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탑972 경북 경주 감은사지 동서삼층석탑 종 목 : 국보 제112호 명 칭 : 경주 감은사지 동ㆍ서 삼층석탑 (慶州 感恩寺址 東ㆍ西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2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경북 경주시 양북면 용당리 55-3, 55-9 시 대 : 통일신라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감은사터 넓은 앞뜰에 나란히 서 있는 쌍탑이다. 2단의 기단(基壇)위에 3층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서로 같은 규모와 양식을 하고 있으며, 옛신라의 1탑 중심에서 삼국통일 직후 쌍탑가람으로 가는 최초의 배치를 보이고 있다. 감은사는 삼국을 통일한 문무왕이 새 나라의 위엄을 세우고, 당시 틈만 나면 동해로 쳐들어 오던 왜구를 부처의 힘으로 막아내어 나라의 안정을 도모하고자 세운 절로, 동해 바닷가인 이 곳.. 2019. 11. 19. 충남 아산 온천리 석탑 충남 아산 온천리 석탑 2018.11.25 온천리 석탑 이전사진보기 2013/08/22 - [한국의석탑/충청남도] - [충남]아산 온천리석탑 [충남]아산 온천리석탑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26호 명 칭 : 온천리석탑 (溫泉里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면적 1구 지정일 : 1984.05.17 해제일 : 1987.12.28 소재지 : 충남 아산시 온천동 242-1.. sajin365.net 2013/08/20 - [한국의석탑/충청남도] - [충남]아산 온천리석탑 [충남]아산 온천리석탑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26호 명 칭 : 온천리석탑 (溫泉里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면적 1구 지정일 : 1984.05.17 해.. 2019. 11. 19. 강원 춘천 박물관석탑 강원 춘천 박물관석탑 2018.10.23 강원춘천의석탑 이전글보기 2014/12/03 - [한국의석탑/강원도] - [강원]춘천 남이섬칠층석탑 [강원]춘천 남이섬칠층석탑 강원 춘천 남이섬 칠층석탑 2014.06.06 문현준 sajin365.net 2014/06/26 - [한국의석탑/강원도] - [강원]춘천 서상리삼층석탑 [강원]춘천 서상리삼층석탑 종 목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6호 명 칭 : 서상리삼층석탑 (西上里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71.12.16 소재지 : 강원 춘천시 서면 서상리 247 시 대 : 통일신라.. sajin365.net 2012/03/10 - [한국의석탑/강원도] - [강원]춘천 칠층석탑 [강원]춘천 칠층석탑 종 목 : .. 2019. 11. 18. 충남 태안 남문리오층서탑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01호 명 칭 : 남문리오층석탑 (南門里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태안군 태안읍 탑골길 55 (남문리) 시 대 : 고려시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남문리 마을 안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널찍하게 마련한 돌단 위에 놓여 있다. 몇년 전까지 주변에서 기와조각이 발견되었고, 인근 민가 앞에서 작은 석불(石佛)이 발견되어 이곳이 절터였음을 말해주고 있다. 대체로 파손이 심하지 않은 이 탑은 기단(基壇)을 1층으로 쌓고, 그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윗돌을 괴어두는 부분에 2단의 높직한 괴임을 두었다. 탑신의 각 지붕돌은 밑면에 4단씩의 받침을 새겼으며,.. 2019. 11. 11. 강원 태백 본적사지 삼층석탑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26호 태백 본적사지 삼층석탑재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2000.01.22 소재지 : 강원 태백시 황지동 467-10번지 시 대 : 신라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본적사지는 일명 번적사지로도 불리는데, 이 곳 주변에는 많은 절터들이 있다. 절터 주변에는 이중기단 삼층석탑의 석탑재와 기와 조각 등이 흩어져 있다. 기단부로 발견된 탑재는 지대석(기초부에 까는 받침돌), 아래층 기단, 위층 기단의 부재이다. 아래층 기단과 위층 기단 면석(탑 기단의 받침돌과 덮개돌 사이에 막아댄 넓은 돌)에는 모서리기둥과 버팀기둥이 표현되어 있고, 갑석(뚜껑처럼 덮은 돌)에는 2단의 굄받침이 있다. 탑 몸체부는 지붕돌 2개와 몸돌 2개가 발견되었다.. 2019. 10. 4. 강원 동해 삼화사 삼층석탑 보물 제1277호 동해 삼화사 삼층석탑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98.04.06 소재지 : 강원도 동해시 삼화로 584 (삼화동, 삼화사) 시 대 : 통일신라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삼화사에 있는 석탑으로,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비교적 높아 보이는 기단은 각 층 모두 네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기단의 맨윗돌에는 별도의 탑신 괴임돌을 두어 탑신을 받치도록 하였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을 번갈아 쌓아 올렸는데, 위층으로 올라갈수록 그 규모가 서서히 줄어든다. 여러군데에 금이 가 있고 부분적으로 훼손되었으나, 대체로 잘 남아있고 균형이 잘 잡힌 단아한 모습이다. 기단의 구성이나 .. 2019. 10. 4. 인천 강화 장정리 오층석탑 보물 제10호 강화 장정리 오층석탑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인천 강화군 하점면 장정리 산193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이 탑은 무너져 있었으나 1960년 수리하여 다시 세운 것이다. 파손된 곳도 많고, 없어진 부재도 많아서 3층 이상의 몸돌과 5층의 지붕돌, 머리장식 부분 등이 모두 사라진 상태이다. 낮은 언덕의 중턱에 위치하고 있는 절터로 그 규모를 알 수가 없으며, 가람을 배치한 흔적도 찾아볼 수 없다. 탑은 1층의 기단 위에 5층의 탑신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의 네 모서리에는 기둥모양을 새겼다. 탑신부은 1층 몸돌만 두 장의 돌로 짜여있고, 그 이상은 각각 하나의 돌이다. 1층 몸돌의 .. 2019. 10. 2. 충남 당진 안국사지 석탑 보물 제101호 당진 안국사지 석탑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청남도 당진시 원당골1길 188 (정미면) 시 대 : 고려시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안국사터에 세워져 있는 탑이다. 안국사는 창건된 해가 분명하지 않고, 다만 절 안에서 발견된 유물들을 통해 고려시대에 창건되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후 조선시대에 폐사되었던 것을, 1929년 승려 임용준이 주지가 되어 다시 일으켜 세웠으나 곧 다시 폐사되어 현재는 터만 남아있다. 절터에는 이 탑 외에도 당진 안국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보물 제100호)이 보존되어 있다. 탑은 아래부분인 기단부(基壇部)가 다른 탑들에 비해 간단하고, 2층 이상의 탑몸돌이 없어진 채 지붕돌만.. 2019. 9. 27. 충남 홍성 광경사지 삼층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59호 광경사지삼층석탑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홍성군 홍성읍 소향리 34번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광경사의 옛 터에 당간지주와 함께 남아 있는 3층 석탑으로, 1층 기단(基壇) 위에 3층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각 면의 중앙과 모서리마다 기둥을 본 떠 새겼다. 탑신의 각 층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쌓아 올렸는데, 1층 몸돌이 큰것에 비해 2·3층 몸돌의 높이는 급격히 줄어들었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4단씩이며, 네 귀퉁이가 살짝 치켜올라 갔다. 전체적으로 안정된 느낌을 주고 고려시대 작품으로 짐작된다.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59호 광경사지삼층석탑 문현준의.. 2019. 9. 20.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