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문화유산/서울경기72

인천 강화 교동읍성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23호 교동읍성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수량/면적 : 1곽 / 5,958.7㎡ 지정일 : 1995.03.02 소재지 : 인천 강화군 교동면 읍내리 577번지 시 대 : 조선시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읍성이란 군이나 현의 주민을 보호하고, 군사적·행정적인 기능을 함께 하는 성을 말한다.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면의 교동읍성은 한 도읍 전체를 둘러싸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막았으며, 군데군데 문을 내어 바깥과 통하도록 만들었다. 성의 둘레는 약 430m, 높이는 약 6m로, 동·남·북쪽 3곳에 성문을 두었고, 각 문에는 망을 보기 위해 문루를 세웠는데, 동문은 통삼루, 남문은 유량루, 북문은 공북루라고 하였다. 조선 인조 7년(1629)에 처음 쌓았으며, 영조 .. 2019. 10. 3.
인천 강화 초지진 사적 제225호 강화 초지진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시설 수량/면적 : 4,242㎡ 지정일 : 1971.12.29 소재지 : 인천 강화군 길상면 초지리 624번지 시 대 : 조선시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해상으로부터 침입하는 적을 막기 위하여 구축한 요새로, 조선왕조실록이나 승정원일기에서 초지진 설치에 대한 기사에 따르면 조선 효종 6년(1655)에 설치된 것으로 보인다. 1870년대에 미국과 일본이 침략하였을 때 이들과 맞서 싸운 곳으로 1871년에 미국 해병이 초지진에 침략해 왔을 때 전력의 열세로 패하여 점령당하였다. 이 때 군기고, 화약창고 등의 군사시설물이 모두 파괴되었다. 일본이 조선을 힘으로 개항시키기 위해서 파견했던 운양호의 침공은 고종 13년(1876)의 강.. 2019. 10. 2.
인천 강화 강화산성 남문 사적 제132호 강화산성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수량/면적 : 791,740㎡ 지정일 : 1964.06.10 소재지 : 인천 강화군 강화읍 국화리 산3번지 일원 시 대 : 고려시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강화읍을 에워싸고 있는 고려시대의 산성이다. 몽골의 침입으로 백성과 국토가 수난을 당하자, 당시 실권자인 최우는 1232년 강화도로 수도를 옮겼다. 왕궁과 성·관아 시설은 1234년 본격적인 공사가 시작되었다. 이 때 개경의 궁궐과 비슷하게 지어 산의 이름도 송악이라 지었다. 성은 흙으로 쌓았고, 내성·중성·외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내성은 주위 약 1,200m로 지금의 강화성이다. 중성은 내성을 지키기 위해 쌓았으며, 외성은 1233년 강화 동쪽해안을 따라 쌓았다. 이 외성.. 2019. 10. 2.
경기 과천 관악산 연주대 경기도 기념물 제20호 연주대 (戀主臺) 분 류 : 자연유산 / 명승 / 자연명승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73.07.10 소재지 : 경기 과천시 중앙동 산12-4번지 시 대 : 조선시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관악산의 봉우리 중에 죽순이 솟아오른 듯한 모양을 한 기암절벽이 있는데, 그 위에 석축을 쌓고 자리잡은 암자를 연주대라 한다. 원래는 의상대사가 문무왕 17년(677)에 암자를 세우면서 ‘의상대’라 이름했었는데, 고려 멸망 후 조선을 반대하며 고려에 충성을 다하던 유신들이 이곳에 모여, 멀리 개경쪽을 바라보며 고려를 그리워하여 연주대(戀主臺)로 이름을 고쳐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또한 조선 태종(재위 1400∼1418)이 셋째왕자 충녕대군을 장차 태자로 책봉하려 하자 이를 눈치챈 첫째.. 2019. 9. 7.
경기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보물 제4호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당간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경기 안양시 만안구 예술공원로103번길 4 (석수동) (지번)경기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212-1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소유단체)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절에 행사가 있을 때 절 입구에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이 깃발을 달아두는 장대를 당간(幢竿)이라 하며, 장대를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이 당간지주는 양 지주가 원래 모습대로 85㎝ 간격을 두고 동서로 서 있다. 이곳을 중초사터라고 하는 것은 서쪽지주의 바깥쪽에 새겨진 기록에 따른 것이다. 현재 지주의 기단은 남아있지 않고, 다만 지주 사이와 양쪽 지주의 바깥에 .. 2019. 8. 26.
경기 수원 화성 수원 화성 (水原 華城) 사적 제3호 분 류 : 유적건조물/정치국방/성/성곽 수량/면적 : 384,666㎡ 지정(등록)일 : 1963.01.21 소재지 : 경기 수원시 팔달구 장안동 1-2번지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관리자(관리단체) : 수원시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수원 화성은 서쪽으로는 팔달산을 끼고 동쪽으로는 낮은 구릉의 평지를 따라 쌓은 평산성이다. 정조는 그의 아버지 장헌세자에 대한 효심에서 화성에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정조 18년(1794)에 성을 쌓기 시작하여 2년 뒤인 1796년에 완성하였다. 성곽의 둘레는 약5.7㎞이고 성벽의 높이는 4~6m 정도인데 다산 정약용이 성을 설계하고, 거중기 등의 신기재를 이용하여 과학적이고 실용적으로 쌓았다. 성벽은 서.. 2018. 9. 3.
서울 종로 종묘 명 칭 : 종묘 (宗廟)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궁궐·관아/ 사우 수량/면적 : 200,545㎡ 지정일 : 1963.01.18 소재지 : 서울 종로구 종로 157 (훈정동)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문화재청 종묘관리소 종묘는 조선왕조의 왕과 왕비, 그리고 죽은 후 왕으로 추존된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시는 사당이다. 종묘는 본래의 건물인 정전과 별도의 사당인 영녕전을 비롯하여 여러 부속건물이 있다. 태조 3년(1394)에 한양으로 도읍을 옮기면서 짓기 시작하여 그 이듬해에 완성되었다. 태조는 4대(목조, 익조, 도조, 환조)의 추존왕을 정전에 모셨으나, 세종 때 정종이 죽자 모셔둘 정전이 없어 중국 송나라 제도를 따라 세종 3년(1421) 영녕전을 세워 4대 추존왕의 신위.. 2017. 1. 4.
경기 이천 영월암 마애여래입상 종 목 : 보물 제822호 명 칭 : 이천 영월암 마애여래입상 (利川 映月庵 磨崖如來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량/면적 : 1좌 지정일 : 1985.01.08 소재지 : 경기 이천시 관고동 산64-1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이천시 높이 7∼8m의 자연 암석을 다듬고 바위면 전체에 꽉 채워 조각한 마애불로 전체적으로 장대하며 힘찬 솜씨를 보이고 있어 고려 초기에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머리와 양 손은 얕은 돋을새김으로 표현하였고 옷주름 등은 선으로 조각되었다. 원만하고 둥근 얼굴에 이목구비가 크고 뚜렷하며 지그시 감은 듯한 눈과 굵직한 코, 두터운 입술 등에서 힘차고 후덕한 고승의 느낌을 갖게 한다. 양 손은 가슴에 모아 엄지와 약지를 맞대고 있으며, 손.. 2015. 10. 2.
2015 문화유산채널 사진전시회 2015년 문화유산채널 사진전시회 사진으로 만나는 우리의 문화유산 일시:2015-09.12-0918 G아르체갤러리(강남역 지하3층) 2015. 9.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