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탑972 [전북]순창 강천사오층석탑 종 목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92호 명 칭 : 강천사오층석탑 (剛泉寺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7620 지정일 : 1979.12.27 소재지 : 전북 순창군 팔덕면 청계리 996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강천사 관리자 : 강천사 문 의 : 전라북도 순창군 문화관광과 063-650-1224 강천사 대웅전 앞마당에 서 있는 5층 석탑이다. 1층 기단(基壇)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화강암으로 정교하게 다듬었다. 탑신부의 각 몸돌은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새겼는데, 1층은 확실히 보이고 있으나 그 위층부터는 희미하게 흔적만 남아 있다. 지붕돌은 밑면에 3단의 받침을 두었고, 처마는 수평을 이루다 양끝에서 서서히 올라갔다. 꼭대기에는 조그만.. 2012. 2. 16. [충남]천안 홍경사지석탑 소재지 : 충남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대홍3길 77-48 (대홍리) 봉선홍경갈기비와 함께 있으며 현재는 기단부와 탑신석 또는 기단의 중석으로보이는것과 옥개석 1매,탑신석 1개만 남아있다. 2012.02.10 촬영 문현준 2012. 2. 11. [전북]김제 금산사 심원암삼층석탑 종 목 : 보물 제29호 명 칭 : 김제 금산사 심원암 삼층석탑 (金堤 金山寺 深源庵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基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전북 김제시 금산면 모악15길 413 (금산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금산사 관리자 : 금산사 금산사 심원암에서 볼 때 북쪽 산꼭대기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는 탑이다.『금산사사적』에 의하면, 금산사는 600년대 창건되었는데, 백제 법왕이 그의 즉위년(599)에 칙령으로 살생을 금하고 그 이듬해에 이 절을 창건하여 38인의 승려를 득도시킨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탑은 2층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탑신의 몸돌에는 네 면마다 모서리에 기둥모양을 새겼다. 각 몸돌을 덮고.. 2012. 2. 7. [전북]김제 금산사육각다층석탑 종 목 : 보물 제27호 명 칭 : 김제 금산사 육각 다층석탑 (金堤 金山寺 六角 多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전북 김제시 금산면 모악15길 1, 금산사 (금산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금산사 관리자 : 금산사 금산사 소속의 봉천원(奉天院)에 있던 것을 현재 자리인 대적광전 앞의 왼쪽으로 옮겨 왔다. 우리나라의 탑이 대부분 밝은 회색의 화강암으로 만든 정사각형의 탑인데 비해, 이 탑은 흑백의 점판암으로 만든 육각다층석탑이다. 탑을 받치는 기단(基壇)에는 연꽃조각을 아래위로 장식하였다. 탑신부(塔身部)는 각 층마다 몸돌이 있었으나 지금은 가장 위의 2개 층에만 남아 있다. 몸돌은 각 귀퉁이마다 기둥모양이 새겨져 .. 2012. 2. 7. [전북]김제 금산사오층석탑 종 목 : 보물 제25호 명 칭 : 김제 금산사 오층석탑 (金堤 金山寺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전북 김제시 금산면 모악15길 1, 금산사 (금산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금산사 관리자 : 금산사 금산사 안의 북쪽에 송대(松臺)라고 불리는 높은 받침 위에 세워져 있는 탑이다. 바로 뒤에는 석종모양의 사리계단이 있는데, 이렇듯 사리계단 앞에 석탑을 세워놓은 것은 사리를 섬기던 당시 신앙의 한 모습이기도 하다. 상·하 2단의 기단(基壇) 위에 5층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의 탑이다. 기단부는 아래층 기단의 규모가 좁아져 있고, 각 기단의 윗면에 다른 돌을 끼워서 윗돌을 받치도록 하고 있어 주목된다. 탑신부는 2.. 2012. 2. 7. [충남]아산 회룡리석탑 회룡리삼층석탑(향토유적) 주소 : 충남 아산시 배방읍 회룡리 83-2번지 오랫만에 올립니다. 그동아 쬐금 바쁘게 사는관계로... 아산 회룡리삼층석탑... 가까운곳에 있다는 이유와 미지정이라고 그동안 무관심과 방치(?) 하다가 근처에 볼일이 있어 잠시 들렀다가 한컷. 너무 황량해서 파란싹이 올라오면 다시 한번 들러야 될듯 .. 2012.01.10 촬영 문현준 2012. 2. 3. [전남]목포 북교동오층석탑 목포에 여러번 내려갔어도 목포에 탑이 있다는걸 얼마전에 알았다. 강원도 쪽으로 갈까 하다가 도로사정도 그렇고 그냥 편안한 마음으로 목포에 달랑 하나 있는 석탑을 보고 오다. 아마도 지정이 안된 석탑이다 보니 자료도 안보인다... 쩝~ 2012.01.08 촬영 문현준 2012. 1. 10. [충남]당진 신암사석탑 아산 인주면에 잠시 볼일이 있어 나갔다가 멀지 않은곳이길래 잠시 들러본 당진 신암사 보물 제987호 신암사금동여래좌상을 보유하고 있는사찰로 금동여래좌상은 촬영을 못했다. 다음에 날 풀리면 다시 둘러보기로 하고 ..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가교리 신암사에 있는 석탑 입니다. 자료를 찿아봐도 없고 그리 오래되진 않은듯 보였고 고려시대의 양식을 띠고 있는듯.. 신주소: 충남 당진군 송악면 가교길 166-71 문현준의사진속으로[2012.01.05 촬영] 2012. 1. 5. [충남]부여 장하리 삼층석탑 종 목 : 보물 제184호 명 칭 : 부여 장하리 삼층석탑 (扶餘 長蝦里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부여군 장암면 장하리 536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부여군 백제의 옛 땅이었던 충청·전라도에는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 제9호)의 양식을 모방한 백제계 석탑이 몇 개 전하고 있는데 이 탑 역시 그런 계열에 속하는 탑이다. 땅 위에 자연석에 가까운 바닥돌을 깔고 그 위에 같은 돌로 너비를 좁히면서 3단의 기단(基壇)을 만들었다. 탑신(塔身)은 네 귀퉁이에 위로 오를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기둥 모양을 새겼고, 그 사이에 긴 판돌을 세워 면을 이루게 하였다. 동서남북 사면에 감실모양이 있는데, .. 2012. 1. 3. 이전 1 ··· 71 72 73 74 75 76 77 ··· 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