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탑972 [충남]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종 목 : 보물 제185호 명 칭 :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扶餘 無量寺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166 무량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무량사 관리자 : 무량사 무량사 극락전 앞에 자리하고 있는 웅장한 모습의 5층 석탑이다. 탑을 받치는 기단(基壇)은 1단으로, 둥글게 다듬은 두툼한 석재를 포함한 층단으로 괴임을 만들고 각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을 세웠다. 탑신(塔身)은 지붕돌과 몸돌을 한 층으로 하여 5층을 이루고 있다. 네 모서리에 기둥을 세우고 있는 몸돌은 지붕돌에 비하여 높이가 낮은 편이나 전체적으로 알맞은 비례를 보이고 있어 우아하면서도 장중한 느낌을 준다. 지붕돌은 .. 2012. 1. 3. [충남]공주 동원리석탑 공주동원리석탑 (公州東院里石塔)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49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면적 1기(3,420.000 ㎡ ) 지정일 : 1976.01.08 소재지 : 충남 공주시 신풍면 동원리 380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공주시외3인 관리자 : 공주시 문 의 : 충청남도 공주시 문화재관리소 041-840-2814 동원리라는 마을 위쪽의 밭에 서 있는 3층 석탑이다. 3면이 산으로 둘러싸인 탑 주변은 기와조각이 흩어져 있을 뿐 다른 유물은 없다. 탑은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렸는데, 현재 세번째 탑신은 없어졌다. 1 ·2층 기단과 탑신의 몸돌에는 기둥 모양을 새겼다. 지붕돌은 네 귀퉁이가 살짝 치켜올라 갔고, 밑면에는 4단의 받침을 두.. 2011. 12. 29. [충남]청양 서정리구층석탑 청양 서정리 구층석탑 (靑陽 西亭里 九層石塔) 종 목 : 보물 제18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청양군 정산면 서정리 16-2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청양군 공주에서 청양쪽으로 23㎞ 떨어진 벌판 가운데에 서 있는 탑으로, 부근에 고려시대 백곡사(白谷寺)라는 절이 있었다고 하나 주위에 기와조각 등이 흩어져 있을 뿐 다른 유물들은 찾아볼 수 없다. 탑은 2단의 기단 위에 9층의 탑신을 올린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안상(眼象)을 돌려 새겼는데, 바닥선이 꽃모양으로 솟아올라 있어 고려시대의 양식상 특징을 드러낸다. 윗층 기단에는 네 모서리와 면의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새겼으며, 그 위로 알맞은 두께의.. 2011. 12. 29. [충남]청양 계봉사오층석탑 계봉사오층석탑 (鷄鳳寺五層石塔)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47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청양군 목면 본의리 675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계봉사 관리자 : 계봉사 문 의 : 충청남도 청양군 기획감사실 041-940-2226 계봉사의 정원 가운데 서 있는 5층 석탑이다. 계봉사는 백제 성왕 때 지었다고도 하며, 통일신라 문성왕 때 지어졌다고 하나 연대는 확실하지 않다. 조선 헌종 때 불에 타 버린 것을, 옛이름을 따서 작은 규모로 새로이 짓고 정원을 꾸며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5층 석탑과 물을 받는 돌구유만이 옛모습 그대로 남아 있다. 탑은 2층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 2011. 12. 29. [전북]부안 내소사 삼층석탑 부안 내소사 삼층석탑 종 목 : 시도유형문화재 제124호 (전북) 수 량 : 1기 지정일 : 1986.09.08 소재지 : 전북 부안군 상서면 개암로 248, 개암사 (감교리) 소유자 : 내소사 관리자 : 내소사 연락처 : 전라북도 부안군 문화관광과 063-580-4388 내소사 대웅전 앞에 서 있는 3층 석탑으로,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우고 꼭대기에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위·아래층 기단과 탑신부의 각 몸돌에는 기둥모양을 조각하였다.급한 경사가 흐르는 지붕돌은 밑면에 4단의 받침을 두었다.꼭대기에는 네모난 받침돌 위로 둥근 형태의 크고 작은 석재 2개가 남아 머리장식을 하고 있다.전체적으로 1층 탑신에 비해 2층부터는 그 높이가 급격하게 줄어들었다.규모가 작은 탑으로, 통일신.. 2011. 12. 27. [충남]예산 향천사구층석탑 향천사구층석탑 (香泉寺九層石塔)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74호 명 칭 : 향천사구층석탑 (香泉寺九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예산군 예산읍 향천리 57 시 대 : 삼국시대 소유자 : 향천사 관리자 : 향천사 문 의 : 충청남도 예산군 문화관광과 041-339-7323 향천사 나한전 앞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1층 기단(基壇) 위에 9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네 모서리와 가운데에, 탑신은 몸돌의 모서리에 각각 기둥 모양을 본 떠 새겼다. 탑신의 2층 몸돌은 1층에 비해 높이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으며, 4층 부터는 몸돌이 없어진 채 지붕돌만 포개져 있어 옛 탑이 지니고 있었을 아름다움을 많.. 2011. 12. 20. [충남]아산 인취사석탑 인취사석탑 종 목 : 문화재자료 제235호 (충남)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아산시 신창면 읍내리 200 시 대 : 시대미상 소유자 : 인취사 관리자 : 인취사 연락처 : 충청남도 아산시 문화관광과 041-540-2546 학성산 기슭의 인취사 경내에 자리하고 있는 3층 석탑이다.기단부(基壇部) 위로 3층의 탑신(塔身)이 쌓여 있고 탑의 머리를 갖춘 형태이다.기단부는 돌 하나만이 바닥돌의 역할을 하며 놓여 있는데 그 윗면에 1단의 괴임돌이 있다.그러나 탑신부의 재질과 비교하여 볼 때 같은 돌로 보이지 않는다.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이 각 딴돌로 이루어져 있다.1층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이 있다.지붕돌은 밑면에 .. 2011. 12. 16. [강원]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종 목 : 국보 제48호 명 칭 :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平昌 月精寺 八角 九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강원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63-1 월정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월정사 관리자 : 월정사 자장율사가 창건한 월정사 안에 있는 탑으로, 그 앞에는 공양하는 모습의 보살상이 마주보며 앉아 있다. 탑은 8각 모양의 2단 기단(基壇) 위에 9층 탑신(塔身)을 올린 뒤, 머리장식을 얹어 마무리한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안상(眼象)을 새겨 놓았고, 아래·위층 기단 윗부분에는 받침돌을 마련하여 윗돌을 괴어주도록 하였다. 탑신부는 일반적인 석탑이 위층으로 올라 갈수록 급격히 줄어드는 모.. 2011. 12. 14. [강원]속초 향성사지삼층서탑 속초 향성사지 삼층석탑 종 목 : 보물 제443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6.08.25 소재지 : 강원 속초시 설악동 산24-2 시 대 : 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속초시 속초에서 설악산으로 들어가는 설악동 어귀에 세워져 있는데, 현재 탑의 위치가 옛날 그대로라고 해도 탑 주위는 절터의 모습을 전혀 알아볼 수 없는 상태이다. 이 석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형태로 신라석탑의 양식을 그대로 이어받고 있다. 여러 장의 돌을 붙여 바닥돌을 깔고, 같은 방법으로 아래층 기단의 밑돌을 두었다. 아래층 기단의 가운데돌 모서리에는 기둥모양을 새겨두었으며, 면의 가운데에는 2개씩의 기둥조각을 새겨놓았다. 위층 기단은 아래층과 .. 2011. 12. 14. 이전 1 ··· 72 73 74 75 76 77 78 ··· 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