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층석탑290 충남 보령 성주사지 석탑 사적 보령 성주사지 (保寧 聖住寺址)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사찰 수량/면적 : 67,295㎡ 지정일 : 1984.08.13 소재지 :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72번지 시 대 : 신라 문성왕 보령 성주산 남쪽 기슭에 있는 9산선문의 하나인 성주사가 있던 자리이다. 백제 법왕 때 처음 지어졌는데 당시에는 오합사(烏合寺)라고 부르다가, 신라 문성왕때 당나라에서 돌아온 낭혜화상이 절을 크게 중창하면서 성주사라고 하였다. 산골에 자리잡고 있는 절이지만 통일신라시대의 다른 절과는 달리 평지에 자리하는 가람의 형식을 택하였다. 절터에는 남에서부터 차례로 중문처, 석등, 5층석탑(보물), 금당건물과 그뒤에 동서로 나란히 서있는 동삼층석탑, 중앙 3층석탑(보물), 서 3층석탑(보물)가 있고 .. 2023. 9. 14. 경북 안동 임하동 석탑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안동 임하동동삼층석탑 (安東臨河洞東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1979.01.25 소재지 : 경북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566-1번지 마을 앞 논 가운데 자리하고 있으며, 탑이 속해있던 절의 역사는 전하는 것이 없다. 전체적인 모습은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이다. 기단부는 크게 파손되어 전체가 동쪽으로 13∼15도 정도 기울어져 있던 것을, 1979년에 해체 ·보수하였다. 위층 기단 윗면은 연꽃무늬를 돌아가며 새기고, 가운데에 윗돌을 괴기 위한 높직한 괴임을 두었다. 탑신부의 1층 몸돌에는 문짝모양을 새겼다. 급한 경사가 흐르는 지붕돌은 밑면에 4단의 받침을 두었는데, 몸돌에 비해 처마가 좁고 .. 2023. 9. 14. 강원 고성 수타사오층석탑 강원 고성 수타사오층석탑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에 의하면 수태사3층석탑이 있다.고 한다. 석탑은 현재 4층으로 옥신석1매와 옥개석 3매까지만 남아있는데 본래 고려시대 5층 석탑이었을것으로 추정된다. 구전에 의하면 고려말 공양왕이 이곳에 유배되어 2년동안 머물렀고, 사찰은 페허가 된 후 멸실되어 그 흔적을 찿을 수 없다고 전해진다. 위치: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금수리 전420번지 한국의석탑 강원 고성 수타사오층석탑 2022.09.18촬영 문현준의사진속으로 2023. 7. 10. 강원 원주 일산동 오층석탑 및 석불좌상 강원도 유형문화재 일산동오층석탑 (一山洞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71.12.16 소재지 : 강원 원주시 봉산로 134, 원주시립박물관 (봉산동) 문화재 설명 원래 원주시 중앙동의 폐사지에 있던 것을 1962년 5월에 강원감영터로 이전하였다가 2000년 봉산동 시립박물관 야외로 이전 전시하고 있다. 탑의 형태는 1층 기단(基壇)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전체가 큼직한 돌로 이루어진 기단은 네 모서리와 각 면의 가운데에 기둥모양의 조각을 두었으며, 탑신의 각 몸돌에도 모서리마다 기둥을 본떠 새겼다. 위로 오를수록 서서히 줄어드는 비율이 단아하며, 형태도 정돈되어 있다. 지붕돌은 얇은 편이고 밑면의 받침이 3단씩인데,.. 2022. 8. 29. 강원 인제 갑둔리 오층석탑 및 삼층석탑 강원도 문화재자료 인제갑둔리오층석탑및주변탑재일식 (麟蹄甲屯里五層石塔및周邊塔材一式)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3기 지정(등록)일 : 1993.06.03 소재지 : 강원 인제군 남면 갑둔리 산69,598및상남면 상남리 945 문화재 설명 인제군 남면 갑둔리 및 상남면 상남리에 흩어져 있는 석탑 및 탑의 일부분으로, 모두 3기에 이른다. 첫번째는 갑둔리 5층 석탑으로, 2층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리고 있는데, 탑신의 1·2·3층 몸돌과 5층 지붕돌은 탑을 복원할 때 새로 만들어 끼워 넣은 것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안상(眼象)을 조각하고 위층 기단에는 기둥모양과 글을 새겨 놓았다. 탑신의 각 층 지붕돌은 네 귀퉁이가 살짝 치켜 올라 갔으며 밑면에 3단의.. 2022. 8. 25. 충남 예산 화암사 오층석탑 충남 예산 화암사 오층석탑 2022.07.10 촬영 충남 예산 화암사 관련 이전글보기 2022.08.20 - [한국의법당/충청권] - 충남 예산 화암사 충남 예산 화암사 화암사 전통사찰 제70호 충남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 202 화암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7교구본사 수덕사의 말사로,화암사의 창건연대는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삼국시대의 고찰 이라고 전해지 sajin365.net 2012.08.09 - [한국의석탑/충청남도] - [충남]예산 화암사오층석탑 [충남]예산 화암사오층석탑 충남 예산 화암사오층석탑 2012.05.06 촬영 문현준 sajin365.net 2012.08.09 - [한국의문화유산/충청권] - [충남]예산 김정희선생필적암각문 [충남]예산 김정희선생필적암각문 종 목 : 충청남도 기념물 제151.. 2022. 8. 20. 충남 태안 남문리오층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남문리오층석탑 (南門里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84.05.17 소재지 : 충청남도 태안군 태안읍 남문리 436-1 시 대 : 고려시대 문화재 설명 남문리 마을 안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널찍하게 마련한 돌단 위에 놓여 있다. 몇년 전까지 주변에서 기와조각이 발견되었고, 인근 민가 앞에서 작은 석불(石佛)이 발견되어 이곳이 절터였음을 말해주고 있다. 대체로 파손이 심하지 않은 이 탑은 기단(基壇)을 1층으로 쌓고, 그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윗돌을 괴어두는 부분에 2단의 높직한 괴임을 두었다. 탑신의 각 지붕돌은 밑면에 4단씩의 받침을 새겼으며, 직선을 그리던 처마는 양쪽 끝에서 느.. 2022. 8. 15. 강원 강릉 관음리오층석탑 강원도 유형문화재 강릉관음리오층석탑 (江陵觀音里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기 지정(등록)일 : 1992.06.10 소재지 : 강원 강릉시 성산면 관음리 774번지 문화재 설명 2층 기단(基壇)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의 석탑으로, 주변에 절터로 보이는 건물터와 석불의 대좌로 보이는 석물 등이 남아있다. 아래층 기단의 각 면에는 둥글넓적한 안상(眼象)을 얕게 새기고, 위층 기단에는 각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새겼다.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하나의 돌로 쌓아 올렸는데, 1층 몸돌은 큰 편이며, 2층부터는 높이가 급격히 낮아졌다. 지붕돌은 밑면에 3단의 받침을 두고, 네 귀퉁이는 높이 치켜 올라갔는데, 각층이 비슷한 크기로 거의 .. 2022. 8. 13. 충남 부여 홍양리오층석탑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부여홍양리오층석탑 (扶餘鴻良里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74.09.01 소재지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홍양리 190-1 문화재 설명 안량사(安良寺)라는 절이 있었다고 전해지는 곳에 남아 있는 5층 석탑이다. 현재는 절이 있었던 흔적은 찾을 수 없고 다만 탑 주변으로 기와·자기조각, 토기 등이 흩어져 있을 뿐이다. 탑의 실제기단의 하부는 확인되지 않지만 지대석이 마련되어 있고 상하단의 기단석이 마련되었다. 하단은 여러매의 돌로 이루어졌던 것으로 추정되나 현재 일부 유실이 된 상태이고 상단은 두장의 넓은 돌로 되어 있다. 그러나 중심축 침하로 인해 상단의 기단은 그나마 기울어진 형상이다. 그 위로 5층의 탑신(.. 2022. 8. 11. 이전 1 2 3 4 5 ··· 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