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186

경기 남양주 묘적사 팔각다층석탑 경기도 유형문화유산 남양주 묘적사 팔각다층석탑 (南楊州 妙寂寺 八角多層石塔) 분   류 : 유물 / 불교공예 / 기타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2013.11.12 소재지 :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월문리 349 시   대 : 16세기 초 우리나라에서 흔하지 않은 팔각다층석탑으로 묘적사 대웅전 앞에 건립되어 있다. 기초가 되는 지대석은 2장의 판석으로 구성했으며, 팔각형으로 되어있다. 지대석 위에는 2매 석으로 구성된 하층 기단을 놓았는데, 측면 하단에는 상각(象脚) 문양을 조각했고, 상단에는 각 면에 사각형 액(額)으로 공간을 구획한 후에 2조의 안상(眼象)문양을 조각했다. 상층기단은 아래서부터 하대, 중대석, 상대의 순서로 배치되어있다. 하대에는 상각, 안상(眼象)문양, 복연 연판문양 순서로 표현.. 2024. 8. 13.
충남 아산 곡교천소경 및 삽교천 일몰 충남 아산 곡교천 및 삽교천 일몰2023.10.03 2024. 8. 13.
충북 진천 한반도지형 충북 진천 한반도지형 전망대 일몰2023.10.02진천 한반도지형 이전글보기2020.01.07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북 진천 두타산 한반도 지형 충북 진천 두타산 한반도 지형충북 진천 두타산 한반도지형 전망대에서 2019.12.04sajin365.net 2024. 8. 5.
충북 진천 지암리 석조여래입상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진천 지암리 석조여래입상 (鎭川 芝岩里 石造如來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 1구 지정일 : 2002.04.26 소재지 : 충북 진천군 진천읍 금사로 252-106, 문수암 (지암리) 시   대 : 고려시대 초기 이 불상은 미륵산(彌勒山) 높은 산봉우리 가까이 위치하였는데 뒤편 숲속에 드러나 있던 것을 1970년대에 수습하여 현재의 위치에 세운 석가여래입상으로 전체 높이 180㎝이다. 민머리의 정수리 부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큼직하게 솟아 있고, 얼굴은 원만하며 눈·코·입 또한 솜씨있게 처리되어 있다. 양쪽 귀는 긴 편이 아니나 목에는 3줄의 주름인 삼도(三道)가 뚜렷하며,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 옷은 가슴에 굵은 옷주름이 표현되었.. 2024. 8. 5.
충북 진천 용화사 석조여래입상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진천 용화사 석조여래입상 (鎭川 龍華寺 石造如來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4.12.31 소재지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신정리 584-4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신정리에 있는 높이 7m의 커다란 불상으로 타원형의 얼굴에 은근한 미소가 보인다. 머리 꼭지에는 벙거지 같은 것이 올려져 있는데 나중에 고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목에는 3줄로 새겨진 삼도(三道)가 있고 그 아래에 표현된 목걸이 장식은 얼굴과 함께 불상을 돋보이게 하고 있다. 신체는 부피감이 거의 없는 커다란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옷은 가슴을 드러낸 채 양 어깨에 걸쳐 입었고 하체에는 U자 모양의 주름을 겹쳐 나타냈다. 가슴 앞에 들고 있는 오른손이나, .. 2024. 8. 5.
충북 진천 배티성 충청북도 기념물 진천 배티 성지 (鎭川 梨峙 聖地)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천주교 / 성당 수량/면적 : 3개소, 일원(6필지 2,197㎡) 지정일 : 2011.03.04 소재지 : 충청북도 진천군 배티로 708 (백곡면) 시   대 : 1850~1860년대 진천 배티 성지[鎭川 梨峙 聖地]는 한국 천주교회사에서 중요한 성지로 박해를 피해 숨어들은 천주교 신자들에 의해 1830년대에 敎友村이 형성되었으며, 1850년에는 프랑스 선교사 다블뤼(한국 성명 安敦伊) 성인 주교가 설립한 우리나라 최초의 신학교인 朝鮮敎區神學校가 자리를 잡았던 곳이다. 또한 우리나라 최초의 유학생이며 두 번째 신부인 崔良業(1821~1861년, 세례명 : 토마스) 신부를 비롯하여 프랑스 선교사 프티니콜라(한국 .. 2024. 8. 5.
경기 시흥 오이도 일몰 경기 시흥 오이도 일몰2023.09.22 2024. 8. 5.
제주 이호테우해변 및 중엄새물 제주 이호테우해변제주 중엄새물2023.09.07 2024. 8. 1.
제주 곽지해수욕장 및 가문동 포구 곽지해수욕장 과물노천탕2023.09.07 2024. 8.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