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칠층석탑69

강원 화천 위라리칠층석탑 종 목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30호 명 칭 : 위라리칠층석탑 (位羅里七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71.12.16 소재지 : 강원 화천군 하남면 춘화로 3370 (위라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소유단체) 관리자 : (관리단체) 화천군 문 의 : 강원도 화천군 문화관광과 033-440-2225 고려시대의 옛 절터에 남아 있는 7층 석탑이다. 기단부재, 탑몸돌, 지붕돌 등이 사방에 흩어져 있던 것을 수습하여 다시 세운 것으로, 지붕돌과 탑신의 1 ·2 ·3층의 몸돌은 원래의 것이고 4층 이상의 몸돌은 1975년 복원할 때 보충한 것이다. 탑의 형태는 커다란 바닥돌 위에 7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탑신의 몸돌은 각 모서리마다 기둥.. 2017. 1. 10.
충북 충주 탑평리칠층석탑(중앙탑) 종   목 : 국보 제6호  명   칭 :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忠州 塔坪里 七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11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충주시 남한강의 아름다운 경관과 잘 어우러져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으로, 당시에 세워진 석탑 중 가장 규모가 크며, 우리나라의 중앙부에 위치한다고 해서 중앙탑(中央塔)이라고도 부르는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7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높은 탑신을 받치기 위해 넓게 시작되는 기단은 각 면마다 여러 개의 기둥 모양을 새겨 놓았고, 탑신부의 각 층 몸돌 역시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몸돌.. 2017. 1. 6.
충북 충주 탑평리칠층석탑(중앙탑) 종   목 : 국보 제6호  명   칭 :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忠州 塔坪里 七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11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충주시 남한강의 아름다운 경관과 잘 어우러져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으로, 당시에 세워진 석탑 중 가장 규모가 크며, 우리나라의 중앙부에 위치한다고 해서 중앙탑(中央塔)이라고도 부르는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7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높은 탑신을 받치기 위해 넓게 시작되는 기단은 각 면마다 여러 개의 기둥 모양을 새겨 놓았고, 탑신부의 각 층 몸돌 역시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몸돌.. 2015. 12. 1.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중앙탑) 종   목 : 국보 제6호  명   칭 :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忠州 塔坪里 七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11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충주시 남한강의 아름다운 경관과 잘 어우러져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으로, 당시에 세워진 석탑 중 가장 규모가 크며, 우리나라의 중앙부에 위치한다고 해서 중앙탑(中央塔)이라고도 부르는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7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높은 탑신을 받치기 위해 넓게 시작되는 기단은 각 면마다 여러 개의 기둥 모양을 새겨 놓았고, 탑신부의 각 층 몸돌 역시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몸돌.. 2015. 11. 17.
충북 충주 탑평리칠층석탑(중앙탑) 종   목 : 국보 제6호  명   칭 :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忠州 塔坪里 七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11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충주시 남한강의 아름다운 경관과 잘 어우러져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으로, 당시에 세워진 석탑 중 가장 규모가 크며, 우리나라의 중앙부에 위치한다고 해서 중앙탑(中央塔)이라고도 부르는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7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높은 탑신을 받치기 위해 넓게 시작되는 기단은 각 면마다 여러 개의 기둥 모양을 새겨 놓았고, 탑신부의 각 층 몸돌 역시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몸돌.. 2015. 10. 8.
충북 충주 탑평리칠층석탑(중앙탑) 종   목 : 국보 제6호  명   칭 :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忠州 塔坪里 七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11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충주시 남한강의 아름다운 경관과 잘 어우러져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으로, 당시에 세워진 석탑 중 가장 규모가 크며, 우리나라의 중앙부에 위치한다고 해서 중앙탑(中央塔)이라고도 부르는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7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높은 탑신을 받치기 위해 넓게 시작되는 기단은 각 면마다 여러 개의 기둥 모양을 새겨 놓았고, 탑신부의 각 층 몸돌 역시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몸돌.. 2015. 9. 25.
[충북]충주 탑평리칠층석탑(중앙탑) 종 목 : 국보 제6호 명 칭 :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忠州 塔坪里 七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11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충주시 남한강의 아름다운 경관과 잘 어우러져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으로, 당시에 세워진 석탑 중 가장 규모가 크며, 우리나라의 중앙부에 위치한다고 해서 중앙탑(中央塔)이라고도 부르는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7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높은 탑신을 받치기 위해 넓게 시작되는 기단은 각 면마다 여러 개의 기둥 모양을 새겨 놓았고, 탑신부의 각 층 몸돌 역시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몸돌을 덮고 있는 지붕돌은.. 2015. 9. 19.
[충남]당진 영탑사 칠층석탑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16호 명 칭 : 영탑사칠층석탑 (靈塔寺七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당진군 면천면 성하리 510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관리자 : 영탑사 문 의 : 충청남도 당진시 문화체육과 041-350-3581~4 영탑사 법당 뒤의 바위 위에 서 있는 7층 석탑이다. 『당진군사』에는 조선 정조 22년(1798) 연암당 지윤스님이 유리광전을 보수하면서 그 뒤 바위에 5층탑을 세운 후 절 이름을 ‘영탑사’라 하였다는 기록이 보이는데, 원래는 7층탑이었던 것으로 전한다. 이후 훼손되어 5층만 남아있던 것을 1920년대에 이 절의 신도들에 의해 다시 7층의 모습을 되찾게 되었다 한다. .. 2014. 12. 9.
[강원]춘천 남이섬칠층석탑 강원 춘천 남이섬 칠층석탑 2014.06.06 문현준 2014. 1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