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석탑972

전남 함평 용천사 삼층석탑 전남 함평 용천사 삼층석탑 2016.09.25 촬영 문현준의 사진속으로 용천사 이전글보기 2019/07/04 - [한국의법당/전라권] - 전남 함평 용천사 전남 함평 용천사 전남 함평 용천사 2016.09.25 촬영 문현준의사진속으로 sajin365.net 2019. 7. 4.
강원 강릉 등명사지오층석탑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37호 등명사지오층석탑 (燈明寺址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71.12.16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괘방산길 16 (강동면, 낙가사) 시 대 : 고려시대 자 료: 국가문화유산포털 락가사(洛伽寺) 경내에 서 있는 5층 석탑이다. 산중턱에 자리잡고 있어 푸른 동해바다가 내려다 보이는 이 절은 원래 등명사라는 절이 있던 곳이다. 탑은 2층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리고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 아래·위층 기단의 맨 윗돌에는 연꽃무늬와 함께 석재의 일부 모서리를 곡선으로 처리하여 부드러움을 주고 있다. 기단 위에는 오밀조밀한 5층의 탑신이 쌓여 있는데, 지붕돌의 밑면의 받침과 네 귀퉁이에서의 치켜올림이 장식적인.. 2019. 7. 4.
충남 아산 세심사 다층탑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31호 명 칭 : 세심사다층탑 (洗心寺多層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아산시 염치면 산양리 시 대 : 신라 소유자 : 세심사 관리자 : 세심사 문 의 : 충청남도 아산시 문화예술과 041-540-2069 고려시대에 창건된 세심사는 원래 ‘신심사’였다가 최근에 세심사라 그 이름이 바뀌었다. 절안에 자리하고 있는 이 탑은 3층 기단(基壇) 위로 9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로, 기단은 화강암으로 만들었고 탑신부는 벼루를 만드는 돌인 점판암으로 제작하였다. 3층을 이루는 기단은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으며 곳곳에 연꽃무늬를 새겨놓았다. 탑신부는 1층 몸돌만 4단의 널돌로 만들었고.. 2019. 7. 2.
경기 양평 지평리삼층석탑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80호 양평지평리삼층석탑 지정(등록)일 : 2002.04.08 소 재 지 : 경기 양평군 지평면 지평의병로 107 (지평리) 2016.08.20 촬영 양평 지평리삼층석탑 문현준의사진속으로 2019. 7. 2.
경기 양평 옥천리 삼층석탑 2016.08.20 촬영 경기 양평 옥천리 삼층석탑 문현준의사진속으로 2019. 7. 2.
전북 군산 은적사 삼층석탑 전북 군산 은적사 삼층석탑 2016.07.10 은적사 삼층석탑 이전글보기 2016/06/02 - [한국의석탑/전라북도] - 전북 군산 은적사 삼층석탑 2012/03/27 - [한국의석탑/전라북도] - [전북]군산 은적사 오층석탑 2012/03/27 - [한국의석탑/전라북도] - [전북]군산 은적사삼층석탑 2018. 10. 4.
강원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 종 목 : 보물 제410호 명 칭 :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 (旌善 淨岩寺 水瑪瑙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4.09.04 소재지 : 강원 정선군 고한읍 함백산로 1062 (고한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정암사 관리자 : 정암사 정암사 적멸보궁 뒤의 산비탈에 세워진 7층의 모전석탑이다. 모전석탑이란 전탑을 모방한 탑으로, 돌을 벽돌 모양으로 깎아 쌓아올린 탑을 말한다. 화강암으로 6단의 기단(基壇)을 쌓고 탑신부를 받치기 위해 2단의 받침을 두었다. 탑신(塔身)은 회녹색을 띤 석회암으로 쌓았는데, 표면을 정교하게 잘 정돈하여 벽돌을 사용한 것처럼 보인다. 1층 몸돌의 남쪽면에는 감실(龕室:불상을 모시는 방)을 마련했으며, 1장의 돌을 세워 문.. 2018. 10. 2.
경북 경주 효현동 삼층석탑 보물 제67호 경주 효현동 삼층석탑 보물 제67호 분 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경북 경주시 효현동 419-1번지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경주시 탑이 세워진 이 터는 신라 법흥왕이 죽기 전까지 승려로서 불도를 닦았다는 애공사(哀公寺)가 있었던 곳이라 전해오기도 하지만 주변이 논밭으로 변하여 사찰의 흔적은 찾을 수 없다.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다. 기단은 사방 네 면에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는데, 탑신에 비해 과중한 비율을 보이고 있어 무거운 느낌을 준다. 탑신(塔身)은 각 층의 몸돌 모서리마다 기둥을 본 뜬 조각을 두었고, 지붕돌은 하늘을 향해 네 귀퉁이가 살짝 들려있어 경쾌한 곡선을.. 2018. 9. 17.
경북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 국보 제40호 종 목 : 국보 제40호 명 칭 :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 (慶州 淨惠寺址 十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경북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1654번지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경주시 경주 정혜사터에 세워져 있는 탑으로, 흙으로 쌓은 1단의 기단(基壇) 위에 1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인데, 통일신라시대에서는 그 비슷한 예를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모습이다. 1층 탑몸돌이 거대한데 비해 2층부터는 몸돌과 지붕돌 모두가 급격히 작아져서 2층 이상은 마치 1층탑 위에 덧붙여진 머리장식처럼 보인다. 큰 규모로 만들어진 1층 몸돌은 네 모서리에 사각형의 돌기둥을 세웠으며, 그 안에 다시 보조기둥을 붙여.. 2018. 9.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