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259 경기 안성 청원사칠층석탑 종 목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6호 명 칭 : 청원사칠층석탑 (淸源寺七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3.09.19 소재지 : 경기 안성시 원곡면 성은리 397 시 대 : 조선시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청원사 대웅전 앞마당에 서 있는 7층 석탑으로, 넓다란 바닥돌 위에 1층의 기단(基壇)을 두고 7층의 탑신(塔身)을 올렸다.기단은 밑돌·가운데돌·맨윗돌로 짜여 있는데, 밑돌과 맨 윗돌의 옆면에는 조선시대 특유의 안상(眼象)을 각 면에 네 개씩 새겼다. 또한 연꽃도 장식되어 있어 눈길을 끈다. 기단의 가운데돌과 탑신부의 일곱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을 조각하였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매우 낮게 표현되어 있으며 각 층마다 받침수도 불규칙.. 2019. 12. 21. 경기 양평 옥천리 삼층석탑 양평군 향토유적 제33호 양평 옥천리 삼층석탑 양평군 향토유적 제33호 양평 옥천리 삼층석탑 2019.05.16 이전글 보기 2019/07/02 - [한국의석탑/서울경기] - 경기 양평 옥천리 삼층석탑 경기 양평 옥천리 삼층석탑 2016.08.20 촬영 경기 양평 옥천리 삼층석탑 문현준의사진속으로 sajin365.net 2019. 12. 19. 경기 양평 용천리삼층석탑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21호 양평용천리삼층석탑 (楊平龍川里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83.09.19 소재지 : 경기 양평군 옥천면 용천리 304번지 사나사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사나사 대웅전 앞에 자리하고 있는 3층 석탑으로, 기단부(基壇部)와 탑신부(塔身部), 머리장식을 갖추고 있다. 바닥돌 위에는 아래층 기단의 맨 윗돌로 보이는 부재가 놓여 있고, 위층 기단과 탑신의 몸돌은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이 있다. 특히 탑신의 1층 몸돌을 다른 층에 비해 월등히 높게 만들어 놓아 독특한 모습이다. 지붕돌은 윗면에 느린 경사가 흐르고, 네 귀퉁이에서 경쾌하게 위로 들려 있으며, 밑면에는 3단씩의 받침을 두고 있다. 꼭대기에는 머.. 2019. 12. 19. 경기 양평 사나사 원증국사탑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72호 사나사원증국사탑 (舍那寺圓證國師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78.10.10 소재지 : 경기 양평군 옥천면 용천리 304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부도는 승려의 무덤을 상징하여 그 유골이나 사리를 모시는 곳이다. 이 부도는 사나사에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고려 후기의 승려인 태고화상 보우(1301∼1382)의 사리를 모시고 있다. 국사는 13세에 회암사 광지선사에 의해 중이 되었고, 충목왕 2년(1346) 원나라에 가서 청공의 법을 이어 받았다. 충목왕 4년(1348) 귀국하여 소설암이라는 암자에서 수도를 하고 왕사·국사가 되었으며, 이 암자에서 입적하였다. 부도는 기단(基壇) 위로 종모양의 탑.. 2019. 12. 19. 경기 양평 사나사 원증국사석종비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73호 사나사원증국사석종비 (舍那寺圓證國師石鐘碑) 분 류 :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78.10.10 소재지 : 경기도 양평군 시 대 : 고려시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사나사를 중창했던 고려 후기의 승려 원증국사 보우(1301∼1382)의 비이다. 보우의 호는 태고이며, 시호는 ‘원증’이고, 탑의 이름은 ‘보월승공’이다. 비는 고려말·조선초에 유행했더 양식으로, 받침돌 윗면에 비를 꽂아둘 네모난 홈을 파서 비몸을 세우고, 그 양 옆에 기둥을 대어 지붕돌을 얹었다. 비문은 파손되어 내용을 완전히 파악하기는 어렵다.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73호 사나사원증국사석종비 2019.05.16 2019. 12. 19. 경기 시흥 관곡지 연꽃 경기 시흥 관곡지 연꽃 2018.07.15 관곡지 이전글보기 2019/09/07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경기 시흥 관곡지 경기 시흥 관곡지 경기 시흥 관곡지 수련 2017.09.01 sajin365.net 2019. 10. 17. 경기 과천 연주암 삼층석탑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04호 연주암삼층석탑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0.06.02 소재지 : 경기 과천시 자하동길 64 (중앙동) 시 대 : 고려시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연주암 대웅전 앞에 서 있는 3층 석탑이다. 연주암은 통일신라 문무왕 17년(677) 의상대사가 ‘관악사(冠岳寺)’라는 이름으로 창건하였다. 그 후 여러 차례의 단장을 거치고, 양녕대군과 효녕대군이 머물면서 연주암이라 부르게 되었다. 탑은 1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리고 머리장식을 얹은 형태이다. 바닥돌에는 연꽃을 둘러 장식하고, 기단 네 모서리와 탑신의 몸돌에는 기둥모양을 새겼다. 두툼한 지붕돌은 밑면에 1층은 4단, 2·3층은 3단의 받침을 두어 .. 2019. 9. 7. 경기 과천 관악산 연주대에서 경기 과천 관악산 연주대에서 2017.06.17 2019. 9. 7. 경기 과천 관악산 연주대 경기도 기념물 제20호 연주대 (戀主臺) 분 류 : 자연유산 / 명승 / 자연명승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73.07.10 소재지 : 경기 과천시 중앙동 산12-4번지 시 대 : 조선시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관악산의 봉우리 중에 죽순이 솟아오른 듯한 모양을 한 기암절벽이 있는데, 그 위에 석축을 쌓고 자리잡은 암자를 연주대라 한다. 원래는 의상대사가 문무왕 17년(677)에 암자를 세우면서 ‘의상대’라 이름했었는데, 고려 멸망 후 조선을 반대하며 고려에 충성을 다하던 유신들이 이곳에 모여, 멀리 개경쪽을 바라보며 고려를 그리워하여 연주대(戀主臺)로 이름을 고쳐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또한 조선 태종(재위 1400∼1418)이 셋째왕자 충녕대군을 장차 태자로 책봉하려 하자 이를 눈치챈 첫째.. 2019. 9. 7. 이전 1 ··· 3 4 5 6 7 8 9 ··· 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