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255 전북 익산 왕궁리오층석탑 국보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益山 王宮里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97.01.01 소재지 : 전북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 산80-1번지 시 대 : 고려시대 마한시대의 도읍지로 알려진 익산 왕궁면에서 남쪽으로 2㎞쯤 떨어진 언덕에 자리하고 있는 석탑이다. 1단의 기단(基壇)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기단부가 파묻혀 있던 것을 1965년 해체하여 수리하면서 원래의 모습이 드러났다. 탑의 기단은 네 모서리에 8각으로 깎은 주춧돌을 기둥삼아 놓고, 기둥과 기둥 사이에는 길고 큰 네모난 돌을 지그재그로 맞물리게 여러 층 쌓아 올려놓아 목조탑의 형식을 석탑에서 그대로 재현하고 있다. 이 팔각기둥과 네모난 돌들 사이는 흙을 .. 2021. 7. 8. 전북 익산 미륵사지석탑 국보 익산 미륵사지 석탑 (益山 彌勒寺址 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62.12.20 소재지 : 전북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 97번지 시 대 : 백제시대 후기 7세기 백제 최대의 사찰이었던 익산 미륵사는 무왕(武王, 600-641) 대에 창건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륵사는 전형적인 1탑1금당의 백제식 가람배치와 달리 세 개의 탑과 금당 등으로 구성된 3탑3금당의 독특한 배치형식이다. 이 미륵사지 석탑은 세 개의 탑 중 서쪽에 위치한 탑이다. 우리나라 석탑 중 가장 규모가 크고 창건시기가 명확하게 밝혀진 석탑 중 가장 이른 시기에 건립된 것이다. 원래는 9층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반파된 상태로 6층 일부까지만 남아있었다. 창건당시의 정확한.. 2021. 7. 8. 전북 익산 미륵사지당간지주 보물 익산 미륵사지 당간지주 (益山 彌勒寺址 幢竿支柱)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당간 수량/면적 : 2기 지정(등록)일 : 1963.01.21 소재지 : 전북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 93-1, 79, 80-2 시 대 : 통일신라시대 당간지주는 사찰 입구에 세워두는 것으로, 절에서는 행사나 의식이 있을 때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깃발을 걸어두는 길쭉한 장대를 당간이라 하며,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미륵사터의 남쪽에는 2기의 지주가 약 90여 미터의 간격을 두고 서 있는데, 크기와 양식, 조성수법이 같아 같은 시기에 세워진 것으로 본다. 지주를 받치는 기단부(基壇部)는 완전히 파괴되어 대부분이 땅속에 묻혀있는 상태이며, 약간만이 드러나서 그 원모습.. 2021. 7. 8. 전북 익산 남부교회 전북 익산 남부교회에서 2021.06.20 2021. 7. 8. 전북 군산에서 전북 군산에서 나무의 세월을 보다 2021.06.13 2021. 6. 25. 전북 군산 신용동 일본식가옥내 석탑 및 석등 전국 군산 신용동 일본식가옥내 석탑 및 석등 2021.06.13 2021. 6. 25. 전북 군산 군산중학교내 삼층석탑 및 석등 전북 군산 군산중학교내 삼층석탑 및 석등 2021.06.13 2021. 6. 25. 전북 진안 마이산 탑사 전북 진안 마이산 탑사 2021.02.12 2021. 5. 19. 전북 진안 마이산탑 전라북도 기념물 제35호 마이산탑 (馬耳山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민간신앙 / 마을신앙 수량/면적 : 일원 지정일 : 1976.04.02 소재지 : 전북 진안군 마령면 마이산남로 367 (동촌리)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마이산 내에 쌓여 있는 돌탑들로 80여 기에 이르는데, 작은 바윗돌을 쌓아 만든 모습들이 대장관을 이루고 있다. 각각의 탑들은 다듬지 않은 작은 돌들을 그대로 사용하여, 위로 올라갈수록 점차 뾰족하게 쌓아올린 모습으로, 비록 막돌이긴 하나 설계가 정확하고 틈새가 없이 치밀하게 쌓여 우람한 체구가 하늘을 찌를 듯 높이 솟아 있다. 보는 이로 하여금 신비감을 불러 일으키고 있는 이 탑들은 이곳에 살았던 이갑용 처사가 쌓았다는 설이 있으나 확실하지 않고, 조선 전기에 나라.. 2021. 5. 19. 이전 1 2 3 4 5 6 ··· 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