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층석탑290 경기 안성 미륵당오층석탑 경기 안성 미륵당오층석탑 향토유적 제20호 2019.09.19 미륵당 오층석탑 이전글보기 2015/04/19 - [한국의문화유산/경기권] - [경기]안성 미륵당오층석탑 [경기]안성 미륵당오층석탑 미륵당 오층석탑 지정번호 : 시지정향토유적 석탑 제20호 시 대 : 고려시대 소 재 지 : 안성시 죽산면 매산리 366 경기 안성시 향토유적 제20호 미륵당오층석탑 2014.09.13 문현준 이전글보기 2011/09/28 - [.. sajin365.net 2011/09/28 - [한국의석탑/서울경기] - [경기]안성 죽산리오층석탑 및 죽산리삼층석탑외 [경기]안성 죽산리오층석탑 및 죽산리삼층석탑외 안성죽산리오층석탑 종 목 : 보물 제435호 지정일 : 1966.02.28 소재지 : 경기 안성시 죽산면 죽산리 148.. 2019. 12. 30. 경기 하남 동사지 삼층 . 오층석탑 보물 제12호 하남 동사지 오층석탑 (河南 桐寺址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경기 하남시 춘궁동 466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경기도 하남시 춘궁동에 있는 5층 석탑으로 2단의 기단(基檀)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의 네 모서리와 면의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새겨두었는데, 남쪽 면이 부서져 있어 그 안쪽으로 커다란 기둥돌이 들여다 보인다. 이 탑의 특징은 탑신부에서 드러난다. 첫층 몸돌이 2단인데, 아랫단을 4개의 네모난 돌로 두고, 그 위에 1장의 돌을 얹어놓았다. 이러한 예는 (전)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보물 제109호)에서도 볼 수 있는데, 고려시대에 나타난 .. 2019. 12. 27. 서울 성북 미타사 오층석탑 서울 성북구 미타사에 있는 석탑 서울 성북구 보문동 미타사오층석탑 2019.08.03 2019. 12. 26. 충남 태안 남문리 오층석탑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01호 명 칭 : 남문리오층석탑 (南門里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태안군 태안읍 탑골길 55 (남문리) 시 대 : 고려시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남문리 마을 안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널찍하게 마련한 돌단 위에 놓여 있다. 몇년 전까지 주변에서 기와조각이 발견되었고, 인근 민가 앞에서 작은 석불(石佛)이 발견되어 이곳이 절터였음을 말해주고 있다. 대체로 파손이 심하지 않은 이 탑은 기단(基壇)을 1층으로 쌓고, 그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윗돌을 괴어두는 부분에 2단의 높직한 괴임을 두었다. 탑신의 각 지붕돌은 밑면에 4단씩의 받침을 새겼으며,.. 2019. 12. 24. 충남 서천 성북리 오층석탑 명 칭 : 서천 성북리 오층석탑 (舒川 城北里 五層石塔) 종 목 : 보물 제224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서천군 비인면 성북리 182-1 시 대 : 고려시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지방적인 특색이 강했던 고려시대의 탑으로, 옛 백제 영토에 지어진 다른 탑들처럼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 제9호)의 양식을 모방하였는데, 특히 가장 충실히 따르고 있다. 바닥돌 위에 올려진 기단(基壇)은 목조건축의 기둥과 벽과 같이 모서리에 기둥을 세우고, 그 기둥 사이를 판판한 돌을 세워 막았다. 탑신(塔身)은 몸돌을 기단에서처럼 기둥과 벽을 따로 마련하여 세워 놓았는데, 각 면의 모습이 위는 좁고 아래는 넓어 사다리꼴을 하고 있다.. 2019. 12. 24. 서울 강남 불교제중원 오층석탑 및 표석, 석등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 제42호 불교제중원 오층석탑 및 표석, 석등 (佛敎濟衆院 五層石塔 및 標石, 石燈)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기타 수량/면적 : 3基 지정일 : 2009.01.02 시 대 : 1923~1924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현재 경기여고 교정에 소재한 오층석탑과 “불교제중원” 표석은 원래 덕수궁(경운궁) 선원전터에 있었던 것으로 경기여고의 정동 교지가 확장되면서 학교에 편입되었다가 1988년 경기여고가 강남으로 이전하면서 옮겨진 것이다. 이 석물들의 원 소재지인 덕수궁(경운궁) 선원전터에는 1910년대에 불교중앙포교소(해인사 末寺)가 세워졌고 1923년에는 불교제중원이 설치되었다. 불교제중원은 당시로서는 현대적 의료기관으로서 내과, 외과, 조산과 등을 두었다고 하는.. 2019. 12. 20. 서울 고려대학교내 석탑 및 부도 삼층석탑 1 삼층석탑 2 오층석탑 부도 고려대학교 내 삼층석탑 및 오층석탑과 부도 2019.06.01 2019. 12. 20. 서울 건국대학교 오층석탑 서울 건국대학교 오층석탑 2019.05.11 2019. 12. 18. 경북 경주 장항리 종 목 : 국보 제236호 명 칭 : 경주 장항리 서 오층석탑 (慶州 獐項里 西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7.03.09 소재지 : 경북 경주시 양북면 장항리 1083 시 대 : 통일신라 장항리사지는 토함산 동쪽의 한 능선이 끝나는 기슭에 마련된 절터로서, 절의 이름을 정확히 알 수 없어 마을의 이름인 ‘장항리’를 따서 장항리사지라 부르고 있다. 이 곳에는 현재 금당터를 중심으로 동탑과 서탑이 나란히 서 있는데, 1923년 도굴범에 의해 붕괴된 것을 1932년에 복원이 가능한 서탑만을 새로이 복원해 놓았다. 동탑은 1층 탑신(塔身)과 5층까지의 지붕돌만 남아있으나, 서탑은 약간 소실된 것을 빼고는 비교적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다. 서탑은 2단의.. 2019. 11. 19. 이전 1 ··· 5 6 7 8 9 10 11 ··· 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