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186

충남 천안 삼은공원 삼은저수지 가시연꽃 천안 직산 삼은공원 삼은저수지에 심은 멸종위기종 야생생물 2급  가시연꽃 개화  2024.09.14 2024. 9. 14.
전남 여수 국가산단전망대 야경 전남 여수 국가산단전망대에서 바라본 야경2023.10.28 2024. 9. 12.
전남 여수 불꽃축제 전남 여수 불꽃축제 2023.10.28 2024. 9. 12.
전남 여수 소호동동다리 전남 여수 소호동동다리에서 바라본 모습2023.10.29 2024. 9. 12.
전북 정읍 남근석 전북특별자치도 민속문화유산 남근석 (男根石) 분   류 : 유물 / 기타종교조각 / 민간신앙조각 / 석조 수량/면적 : 1기(1,023㎡) 지정일 : 1977.12.31 소재지 : 전북 정읍시 칠보면 백암리 1095번지 남근석은 남자의 성기모양을 한 자연암석이나, 암석을 조각하여 세운 것을 말하는데, 사람들이 섬기는 민간신앙 중 성기숭배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흰바위 마을 입구 서쪽에 자리하고 있는 이 남근석은 이 마을에 있는 12당산 중의 하나로, 일명 ‘자지바우’라고도 불리운다. 높이는 1.35m로, 네모난 단 위로 길고도 곧게 뻗어 있다. 꼭대기부분은 약간 뾰족하게 깎은 후 둥글게 처리하였다. 300년 전에 어려운 사람을 많이 도와주던 ‘박잉걸’이라는 사람이 이 남근석을 세웠다고 전한다. 음력 정월.. 2024. 9. 10.
전북 정읍 무성리삼층석탑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무성리삼층석탑 (武城里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98.01.09 소재지 : 전북 정읍시 칠보면 원촌1길 96 (무성리) 무성리 마을의 논 가운데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높게 마련된 축대 위에 서 있다. 바닥돌 위로 1층 기단(基壇)과 3층의 탑신(塔身)을 올려놓은 모습으로, 탑신의 1층 몸돌이 지나치게 크다. 기단과 탑신의 각 몸돌은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을 본떠 새겼다. 지붕돌은 밑면에 3단씩의 받침을 두었으며, 윗면에는 느린 경사가 흐르고 있다. 얇아 보이는 지붕처마는 수평을 이루다가 양 끝에서 살짝 위로 들려 있다. 꼭대기에는 노반(露盤:머리장식받침), 앙화(仰花:활짝 핀 연꽃모양 장식), 보주(寶珠:구슬.. 2024. 9. 10.
전남 순천 금둔사지 삼층석탑 보물 순천 금둔사지 삼층석탑 (順天 金芚寺址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8.04.01 소재지 : 전라남도 순천시 수정암길 192 (낙안면) 시   대 : 통일신라시대 9세기 낙안면 소재지에서 북으로 약 2km 떨어진 금전산의 무너진 절터에 자리하고 있는 탑이다. 『동국여지승람』에 “금전산에 금둔사가 있다”라는 기록이 있어 이 절터를 금둔사라고 추정하고 있으며, 현재는 조그마한 암자가 지어져 금둔사의 명맥을 잇고 있다. 탑은 2단의 기단(基壇)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기둥 모양을 본떠 새기고, 위층 기단에는 기둥과 8부중상(八部衆像)을 도드라지게 새겨 놓았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한 개의 돌.. 2024. 8. 22.
전남 순천 금둔사지 석조불비상 보물 순천 금둔사지 석조불비상 (順天 金芚寺址 石造佛碑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 1구 지정(등록)일 : 1988.04.01 소재지 : 전라남도 순천시 수정암길 192 (낙안면) 시   대 : 통일신라시대 9세기 전라남도 승주군 낙안면 금전산의 서쪽에 있는 절터에 삼층석탑과 함께 있다.『동국여지승람』에 ‘금전산에 금둔사(金芚寺)가 있다’고 하여 이곳으로 추정하고 있다. 지붕 모양의 보개(寶蓋)와 대좌(臺座)를 갖춘 이 불상은 직사각형의 평평한 돌 한쪽면에 불상을 조각하여 마치 거대한 비석의 형태를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민머리의 정수리 부분에는 낮은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솟아있고 얼굴은 원만한 형태이다. 신체는 우아하게 굴곡이 있어 부피감이 느껴지며 단아.. 2024. 8. 22.
전남 순천 금둔사 전통사찰79호로  전남 순천시 낙안면 상송리에 있는 절로 금은 부처님이고 둔은 싹이 돋는다는 뜻으로 일체 중생은 각기 불성을 갖추어 있기에 스스로 조건만 맞추어 주면 누구나 부처님이 된다는 의미라고 함. 전남 순천 금둔사 2023.10.28문현준의사진속으로금둔사 이전글 보기2013.09.03 - [한국의법당/전라남도] - [전남]순천 금둔사 [전남]순천 금둔사전남 순천시 낙안면 상송리 산2-1 금둔사 2013.03.01문현준sajin365.net 2024. 8.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