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층석탑63 전북 익산 심곡사 칠층석탑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심곡사칠층석탑 (深谷寺七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基 지정(등록)일 : 2001.09.21 소재지 : 전북 익산시 낭산면 장암길 113 (낭산리) 시 대 : 고려말~조선시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신라 무염대사가 처음 지었다는 심곡사의 대웅전 앞마당에 자리한 칠층석탑으로서, 원래는 심곡사에서 200m 정도 떨어진 곳에 있었다가 이곳으로 옮겨진 것이라고 한다. 1층의 받침돌 위에 7층의 지붕돌을 올리고 맨 위에는 작은 연꽃봉우리 모양의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으로 전체적으로 높다란 느낌을 준다. 바닥돌 위에 있는 받침돌에는 엎어 놓은 모습의 연꽃문양과 위를 향한 모습의 연꽃문양이 아래 위로 각각 새겨져 있다. 탑몸돌과 지붕돌이 1매의 돌로.. 2022. 1. 17. 충남 서산 천장사칠층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02호 천장사칠층석탑 (天藏寺七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84.05.17 소재지 : 충청남도 서산시 천장사길 100 (고북면) 천장사 천장사 인법당 앞뜰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1층 기단(基壇) 위에 7층의 탑신(塔身)을 올려놓은 모습이다. 기단은 밑돌이 바닥돌과 하나의 돌로 되어 있고, 그 위로 지붕 모양의 맨 윗돌을 덮어두고 있는데, 그 폭이 탑신의 1층 몸돌과 거의 같다. 탑신부의 각 몸돌은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을 새겨 두었으며, 위층으로 올라갈수록 줄어드는 비율이 그리 크지 않다. 지붕돌은 밑면에 3단씩의 받침을 새겨두었다. 4층 지붕돌에서부터 7층 몸돌까지 놓인 돌들은 제자리가 아닌 듯 어색한 모습.. 2021. 6. 15. 충남 당진 영탑사칠층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16호 영탑사칠층석탑 (靈塔寺七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당진군 면천면 성하리 510번지 영탑사 법당 뒤의 바위 위에 서 있는 7층 석탑이다. 『당진군사』에는 조선 정조 22년(1798) 연암당 지윤스님이 유리광전을 보수하면서 그 뒤 바위에 5층탑을 세운 후 절 이름을 ‘영탑사’라 하였다는 기록이 보이는데, 원래는 7층탑이었던 것으로 전한다. 이후 훼손되어 5층만 남아있던 것을 1920년대에 이 절의 신도들에 의해 다시 7층의 모습을 되찾게 되었다 한다. 바위를 기단(基壇)삼아 7층의 탑신(塔身)을 올려놓은 이 탑은 바위와 탑이 만나는 부분이 조금 어긋나 있어 원래의 자리는 아.. 2021. 6. 1. 충북 충주 탑평리칠층석탑(중앙탑) 국보 제6호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忠州 塔坪里 七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62.12.20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11 시 대 : 통일신라시대 8세기 남한강의 아름다운 경관과 잘 어우러져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으로, 당시에 세워진 석탑 중 가장 규모가 크며, 우리나라의 중앙부에 위치한다고 해서 중앙탑(中央塔)이라고도 부르는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7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높은 탑신을 받치기 위해 넓게 시작되는 기단은 각 면마다 여러 개의 기둥 모양을 새겨 놓았고, 탑신부의 각 층 몸돌 역시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몸돌을 덮고 있는 지붕돌은 네 귀퉁이 끝이 경쾌하게 치켜올.. 2021. 4. 29. 충남 금산 신안사 칠층석탑 충남 금산 신안사 칠층석탑 2020.04.15 문현준 금산 신안사칠층석탑 이전글보기 2019/08/14 - [한국의석탑/충청남도] - 충남 금산 신안사칠층석탑 충남 금산 신안사칠층석탑 충남 금산 신안사칠층석탑 2016.08.13 문현준의사진속으로 신안사 이전글보기 2019/08/14 - [한국의법당/충청권] - 충남 금산 신안사 극락전 및 아미타삼존불좌상 충남 금산 신안사 극락전 및 아미타삼존불좌상.. sajin365.net 2012/06/14 - [한국의석탑/충청남도] - [충남]금산 신안사 칠층석탑 [충남]금산 신안사 칠층석탑 신안사칠층석탑 충남 금산군 제원면 신안리 신안사 극락전앞에 위치한 석탑. 충남 금산 신안사 칠층석탑 올 사월에만 세번을 다녀 왔는데 내년에 원하는 사진은 아직도.. 2012.0.. 2020. 4. 18. 강원 춘천 칠층석탑 종 목 : 보물 제77호 명 칭 : 춘천 칠층석탑 (春川 七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면적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강원 춘천시 소양로2가 162-2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춘천 시가지 중심에 자리잡고 있는 탑이다. 조선 인조 때 이곳의 현감이었던 유정립이 인조반정으로 파직당하고 낙향하여 이 탑 부근에 집을 세우려고 터를 닦다가 ‘충원사(忠圓寺)’라는 글이 새겨진 그릇을 발견하였는데, 그 후부터 충원사 내에 속하였던 것이 아닐까 추측된다. 한국전쟁 때 심한 손상을 입어 보존 상태가 좋지 않은 데다 기단의 일부가 지하에 파묻혀 있었는데, 지난 2000년에 시행된 전면적인 보수공사로 기단부의 제 모습을 찾게 되었다. 이 석탑은 아랫부분을 발굴 .. 2020. 1. 2. 강원 춘천 칠층석탑 종 목 : 보물 제77호 명 칭 : 춘천 칠층석탑 (春川 七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면적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강원 춘천시 소양로2가 162-2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춘천 시가지 중심에 자리잡고 있는 탑이다. 조선 인조 때 이곳의 현감이었던 유정립이 인조반정으로 파직당하고 낙향하여 이 탑 부근에 집을 세우려고 터를 닦다가 ‘충원사(忠圓寺)’라는 글이 새겨진 그릇을 발견하였는데, 그 후부터 충원사 내에 속하였던 것이 아닐까 추측된다. 한국전쟁 때 심한 손상을 입어 보존 상태가 좋지 않은 데다 기단의 일부가 지하에 파묻혀 있었는데, 지난 2000년에 시행된 전면적인 보수공사로 기단부의 제 모습을 찾게 되었다. 이 석탑은 아랫부분을 발굴 .. 2019. 12. 27. 경기 안성 청원사칠층석탑 종 목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6호 명 칭 : 청원사칠층석탑 (淸源寺七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3.09.19 소재지 : 경기 안성시 원곡면 성은리 397 시 대 : 조선시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청원사 대웅전 앞마당에 서 있는 7층 석탑으로, 넓다란 바닥돌 위에 1층의 기단(基壇)을 두고 7층의 탑신(塔身)을 올렸다.기단은 밑돌·가운데돌·맨윗돌로 짜여 있는데, 밑돌과 맨 윗돌의 옆면에는 조선시대 특유의 안상(眼象)을 각 면에 네 개씩 새겼다. 또한 연꽃도 장식되어 있어 눈길을 끈다. 기단의 가운데돌과 탑신부의 일곱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을 조각하였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매우 낮게 표현되어 있으며 각 층마다 받침수도 불규칙.. 2019. 12. 21.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내 칠층석탑 서울 이화여자대학교내 칠층석탑 2019.06.15 2019. 12. 20. 이전 1 2 3 4 5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