리오층석탑 보물 제224호 서천 성북리 오층석탑 (舒川 城北里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서천군 비인면 성북리 182-1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지방적인 특색이 강했던 고려시대의 탑으로, 옛 백제 영토에 지어진 다른 탑들처럼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 제9호)의 양식을 모방하였는데, 특히 가장 충실히 따르고 있다. 바닥돌 위에 올려진 기단(基壇)은 목조건축의 기둥과 벽과 같이 모서리에 기둥을 세우고, 그 기둥 사이를 판판한 돌을 세워 막았다. 탑신(塔身)은 몸돌을 기단에서처럼 기둥과 벽을 따로 마련하여 세워 놓았는데, 각 면의 모습이 위는 좁고 아래는 넓어 사다리꼴을 하고 있다. 몸돌 위로는 지붕돌을 얹기 .. 2021. 6. 17. 충남 서천 봉남리삼층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30호 봉남리삼층석탑 (峰南里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84.05.17 소재지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봉남리 산 57-2 시 대 : 고려시대 봉남리에 자리하고 있는 3층 석탑이다. 기단(基壇)과 탑신(塔身)의 몸돌에는 기둥 모양을 새겼고, 특히 1층 몸돌에는 문모양과 문고리를 조각해 두었다. 고려시대에 만든 탑으로 짐작되며, 전해오는 말에는 탑의 뒷편에 사찰이 있었다 하나 지금은 절터만 남아있다. 탑 속에서 발견된 귀금속은 일제 시대 때 일본군이 훔쳐가 남아있지 않다. 자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충남 서천 봉남리삼층석탑 2021.05.05 봉남리삼층석탑 이전글보기 2011.10.14 - [한국의석탑/충청남.. 2021. 6. 17. 이전 1 ··· 40 41 42 43 44 45 46 ··· 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