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승11 경기 포천 화적연 명승 포천 화적연 (抱川 禾積淵) 분 류 : 자연유산 / 명승 / 문화경관 수량/면적 : 213,473㎡ 지정일 : 2013.01.04 소재지 :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산 115-0 자일리 화적연은 한탄강의 강물이 휘도는 아름다운 지형에 있는 바위로, 강물과 자연식생이 함께 어우러져 비경을 이루고 있다. 하천이 휘돌아가며 생겨난 깊은 연못과 수면위로 거대한 화강암 바위가 13m나 솟아올라 있으며, 짙은색의 현무암 절벽과 밝은색의 기둥바위, 짙푸른 물빛이 어우러져 있다. 화적연은 지형적 가치도 높은데, 대보화강암(중생대 백악기 화강암)을 뒤덮은 현무암층, 현무암 주상절리, 화강암 암반, 상류에서 공급된 풍부한 모래와 자갈 등 다양한 지형 요소들을 관찰할 수 있다. 이들 지형요소들은 서로 어우러져 하천을.. 2024. 11. 17. 제주 서귀포 정방폭포 명승 제주 서귀포 정방폭포 (濟州 西歸浦 正房瀑布) 분 류 : 자연유산 / 명승 / 문화경관 수량/면적 : 301,972㎡ 지정일 : 2008.08.08 소재지 : 제주 서귀포시 칠십리로 156-8 (서귀동) 「제주 서귀포 정방폭포(濟州 西歸浦 正房瀑布)」는 한라산 남측 사면으로부터 발원하여 남쪽으로 흘러내리는 애이리내의 남쪽 하단에 발달한 폭포로 폭포수가 바다로 떨어지는 동양 유일의 해안폭포로 세계적으로도 자마이카의 던리버폭포 정도만이 잘 알려져 있는 매우 희귀한 형태의 폭포이다. 주상절리가 잘 발달한 해안 절벽에 수직으로 떨어지는 20여m의 물줄기가 제주 남쪽 바다의 푸르른 해안 절경과 어우러져 장관을 이루어 천지연폭포, 천제연폭포 등과 함께 제주도를 대표하는 폭포로 널리 알려져 있다. 정방폭포는.. 2024. 8. 1. 제주 서귀포 외돌개 명승 제주 서귀포 외돌개 (濟州 西歸浦 외돌개) 분 류 : 자연유산 / 명승 / 문화경관 수량/면적 : 7,931㎡ (해역부 88,607㎡) 지정일 : 2011.06.30 소재지 : 제주 서귀포시 서홍동 791번지 일원 외돌개의 높이는 20여m, 폭은 7~10m로 화산이 폭발하여 분출된 용암지대에 파도의 침식작용으로 형성된 돌기둥으로 수직의 해식절벽이 발달한 주변 해안과 해식동굴이 함께 어우러져 특이한 해안 절경을 연출하는 명승지이다. 바다에 나가 돌아오지 않는 할아버지를 기다리던 할머니가 돌로 굳어 외돌개가 되었다는 할망바위 전설이 있다. 국가유산 설명 외돌개의 높이는 20여m, 폭은 7~10m로 화산이 폭발하여 분출된 용암지대에 파도의 침식작용으로 형성된 돌기둥으로 수직의 해식절벽이 발달한 주변 .. 2024. 8. 1. 충북 단양 도담삼봉 종 목 : 명승 제44호 명 칭 : 단양 도담삼봉 (丹陽 島潭三峰) 분 류 : 자연유산 / 명승/ 역사문화명승 수량/면적 : 82,979㎡(지정구역) 지정일 : 2008.09.09 소재지 : 충북 단양군 단양읍 도담리 195번지 등 시 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단양군 「단양 도담삼봉(丹陽 島潭三峰)」은 절경이 특이하고 아름다워 단양팔경 중 으뜸으로 손꼽히며 단양군수를 지낸 이황을 비롯하여 황준량, 홍이상, 김정희, 김홍도, 이방운 등이 많은 시와 그림을 남긴 곳이다. 이곳에는 조선시대 개국공신인 정도전 탄생에 관련한 설화가 전해 내려오는데 정도전은 자신을 삼봉이라 자호할 정도로 이곳을 사랑했다고 전한다. 도담삼봉은 석회암 카르스트 지형이 만들어낸 원추 모양의 봉우리로 남한강이 휘돌아 이룬 깊은 못에.. 2016. 8. 21. 경북 예천 회룡포 종 목 : 명승 제16호 명 칭 : 예천회룡포 (醴泉 回龍浦) 분 류 : 자연유산 / 명승/ 자연명승/ 수량/면적 : 지정일 : 2005.08.23 예천 회룡포는 내성천 및 낙동강 상류일대에 나타나는 수많은 감입곡류 지형이 가장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곳으로 하천(맑은 물, 백사장)과 그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가파른 경사의 산악지형 그리고 농경지와 마을이 어우러져 비경을 연출하는 곳으로 경관적(예술적) 가치가 뛰어나다. 또한 하성단구, 하성도, 포인트바, 범람원을 한눈에 볼 수 있어 침식 및 퇴적지형 연구의 기초자료로서 학술적 가치가 크며 하천을 둘러싸고 있는 비룡산에는 신라시대 고찰인 장안사 등의 문화유적이 잘 보존되고 있어 명승적 가치를 높여주고 있다. 자료바로가기 : 문화재청 명승 제16호 경북 예천회.. 2015. 11. 3. [전남]장성 백양샤 대웅전외 명 칭 : 백양사극락보전 (白羊寺極樂寶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량/면적 : 1동 지정일 : 1972.08.07 소재지 : 전남 장성군 북하면 백양로 1239 (약수리) 시 대 : 소유자 : 관리자 : 백양사 문 의 : 전라남도 장성군 문화관광과 061-393-1983 백암사는 백제 무왕 33년(632) 여환이 세웠다고 하는데, 시대를 거치면서 여러 차례 고쳐 지었다. 지금의 절은 1917년 송만암이 고쳐 세운 것이다. 극락보전은 조선 선조 7년(1574)에 한응선사가 지었다는 기록이 있으나 확실히 알 수는 없다. 다만 『조선사찰사료』를 보면 건물을 지을 때 조선 중종(재위 1506∼1544)의 비인 문정왕후가 참여했음을 알 수 있다. 앞면 3칸·옆면 4칸 규모로, 지붕 옆면.. 2015. 7. 8. [강원]영월 선암마을 한반도 지형 종 목 : 명승 제75호 명 칭 : 영월 한반도 지형 (寧越 韓半島 地形) 분 류 : 자연유산 / 명승/ 자연명승/ 수량/면적 : 340,627㎡ 지정일 : 2011.06.10 소재지 : 강원 영월군 한반도면 옹정리 180번지 일원 소유자 : 국유,공유,사유 관리자 : 영월군 한반도를 닮아 ‘한반도 지형’이라 불리게 되었으며, 사계절마다 특색 있는 경관을 보여 주는 명승지이다. 영월 한반도 지형은 서강 지역을 대표하는 경관 중 하나로, 평창강 끝머리에 자리 잡고 있으며, 굽이쳐 흐르는 하천의 침식과 퇴적 등에 의하여 만들어진 지형이다. 명승 제75호 강원 영월 선암마을 한반도지형 2014.08.03 문현준 2015. 4. 11. [강원]영월 청령포 종 목 : 명승 제50호 명 칭 : 영월 청령포 (寧越 淸泠浦) 분 류 : 자연유산 / 명승/ 자연경관/ 지형지질경관 수 량 : 면적 204,241㎡(지정구역) 지정일 : 2008.12.26 소재지 : 강원 영월군 남면 광천리 산67-1번지 등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강원 영월군 영월 청령포는 어린 나이에 세조에게 왕위를 빼앗긴 단종의 유배지로 서쪽은 육육봉의 험준한 암벽이 솟아 있고 삼면이 강으로 둘러싸여 섬과 같이 형성된 곳으로 한양을 바라보며 시름에 잠겼다고 전하는 노산대, 망향탑 돌무더기 등 슬픈 역사가 남아 있는 유서 깊은 곳이다. 천연기념물인 ‘관음송’을 비롯하여 단종의 어가 주변에 조성된 크고 오래된 소나무림이 270° 돌아흐르는 서강과 어우러져 자연 경관이 뛰어.. 2015. 4. 11. [강원]영월 선돌 종 목 : 명승 제76호 명 칭 : 영월 선돌 분 류 : 자연유산 / 명승/ 자연경관/ 지형지질경관 수 량 : 면적 222,774㎡ 지정일 : 2011.06.10 소재지 : 강원 영월군 영월읍 하송로 64 (하송리) 소유자 : 국·공·사유 관리자 : 영월군 선돌은 영월 방절리 서강가의 절벽에 위치하며 마치 큰 칼로 절벽을 쪼갠 듯한 형상을 이룬 곳으로 높이 약 70m 정도의 입석으로 신선암(神仙岩)이라고도 불리며, 푸른 강물과 층암절벽이 어우 러져 아름다운 경관을 보여주는 곳이다. 단종이 영월 청령포(명승 제50호)로 가는 길에 선돌이 보이는 곳에서 잠시 쉬어 가며, 우뚝 서 있는 것이 마치 신선처럼 보였다고 하여 ‘선돌’이 되었다고 하는 전설 등이 담겨있는 명승지이다. 자.. 2015. 4. 1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