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층석탑290

경북 포항 보경사오층석탑 시도유형문화재 제203호 포항보경사오층석탑 시도유형문화재 제203호 분 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5.10.15 소재지 : 경북 포항시 북구 송라면 보경로 523 (중산리) 시 대 :고려시대 소유자 : 보경사 관리자 : 보경사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탈 보경사 경내에 있는 석탑으로, 1층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의 네 면과 탑신부의 각 층 몸돌에는 기둥모양을 조각하였다. 지붕돌은 밑면에 3단의 받침을 두었고, 네 귀퉁이는 약간 들려있다. 꼭대기에는 노반(露盤:머리장식 받침)과 복발(覆鉢:엎어놓은 그릇모양의 장식)이 남아 머리장식을 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높고 날렵한 느낌을 준다. 통일신라의 석탑 양식을 따르고 있지만, 지붕돌받침이 3단으로 줄어드는 .. 2018. 9. 10.
경북 영양 산해리 오층모전석탑 국보 제187호 영양 산해리 오층모전석탑 분 류: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수량/면적:1기 지정일:1977.08.22 소재지:경북 영양군 입암면 산해리 391-6번지 시대:통일신라 소유자:국유 관리자:영양군 자료: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경북 영양군 입암면 산해리 강가의 밭 가운데에 서 있는 탑으로, 이 마을을 ‘봉감(鳳甘)’이라고 부르기도 하여 ‘봉감탑’이라 이름붙여졌었다. 석탑 주변의 논밭에 기와조각과 청자조각이 많이 흩어져 있어, 이 일대가 절터였음을 알수 있다. 탑은 벽돌 모양으로 돌을 다듬어 쌓아올린 모전석탑(模塼石塔)으로, 1단의 기단(基壇)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흙과 돌을 섞어 낮게 바닥을 깔고, 10여 개의 길고 큰 돌을 짜서 쌓았다. 그 위의 탑신은 몸돌과 지.. 2018. 8. 28.
충남 공주 신원사 오층석탑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31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면적 1기( 532.000 ㎡ ) 지정일 : 1974.09.01 소재지 : 충남 공주시 계룡면 양화리 8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대한불교조계종신원사 관리자 : 대한불교조계종신원사 문 의 : 충청남도 공주시 문화재관리소 041-840-2814 계룡산의 산신제단(山神祭壇)인 중악단(中嶽壇) 남쪽에 서 있는 5층 석탑이다. 현재는 4층 지붕돌까지만 남아 있으나 원래는 2층 기단(基壇)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렸던 것으로 보인다. 아래층 기단과 탑신의 몸돌에는 기둥모양을 새겼는데 이것은 목조건축의 기둥을 모방한 것이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3단씩이고, 처마는 거의 수평이다. 석탑의 서쪽에는 배례석(拜禮.. 2017. 9. 6.
충남 서산 보원사지오층석탑 종 목 : 보물 제104호 명 칭 :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瑞山 普願寺址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19-1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서산시 보원사(普願寺)터 서쪽의 금당터 앞에 세워져 있는 고려시대의 석탑이다. 보원사는 백제 때의 절로 사찰에 대한 역사는 전혀 알려지지 않았으나, 1959년 국보 제84호인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이 발견되면서 학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절터에는 이 탑 외에도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과 탑비, 당간지주, 석조 등이 남아있어 당시 사찰의 규모가 매우 컸음을 알 수 있다.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 2017. 9. 5.
전북 익산 왕궁리오층석탑 종   목 : 국보 제289호  명   칭 :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益山 王宮里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97.01.01 소재지 : 전북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 산80-1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익산시 마한시대의 도읍지로 알려진 익산 왕궁면에서 남쪽으로 2㎞쯤 떨어진 언덕에 자리하고 있는 석탑이다. 1단의 기단(基壇)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기단부가 파묻혀 있던 것을 1965년 해체하여 수리하면서 원래의 모습이 드러났다.탑의 기단은 네 모서리에 8각으로 깎은 주춧돌을 기둥삼아 놓고, 기둥과 기둥 사이에는 길고 큰 네모난 돌을 지그재그로 맞물리게 여러 층 쌓아 올려놓아 목조탑의 형식.. 2017. 1. 16.
전남 구례 화엄사 동.서 오층석탑 종 목 : 보물 제132호 명 칭 : 구례 화엄사 동 오층석탑 (求禮 華嚴寺 東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539, 화엄사 (황전리) / (지번)전남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12 화엄사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화엄사 관리자 : 화엄사 화엄사 대웅전 앞에는 동서로 쌍탑이 서 있다. 그 중에 동쪽에 서 있는 것이 이 탑으로 크기는 서로 비슷하지만 서탑이 조각과 장식이 화려한 반면, 동탑은 아무런 장식없이 단정하다. 탑은 1단의 기단(基壇)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로, 서탑의 기단이 2단인 것과는 조금 다른 모습이다. 기단의 각 면에는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조각하였다.. 2017. 1. 4.
충남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종 목 : 보물 제104호 명 칭 :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瑞山 普願寺址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19-1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서산시 보원사(普願寺)터 서쪽의 금당터 앞에 세워져 있는 고려시대의 석탑이다. 보원사는 백제 때의 절로 사찰에 대한 역사는 전혀 알려지지 않았으나, 1959년 국보 제84호인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이 발견되면서 학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절터에는 이 탑 외에도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과 탑비, 당간지주, 석조 등이 남아있어 당시 사찰의 규모가 매우 컸음을 알 수 있다.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 2016. 8. 30.
충남 보령 성주사지석탑 충남 보령 성주사지 석탑들 2016.01.18 문현준 성주사지이전글보기 2016/04/25 - [한국의석탑/충청남도] - 충남 보령 성주사지 및 석탑외 2016/04/16 - [한국의석탑/충청남도] - 충남 보령 성주사지 석탑 2016/04/04 - [한국의석탑/충청남도] - 충남 보령 성주사지석탑 2016/04/04 - [한국의문화유산/충청권] - 충남 보령 성주사지석불입상 2014/12/19 - [한국의석탑/충청남도] - [충남]보령 성주사지 석탑들 2014/10/15 - [한국의석탑/충청남도] - [충남]보령 성주사지 및 석탑 2014/05/13 - [한국의문화유산/충청권] - [충남]보령 성주사지 2013/08/07 - [한국의석탑/충청남도] - [충남]보령 성주사지 석탑외 2011/10/15 -.. 2016. 8. 16.
충남 서산 보원사지오층석탑 종 목 : 보물 제104호 명 칭 :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瑞山 普願寺址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19-1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서산시 보원사(普願寺)터 서쪽의 금당터 앞에 세워져 있는 고려시대의 석탑이다. 보원사는 백제 때의 절로 사찰에 대한 역사는 전혀 알려지지 않았으나, 1959년 국보 제84호인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이 발견되면서 학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절터에는 이 탑 외에도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과 탑비, 당간지주, 석조 등이 남아있어 당시 사찰의 규모가 매우 컸음을 알 수 있다.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 2016. 6.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