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197 강원 정선 병방치 스카이워크 전망대 강원 정선 병방치 스카이워크 전망대 2023.07.03 2023. 11. 30. 강원 정선 청옥산 육백마지기 강원 정선 청옥산 육백마지기 2023.07.03 2023. 11. 30. 강원 영월 주천삼층석탑 강원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 주천삼층석탑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84.06.02 소재지 : 강원도 영월군 주천면 주천리 1124-1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흥령사라는 절을 처음 지을 때 이 절을 안내하기 위해 세운 3기의 탑 중 하나로 전하고 있다. 기단은 일부 떨어져 나갔으며, 각 면의 가운데와 모서리마다 기둥을 본 떠 새겨 놓았다. 아래층 기단의 맨 윗돌에는 알구멍같은 구멍이 3군데 있고, 윗면에는 연꽃무늬가 장식되어 있다. 탑신은 1층 몸돌에만 기둥 모양을 새겼다. 2층 지붕돌은 끝부분이 깨져 있는데, 그 탓에 3층 지붕돌이 더 커보여 마치 다른 탑의 것을 끼워놓은 것처럼 보인다. 흥령사 창건 당시.. 2023. 11. 30. 강원 정선 용탄리사지삼층석탑 한국의석탑 정선군 향토유적 용탄리사지삼층석탑 2023.07.03 2023. 11. 30. 강원 춘천 삼악산 케이블카 및 김유정문학관 강원 춘천 삼악산케이블카 김유정문학관 2022.11.05 촬영 2023. 9. 19. 강원 양양 진전사지 삼층석탑 국보 양양 진전사지 삼층석탑 (襄陽 陳田寺址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6.02.28 소재지 : 강원 양양군 강현면 둔전리 100-2번지 시 대 : 통일신라시대 진전사의 옛터에 서 있는 3층 석탑이다. 진전사는 8세기 후반 통일신라시대에 도의국사가 창건한 절이라 전하는데, 터 주변에서 ‘진전(陳田)’이라 새겨진 기와조각이 발견되어 절의 이름이 밝혀졌다. 탑은 통일신라의 일반적인 모습으로, 2단의 기단(基壇)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려 놓은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날아갈 듯한 옷을 입은 천인상(天人像)이 있으며, 위층 기단에는 구름위에 앉아 무기를 들고 있는 웅건한 모습의 8부신중(八部神衆)이 있다. 탑신의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 2023. 9. 12. 강원 속초 노학동삼층석탑 강원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 속초노학동삼층석탑 (束草蘆鶴洞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2000.01.22 소재지 : 강원 속초시 노학동 산433번지 시 대 : 고려시대중기 설악산 수련원에서 달마봉 쪽으로 약 30분 정도 오르면, 한적한 절터에 이 석탑이 자리하고 있다. 이 석탑은 단층(單層)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석탑으로, 1층 탑신과 지붕돌[옥개석(屋蓋石)]은 각 하나의 돌로 만들어졌다. 2층 지붕돌과 3층 탑신, 3층 지붕돌과 노반(露盤)은 각각 1석으로 조성되었고, 2층 탑신은 없어졌다. 탑의 가장 큰 특징은 1층 탑신의 4면에 사방불(四方佛)을 조성한 점이다. 연꽃 받침 위에 원형 머리 빛[두광(頭光)]과 몸 빛[신.. 2023. 7. 10. 강원 고성 수타사오층석탑 강원 고성 수타사오층석탑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에 의하면 수태사3층석탑이 있다.고 한다. 석탑은 현재 4층으로 옥신석1매와 옥개석 3매까지만 남아있는데 본래 고려시대 5층 석탑이었을것으로 추정된다. 구전에 의하면 고려말 공양왕이 이곳에 유배되어 2년동안 머물렀고, 사찰은 페허가 된 후 멸실되어 그 흔적을 찿을 수 없다고 전해진다. 위치: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금수리 전420번지 한국의석탑 강원 고성 수타사오층석탑 2022.09.18촬영 문현준의사진속으로 2023. 7. 10. 강원 고성 서낭바위 강원 고성 서낭바위 2022.09.18 2023. 6. 30. 이전 1 2 3 4 5 ···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