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탑972 경북 영양 용화동 삼층석탑 영양용화동3층석탑 시도유형문화재 제8호 분 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72.12.29 소재지 : 경북 영양군 일월면 용화리 583번지 시 대 소유자(소유단체) 관리자(관리단체) : 영양군 자료: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탈 용화동 입구의 밭 가운데 자리하고 석탑으로, 2층 기단(基壇)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위 ·아래층 기단과 탑신의 몸돌에는 기둥모양이 조각되어 있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1층과 2층은 4단, 3층은 3단이며, 네 귀퉁이가 살짝 들려있다. 기단의 맨윗돌 일부분이 깨지고, 꼭대기의 머리장식이 없어졌지만 다른 부재들은 비교적 잘 남아 있다. 전체적으로 각 부재들의 비례와 균형이 잘 맞아 안정감이 느껴지는 탑으로, 통일신라 후기에.. 2018. 8. 28. 경북 영양 현이동 모전오층석탑 현이동모전오층석탑 시도유형문화재 제12호 분 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수량/면적:1기 지정일:1972.12.29 소재지:경북 영양군 영양읍 현2리 462-1번지 시 대 소유자(소유단체) 관리자(관리단체):영양군 자료: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영양읍 현2리에 서 있는 5층 석탑으로, 돌을 벽돌모양으로 다듬어 쌓아 올렸다. 전탑(塼塔:흙으로 구운 벽돌로 쌓은 탑)을 모방하였다 하여 모전석탑(模塼石塔)으로 분류되며, 나즈막한 1층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다. 탑신의 1층 몸돌 동쪽면에는 감실(龕室:불상을 모시는 방)을 설치하였고, 그 입구 양 기둥에는 덩굴무늬를 장식하였다. 탑신의 2층까지만 남아 있던 것을 새로이 복원해 놓은 것으로, 꼭대기에는 노반(露盤:머리장식받침),.. 2018. 8. 28. 경북 영양 신사리석탑 경북 영양 석탑 신사리 석탑 경북 영양군 입암면 신사리 51-1 2016.08.15 2018. 8. 28. 경북 영양 신구동 삼층석탑 영양신구동삼층석탑 문화재자료 제84호 분 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1 985.08.05 소재지 : 경북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번지 시 대 : 삼국시대 소유자 : (소유단체) 관리자 : 조위징 자료: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석탑이다. 아래층 기단은 밑부분이 땅 속에 묻혀있어 자세한 구조를 알 수 없고, 탑신은 몸돌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을 새겨 놓았다. 3층에는 머리장식의 네모난 받침돌이 몸돌 대신 끼워져 있고, 각 층의 지붕돌 밑면에는 4단의 받침을 두었다. 꼭대기에는 복발(覆鉢:엎어놓은 그릇모양의 장식)이 놓여 머리장식을 하고 있다. 소박한 모습의 탑으로, 통일신라시대에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1999년.. 2018. 8. 28. 경북 영양 서부리 삼층석탑 경북 영양 석탑 서부리 삼층석탑 2018. 8. 28. 경북 영양 삼지동 모전석탑 영양 삼지동 모전석탑 시도유형문화재 제471호 분 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2013.04.08 소재지 : 경상북도 영양군 영양읍 삼지리 산 17 시 대 : 삼국시대 소유자 : (소유단체) 자료: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절벽을 이룬 산 중턱의 튀어나온 바윗돌 위에 서 있는 석탑으로, 벽돌 모양으로 다듬은 돌을 차곡차곡 쌓아 올린 모전 석탑이다. 탑은 큰 바위를 기단(基壇)삼아 그 위로 탑신(塔身)을 올려 놓은 모습이며, 원래 3층탑이었다고 하나 현재는 2층까지만 남아있다. 탑신의 1층 몸돌 앞면에는 불상을 모시는 방인 감실(龕室)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안에서 신라 금동불상 4구가 나왔다고 하나 현재 전하고 있지 않다. 지붕돌은 아래·윗면이 모두 층단을 이루고 .. 2018. 8. 28. 경북 영양 산해리 오층모전석탑 국보 제187호 영양 산해리 오층모전석탑 분 류: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수량/면적:1기 지정일:1977.08.22 소재지:경북 영양군 입암면 산해리 391-6번지 시대:통일신라 소유자:국유 관리자:영양군 자료: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경북 영양군 입암면 산해리 강가의 밭 가운데에 서 있는 탑으로, 이 마을을 ‘봉감(鳳甘)’이라고 부르기도 하여 ‘봉감탑’이라 이름붙여졌었다. 석탑 주변의 논밭에 기와조각과 청자조각이 많이 흩어져 있어, 이 일대가 절터였음을 알수 있다. 탑은 벽돌 모양으로 돌을 다듬어 쌓아올린 모전석탑(模塼石塔)으로, 1단의 기단(基壇)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흙과 돌을 섞어 낮게 바닥을 깔고, 10여 개의 길고 큰 돌을 짜서 쌓았다. 그 위의 탑신은 몸돌과 지.. 2018. 8. 28. 충남 공주 신원사 오층석탑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31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면적 1기( 532.000 ㎡ ) 지정일 : 1974.09.01 소재지 : 충남 공주시 계룡면 양화리 8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대한불교조계종신원사 관리자 : 대한불교조계종신원사 문 의 : 충청남도 공주시 문화재관리소 041-840-2814 계룡산의 산신제단(山神祭壇)인 중악단(中嶽壇) 남쪽에 서 있는 5층 석탑이다. 현재는 4층 지붕돌까지만 남아 있으나 원래는 2층 기단(基壇)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렸던 것으로 보인다. 아래층 기단과 탑신의 몸돌에는 기둥모양을 새겼는데 이것은 목조건축의 기둥을 모방한 것이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3단씩이고, 처마는 거의 수평이다. 석탑의 서쪽에는 배례석(拜禮.. 2017. 9. 6. 충북 제천 장락동 칠층모전석탑 종 목 : 보물 제459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67.06.23 소재지 : 충북 제천시 장락동 65-2번지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제천시 모전석탑이란 돌을 벽돌모양으로 깎아 쌓은 탑으로, 흙벽돌을 쌓아 올린 전탑을 모방하였다 하여 모전탑(模塼塔)이라고도 한다. 탑이 서있던 절터가 논밭으로 변하여 절의 규모는 알 수 없고, 7층에 이르는 거대한 이 탑이 주위를 압도하듯 버티고 서 있다. 회흑색의 점판암을 사용한 탑으로, 탑을 받치는 기단(基壇)만은 점판암이 아닌 자연석으로 1단을 마련하였으며, 그 위로 벽돌로 이루어진 7층의 탑신(塔身)을 올렸다. 탑신은 부처의 사리나 불경 등을 모셔두는 곳으로, 1층의 네 모서리에는.. 2017. 9. 6. 이전 1 ··· 28 29 30 31 32 33 34 ··· 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