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문화유산/충청남도217 충남 논산 강경성당 국가등록문화유산 강경성당 (江景聖堂) 분 류 : 등록문화유산 / 기타 / 종교시설 수량/면적 : 1동, 639㎡ 지정(등록)일 : 2015.08.25 소재지 : 충청남도 논산시 옥녀봉로27번길 13-3 (강경읍) 강경성당은 1961년에 건립된 것으로, 당시로서는 특이한 구조방식인 첨두형 아치보로 내부를 구성하는 등 현대적 처리가 돋보이는 성당건축물임 건축에 조예가 깊은 보드뱅 신부(1897∼1976)의 설계와 감독으로 지어져, 건립 당시의 구조와 형태를 잘 유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존·활용 여건이 양호하며, 당시의 일반적인 건축구조형식을 벗어나 아치 형식의 구조프레임을 사용하여 대형공간을 만드는 등 건축적ㆍ종교사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됨 자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국가등록문화유산 강경성당 (江景.. 2025. 6. 29. 충남 부여 정림사지 석조여래좌상 보물 부여 정림사지 석조여래좌상 (扶餘 定林寺址 石造如來坐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 1구 지정(등록)일 1963.01.21 소재지 :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254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충청남도 부여의 정림사지에 남아 있는 석조불상으로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와 남북으로 마주보고 있다. 정림사는 6세기 중엽에 처음 창건되어 백제 멸망 때까지 번창하였던 사찰로 고려시대에 다시 번창했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석불상은 고려 때의 번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지금의 머리와 보관은 제작 당시의 것이 아니라, 후대에 다시 만들어 얹은 것으로 보인다. 신체는 극심한 파괴와 마멸로 형체만 겨우 남아 있어 세부적인 양식과 수법을 알아보기 어렵지만, 어깨가 밋밋하게 내려.. 2025. 6. 12. 충남 부여 홍산객사 및 홍산만덕교비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홍산객사 (鴻山客舍)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관아 수량/면적 : 1동 지정(등록)일 : 1982.08.03 소재지 : 충남 부여군 홍산면 북촌로 47 (북촌리) 국가유산 설명 조선 헌종 2년(1836) 홍산군에 세운 객사 건물이다. 객사는 국왕의 전패를 모시고 초하루와 보름에 망궐례를 올리는 한편 왕명을 받들고 내려오는 중앙관리를 접대하고 유숙시키던 곳이다. 중앙에 정당이 있고 양쪽에 익실이 있다. 정당은 앞면 3칸·옆면 3칸의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집이다. 앞면은 문짝없이 트였고 옆면과 뒷면은 벽을 둘러 막았다. 내부는 통칸으로 트인 넓은 대청마루이다. 앞면 5칸·옆면 2칸의 동익실은 앞면은 개방하여 툇마루를 놓았고 .. 2025. 6. 9. 충남 아산 용화사 미륵불 용화사 미륵불 향토문화유산 (2006.03.07지정) 미륵불은 석가모니가 열반하위 56억7000만 년이 지나면 사바세계에 출현하는 부처님이다. 이 불상은 통견의 불의를 입고 있고 목에는 삼도가, 머리에는 육계가 표현되어 있는데, 이는 통일신라 말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불상의 표정에는 위엄이 있고, 옷 주름도 정형화되어 있지만, 손가락이나 팔 등은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있다. 오른쪽 귀의 무늬와 왼쪽 어깨의 주름, 등의 조각 흔적 등으로 미루어 볼 때, 조각 도중에 머리 부분을 떼어 몸통 위제 돌려 앉힌 걱으로 추정된다. 이 불상은 나라에 큰 위험이나 애환이 닥치면 미리 검은 눈물을 흘려 예견 한다고 한다. 또한 지역 주민들에게는 소원을 이루어 주는 불상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의 용화사는 덤.. 2024. 11. 21. 충남 예산 대흥동헌의 봄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예산대흥동헌및아문 (禮山大興東軒및衙門)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관아 수량/면적 : 2동 지정일 : 2003.10.30 소재지 : 충남 예산군 대흥면 동서리 106-1번지 시 대 : 조선 태종 7년(1407) 대흥동헌은 조선 초인 태종 7년(1407)에 창건되었고, 1914년에 대흥면사무소로 개조하여 사용되다가 1979년 해체복원 정비되었다. 대흥동헌은 기본 구조가 잘 남아 있고, 예산지역에 현존하고 있는 유일한 관아건물이며 1405년에 건립된 대흥향교와 함께 대흥지역의 역사를 증명하는 건축물로서 역사적·건축학적 보존가치가 있다. 자료 : 국가유산포털 충남 예산 대흥동헌의 봄2024.04.06대흥동헌 이전글보기2023.10.11 - [한국의문화유산/충.. 2024. 10. 6. 충남 보령 충정공 이시방 신도비 보령 충정공 이시방 신도비 보령시 향토문화유산 제9호 (2019.05.10 지정) 충남 보령시 오천면 영보리 53-2번지외 이시방 신도비는 이시방의 묘소 인근에 세운 비석으로, 조선 중기 양반가 신도비의 전형적인 형식을 반영하고 있는 자료이다. 우암 송시열이 비문을 짓고 송준길이 세우려고 비신까지 마련하였으나, 정치적으로 몰락하여 세우지 못하고 묘지 인근에 묻힌것이 1953년 폭우로 비석이 드러나 이곳에 다시 세웠다. 비문 3,000여자에 대동법의 실시 정묘호란 병자호란등이 기록되어 있어 조선 중기의 사회상을 알 수 있는 소중한 자료이다. 충정공 이시방(1594~1660)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인조반정에 참여하여 정사공신으로 녹훈되었으며, 정묘호란 당시 강화의 군비를 정비하고 8도의 군량미를 조.. 2024. 10. 1. 충남 아산 여민루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여민루 (慮民樓)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관아 수량/면적 : 1동 지정일 : 1973.12.26 소재지 : 충청남도 아산시 여민루길 20 (영인면, 영인초등학교) 시 대 : 조선시대 조선시대 아산군 관아 입구에 세웠던 문루건물로, 사방을 트고 마루를 한층 높게 지은 다락형식의 집이다. 조선 태종 11년(1411) 현감 최안정이 낡은 객사를 고쳤다고 하는데, 태종 13년 백성들의 도움을 얻어 객사 동편에 지었다고 한다.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로,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새날개 모양인 익공양식이다. 기둥 사이에는 꽃받침 모양의 건축 재료를 가운데 칸에 3개, 나머지 .. 2024. 8. 16. 충남 당진 합덕성당 충청남도 기념물 당진합덕성당 (唐津合德聖堂)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천주교 / 성당 수량/면적 : 2,390㎡ 지정일 : 1998.07.28 소재지 :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성당2길 16 (합덕읍, 천주교합덕성당) 낮은 언덕 위에 자리한 성당으로, 벽돌과 목재를 이용한 우리나라에서는 보기드문 건축 양식을 보여준다. 정면의 종탑이 쌍탑으로 되어있는 것이 특징인 이 성당은 3개의 출입구와 창들이 모두 무지개 모양을 이루고 있다. 외벽은 붉은 벽돌로, 창둘레와 종탑의 각 모서리는 회색벽돌로 쌓았다. 창 아래와 종탑의 각각 면에는 회색벽돌로 마름모형의 장식을 하였다. 1929년에 새로 지은 건물로, 100여 년 이상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으며, 교회가 박해를 받을 때에는 순교의 장소가 되기도 한 .. 2024. 7. 31. 충남 당진 신리다블뤼주교유적지 충청남도 기념물 당진신리다블뤼주교유적지 (唐津新里다블뤼主敎遺蹟址)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천주교 / 부속건물 수량/면적 : 1554 지정일 : 2008.12.22 소재지 : 충청남도 당진시 신리1길 44 (합덕읍) 내포 교회의 초기 공소가 있었던 곳으로, 병인박해 때 다블뤼 주교, 오메트르 신부, 위앵 신부, 황석두 등이 체포되어 순교한 곳으로 손자손을 비롯한 천주교의 성인 5명이 관련된 유적이다. 다블뤼 주교는 제5대 조선교구장으로 신리공소는 실질적인 조선교구청이었던 셈이다. 공소 건물은 원래 손자손의 생가로 보수공사 때 확인된 건축연대는 1815년인데, 1964년 새롭게 복원되었다. 병인박해 때 순교한 32인의 순교자가 안장되어 있다. 최근 천주교단의 정비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 2024. 7. 31. 이전 1 2 3 4 ··· 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