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186

충남 부여 미암사 석탑 충남 부여 미암사 석탑 2020.03.02 2020. 3. 5.
충남 부여 미암사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71호 부여저동리쌀바위 (扶餘苧洞里쌀바위) 분 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문화역사기념물 / 민속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2000.01.11 소재지 : 충남 부여군 내산면 저동리 산21-5번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산중 턱에 있는 높이 30m의 거대한 자연석 바위로, 일명 ‘쌀바위’라 불리는데, 이렇게 불리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한다. 예전에 한 노파가 대를 이을 손자를 얻기 위하여 미암사라는 절에 찾아와 지성으로 불공을 드렸다. 그러던 중 꿈에 관세음 보살이 나타나 호리병에서 쌀 세톨을 꺼내어 바위에 심고 끼니 때마다 여기서 나는 쌀을 가져다 밥을 지으라고 하였다. 노파가 꿈에서 깨어보니 바위에서 쌀이 나오고 바라던 손자도 얻게 되어 행복하게 살았다... 2020. 3. 5.
충남 아산 선장면 일몰 충남 아산 선장면 일몰 과 가창오리떼날다. 2020.02.29 2020. 3. 3.
충남 아산 인주면 삽교천 충남 아산 인주면 삽교천에서 2020.02.27 2020. 3. 3.
충남 당진 안국사지석탑 및 석조여래삼존입상 보물 제101호 당진 안국사지 석탑 (唐津 安國寺址 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청남도 당진시 원당골1길 188 (정미면) 시 대 : 고려시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안국사터에 세워져 있는 탑이다. 안국사는 창건된 해가 분명하지 않고, 다만 절 안에서 발견된 유물들을 통해 고려시대에 창건되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후 조선시대에 폐사되었던 것을, 1929년 승려 임용준이 주지가 되어 다시 일으켜 세웠으나 곧 다시 폐사되어 현재는 터만 남아있다. 절터에는 이 탑 외에도 당진 안국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보물 제100호)이 보존되어 있다. 탑은 아래부분인 기단부(基壇部)가 다른 탑들에 비해 간단하고, 2층 이상의 탑몸.. 2020. 2. 29.
충남 당진 면천읍성 충청남도 기념물 제91호 당진면천읍성 (唐津沔川邑城)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수량/면적 : 16,954㎡(10필) 지정일 : 1993.12.31 소재지 : 충남 당진군 면천면 군자길 3, 9필 (성상리) 읍성이란 군이나 현의 주민을 보호하고, 군사적·행정적인 기능을 함께하는 성을 말한다. 충청남도 당진군 면천면 소재지의 거의 전역을 둘러싸고 있는 읍성으로 조선 초기에 쌓은 것이다. 성의 둘레는 약 1,200m이고 성벽은 자연석을 다듬어 축조하였는데, 저수지 공사 등의 사업에서 이곳의 돌을 빼다 써서 현재는 유실된 부분이 많다. 서쪽 성벽과 남쪽 성벽이 비교적 잘 남아 있는데, 서벽의 경우 높이가 3.6m정도이다. 서벽의 안쪽 부분은 사다리꼴 모양으로 비탈지게 쌓았으며 바닥의 폭.. 2020. 2. 29.
충남 태안 연포 새해일출 충남 태안 연포 새해일출 2020년 새해에도 변함없이 가족들과 연포로... 뜨는해는 바라보지 못하고 .. 2020.01.01 연포 이전글보기 2016/08/03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충남 태안 연포 충남 태안 연포 충남 태안 연포 2016.01.01 문현준 연포 이전글보기 2015/07/13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충남]태안 연포일출 2014/01/08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충남]태안 연포일출 2011/11/12 - [한국의산하/일출.. sajin365.net 2015/07/13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충남]태안 연포일출 [충남]태안 연포일출 충남 태안 연포 일출줄에 2015.01.05 문현준 연포 이전글보기 2014/01/08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2020. 1. 8.
경기 화성 용주사오층석탑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12호 화성용주사오층석탑 (華城龍珠寺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2009.03.10 소재지 : 화성시 송산동 188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이탑은 간략화된 기단부와 탑신부의 탑신석과 옥개석 등의 양식과 치석 수법을 볼 때 고려시대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기단부 면석부에 위패형 제액을 마련한 점은 드문 예에 속한다.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12호 화성용주사오층석탑 2019.12.29 경기 화성 용주사오층석탑 이전글보기 2012/10/11 - [한국의석탑/서울경기] - [경기]화성 용주사 오층석탑 [경기]화성 용주사 오층석탑 종 목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12호 명 칭 : 화성용주사오층석탑 (華城龍珠寺 五層石塔) 분 류 .. 2020. 1. 7.
경기 화성 용주사 천보루오층석탑 화성 용주사 천보루오층석탑(세존사리탑) 2019.12.29 이전글보기 2012/10/11 - [한국의석탑/서울경기] - [경기]화성 용주사 천보루오층석탑(세존사리탑 [경기]화성 용주사 천보루오층석탑(세존사리탑 화성 용주사 천보루오층석탑(세존사리탑 [경기]화성 용주사 천보루오층석탑(세존사리탑) 2012.07.16 문현준 이전글보기 2011/10/15 - [한국의석탑/경기권] - [경기]화성 용주사 천보루오층석탑(세존사리탑) sajin365.net 2011/10/15 - [한국의석탑/서울경기] - [경기]화성 용주사 천보루오층석탑(세존사리탑) [경기]화성 용주사 천보루오층석탑(세존사리탑) 용주사 천보루오층석탑(세존사리탑) 문현준의사진속으로[2010.12.25] sajin365.net 2020. 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