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186

경기 화성 용주사 천보루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36호 용주사천보루 (龍珠寺天保樓)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각루 수량/면적 : 1동 지정일 : 1983.09.19 소재지 : 경기 화성시 용주로 136 (송산동) 시 대 : 1790년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용주사는 사도세자의 묘소를 수호하고 명복을 빌어주기 위해 정조 14년(1790) 세운 절이다. 원래 이곳은 통일신라 때 세워 고려시대 때 소실된 갈양사의 옛터라고 전한다. 천보루는 절을 세울 당시에 지은 누각으로 규모는 앞면 5칸·옆면 3칸이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새 날개 모양으로 짜맞춘 익공 양식이다. 좌우에 있는 요사채보다 앞쪽으로 나와 있으며, 2층으로 오르기 .. 2020. 1. 7.
경기 화성 용주사 동종 국보 제120호 용주사 동종 (龍珠寺 銅鍾) 분 류 : 유물 / 불교공예 / 의식법구 / 의식법구 수 량 : 1구 지정일 : 1964.03.30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신라 종 양식을 보이는 고려시대 초기에 만들어진 대형의 범종으로, 높이1.44m, 입지름 0.87m, 무게 1.5톤이다. 종 맨 위에는 소리의 울림을 도와 주는 용통이 있고, 고리 역할을 하는 용뉴는 용이 여의주를 물고 두 발로 힘차게 몸을 들어 올리는 형상을 하고 있다. 윗 문양띠(上帶)에는 구슬무늬로 테두리를 하고 있는데, 아래 위 서로 어긋나게 반원을 그리고 그 안에 꽃과 구슬무늬을 새긴 넓은 띠를 두르고 있다. 이 띠는 사각형 모양의 연곽과 한 면이 붙어 있다. 4곳의 연곽 안에는 9개의 돌출된 연꽃 모양의 연뢰가 있는데, 남아.. 2020. 1. 7.
경기 화성 용주사 대웅보전 보물 제1942호 화성 용주사 대웅보전 (華城 龍珠寺 大雄寶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사찰 수 량 : 1동 / 98.90㎡ 지정일 : 2017.08.14 소재지 : 경기도 화성시 용주로 136 (송산동, 용주사) 시 대 : 조선시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화성 용주사는 사도세자의 묘소인 현륭원(縣隆園)의 능침사찰(陵寢寺刹)로서 제사 시 물자를 준비하기 위한 조포사(造泡寺)이며, 능침을 수호하고 명복을 빌게 하는 원당사찰(願堂寺刹)이다. 용주사의 건립은 왕실의 공사발주, 관부로부터 재원조달, 계획부터 공사감독까지 관 주도로 이루어진 관영공사로서 1790년 2월 19일에 공사를 시작하여 4월 15일에 상량을 하고, 마무리 건축 공사를 진행하며 불상을 조성하고 9월 29일에 점안하.. 2020. 1. 7.
충남 서산 보원사지오층석탑 종 목 : 보물 제104호 명 칭 :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瑞山 普願寺址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19-1번지 시 대 : 고려시대 보원사(普願寺)터 서쪽의 금당터 앞에 세워져 있는 고려시대의 석탑이다. 보원사는 백제 때의 절로 사찰에 대한 역사는 전혀 알려지지 않았으나, 1959년 국보 제84호인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이 발견되면서 학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절터에는 이 탑 외에도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과 탑비, 당간지주, 석조 등이 남아있어 당시 사찰의 규모가 매우 컸음을 알 수 있다.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이다. 아래기단 옆면.. 2020. 1. 7.
충북 진천 두타산 한반도 지형 충북 진천 두타산 한반도지형 전망대에서 2019.12.04 2020. 1. 7.
충남 예당 소경 충남 예산 예당저수지 소경 2019.12.01 예당저수지 이전글보기 2019/08/24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 예산 예당저수지 충남 예산 예당저수지 충남 예당저수지 소경 2017.04.06 예당저수지 이전글보기 2019/08/22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 예산 예당저수지 충남 예산 예당저수지 충남 예산 예당저수지 소경 2017.03.04 예당저수지 이전글보기 201.. sajin365.net 2019/08/22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 예산 예당저수지 충남 예산 예당저수지 충남 예산 예당저수지 소경 2017.03.04 예당저수지 이전글보기 2017/09/06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 예산 예당저수지 충남 예산 예당저수지 충남 예산 예당저수지의봄 2017.. 2020. 1. 7.
전북 진안 마이산탑 전라북도 기념물 제35호 마이산탑 (馬耳山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민간신앙 / 마을신앙 수량/면적 : 일원 지정일 : 1976.04.02 소재지 : 전북 진안군 마령면 마이산남로 367 (동촌리)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마이산 내에 쌓여 있는 돌탑들로 80여 기에 이르는데, 작은 바윗돌을 쌓아 만든 모습들이 대장관을 이루고 있다. 각각의 탑들은 다듬지 않은 작은 돌들을 그대로 사용하여, 위로 올라갈수록 점차 뾰족하게 쌓아올린 모습으로, 비록 막돌이긴 하나 설계가 정확하고 틈새가 없이 치밀하게 쌓여 우람한 체구가 하늘을 찌를 듯 높이 솟아 있다. 보는 이로 하여금 신비감을 불러 일으키고 있는 이 탑들은 이곳에 살았던 이갑용 처사가 쌓았다는 설이 있으나 확실하지 않고, 조선 전기에 나라.. 2020. 1. 6.
전북 진안 금당사석탑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22호 금당사석탑 (金塘寺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6.09.08 소재지 : 전북 진안군 마령면 마이산남로 406 (동촌리)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금당사 경내에 있는 탑으로, 현재 남아있는 부재들로 보아 5층 석탑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기단부(基壇部)는 가운데돌이 없어져 다른 돌로 대신하였으며, 그 위로 3층의 탑신(塔身)을 쌓아 올렸다. 지붕돌은 밑면에 3단의 받침을 두었다. 꼭대기에 놓인 머리장식은 후에 보충한 것으로 보인다. 규모가 작은 탑으로, 제작양식이나 수법으로 보아 고려시대에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22호 전북 진안 금당사석탑 2019.11.25 진안 금당사 석탑 이전글보기 2.. 2020. 1. 6.
충남 예산 향천사 구층석탑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74호 명 칭 : 향천사구층석탑 (香泉寺九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예산군 예산읍 향천리 57 시 대 : 삼국시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향천사 나한전 앞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1층 기단(基壇) 위에 9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네 모서리와 가운데에, 탑신은 몸돌의 모서리에 각각 기둥 모양을 본 떠 새겼다. 탑신의 2층 몸돌은 1층에 비해 높이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으며, 4층 부터는 몸돌이 없어진 채 지붕돌만 포개져 있어 옛 탑이 지니고 있었을 아름다움을 많이 잃고 있다. 얇고 넓적한 지붕돌은 밑면에 4단씩의 받침을 두고 있으며, 처마의 선이 양쪽 가에서 부.. 2020. 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