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문화유산/충청남도214 충남 예산 김정희선생고택(추사고택)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김정희선생고택 (金正喜先生古宅) 분 류 :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면적 : 2동 지정(등록)일 : 1976.01.08 소재지 : 충남 예산군 신암면 추사고택로 261 (용궁리)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실학자이며 서예가인 추사 김정희(1786∼1856)의 옛 집이다. 안채와 사랑채 2동짜리 건물로 조선 영조(재위 1724∼1776)의 사위이자 김정희의 증조할아버지인 김한신에 의해 지어진 집이라고 한다. 건물 전체가 동서로 길게 배치되어 있는데, 안채는 서쪽에 있고 사랑채는 안채보다 낮은 동쪽에 따로 있다. 사랑채는 남자주인이 머물면서 손님을 맞이하던 생활공간인데, ㄱ자형으로 남향하고 있다. 각방의 앞면에는 툇마루가 있어 통로로 이용하였다. 안채는 가운데의 안마당.. 2023. 11. 14. 충남 홍성 고산사 석조여래입상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홍성 고산사 석조여래입상 (洪城 高山寺 石造如來立像) 분 류 : 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 1구 지정(등록)일 : 2013.04.10 고산사 석조여래입상은 타원형의 둥근 얼굴에 둥글게 솟은 육계가 있으며 얼굴은 마모되어 선명하지 않은 편임. 전체적으로 편편하고 길쭉한 신체에 통견식의 대의를 입었으며 목 밑에서부터 촘촘하게 둥근 옷주름이 측면까지 이어지면서 새겨져 있음. 대퇴부에서 양 다리 사이로 신체의 굴곡이 남아 있어 전체적으로 얇은 대의를 걸쳤음을 알 수 있으며 오른손은 아래로 그냥 내리고 왼손은 가슴 위로 들어 시무외인을 하고 있음.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홍성 고산사 석조여래입상 2023.04.13 촬영 고산사 석조여래입상 이전글보기.. 2023. 11. 9. 충남 태안 흥주사 만세루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흥주사만세루 (興住寺萬歲樓)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각루 수량/면적 : 1동19.8평 지정(등록)일 : 1990.09.27 소재지 : 충청남도 태안군 속말1길 61-61 (태안읍) 시 대 : 조선시대 태안읍의 뒷산 백화산 줄기의 동남편 산중턱에 자리한 고려시대 절인 흥주사의 중문이다. 중종 25년(1527)에 처음 지어지고 그 후 4차례에 걸쳐 다시 지었고, 1944년에 해체·복원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집이다. 경사진 곳에 자연석으로 축대를 쌓고 지었기 때문에 밖에서 보면 2층이지만 안에서 보면 단층건물로 보인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건물의 앞쪽에만 있는데 .. 2023. 11. 8. 충남 부여박물관 금동대향로, 마애여래삼존 외 국보 백제 금동대향로 (百濟 金銅大香爐) 분 류 : 유물 / 불교공예 / 공양구 수량/면적 : 1점 지정(등록)일 : 1996.05.30 소재지 : 충남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국립부여박물관 (동남리,국립부여박물관) 시 대 : 백제시대(6∼7세기) 백제 나성과 능산리 무덤들 사이 절터 서쪽의 한 구덩이에서 450여점의 유물과 함께 발견된 백제의 향로이다. 높이 61.8㎝, 무게 11.8㎏이나 되는 대형 향로로, 크게 몸체와 뚜껑으로 구분되며 위에 부착한 봉황과 받침대를 포함하면 4부분으로 구성된다. 뚜껑에는 23개의 산들이 4~5겹으로 첩첩산중을 이루는 풍경을 보여주고 있다. 피리와 소비파, 현금, 북들을 연주하는 5인의 악사와 각종 무인상, 기마수렵상 등 16인의 인물상과 봉황, 용을 비롯한 상상의.. 2023. 11. 6. 충남 부여 부여박물관 석조여래입상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박물관석조여래입상 (博物館石造如來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 1구 지정(등록)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동남리) 1933년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금성산의 천왕사 절터에서 발견되어 현재 국립부여박물관에 옮겨져 있는 불상이다. 몸체에 비하여 머리가 크며 어깨와 하체가 거의 일직선으로 곧바로 서 있는 자세이다. 얼굴은 살이 올라 풍만하며 눈은 반쯤 감겨있다. 목에는 3줄의 주름인 삼도(三道)가 새겨져 있으며, 양 어깨에 걸친 옷은 아무런 무늬없이 발 밑까지 내려져 있다. 오른손은 위로 올려 손바닥이 밖을 향하게 하였고, 왼손은 아래로 늘어뜨려 손바닥이 보이게 하였다. 몸체에 비해 머리가 크게 표현되어 전체의.. 2023. 11. 6. 충남 예산 대흥동헌및아문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예산대흥동헌및아문(禮山大興東軒및衙門)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관아 수량/면적 : 2동 지정일 : 2003.10.30 소재지 : 충남 예산군 대흥면 동서리 106-1번지 시 대 : 조선 태종 7년(1407) 대흥동헌은 조선 초인 태종 7년(1407)에 창건되었고, 1914년에 대흥면사무소로 개조하여 사용되다가 1979년 해체복원 정비되었다. 대흥동헌은 기본 구조가 잘 남아 있고, 예산지역에 현존하고 있는 유일한 관아건물이며 1405년에 건립된 대흥향교와 함께 대흥지역의 역사를 증명하는 건축물로서 역사적·건축학적 보존가치가 있다. 자료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예산대흥동헌및아문 2023.01.05 촬영 문현준의사진속으로 대흥동헌 이전글보.. 2023. 10. 11. 충남 아산 영인석불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영인석불 (靈仁石佛)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 1구 지정(등록)일 : 1984.05.17 소재지 :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아산리 615 시 대 : 미상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아산리에 위치한 석불입상으로, 화강암에 높이 265㎝, 너비 87㎝로 조각하였다. 목에 시멘트로 보수한 흔적이 있는데, 전하는 말에 의하면 청일전쟁 때 목이 절단된 채 방치되다가 1945년에 보수한 것이라 한다. 머리에는 관(冠)을 쓰고 있으며, 계란형의 얼굴은 양 볼이 통통하게 표현되었다. 당당한 체구에 옷은 왼쪽 어깨만을 감싸고 있는데 옷주름은 마멸로 인해 자세히 보이지 않지만, 배 아래에는 옷주름을 표현한 흔적이 보인다. 왼손의 손바닥에는 동그란 구슬이 올려져 있으며, .. 2023. 9. 25. 충남 서천 동백정 충남 서천 마량당집 충남 서천 동백정에서 2022.09.11 서천 동백정 이전글보기 2011.11.28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서천 동백정에서 바라본 풍경 [충남]서천 동백정에서 바라본 풍경 문현준의사진속으로[2011.08.27 촬영] sajin365.net 2011.11.14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충남]서천 동백정일몰 [충남]서천 동백정일몰 서천일몰 문현준의사진속으로[2010.08.23] sajin365.net 2011.11.14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충남]서천 동백정에서 [충남]서천 동백정에서 서천에서.. 문현준의사진속으로[2010.08.21] sajin365.net 2011.11.11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충남]서천 동백정 일몰 [충남]서천 동백.. 2022. 9. 21. 충남 부여 홍산상천리마애불입상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부여홍산상천리마애불입상 (扶餘鴻山上川里磨崖佛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 1구 지정(등록)일 : 1992.12.08 소재지 : 충남 부여군 홍산면 상천리 산104-1번지 문화재 설명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태봉산 정상의 북쪽 산중턱 암벽에 조각한 마애불이다. 이 불상은 전체높이 6m로 한면을 택하여 조각하였는데 앞쪽이 10˚정도 기울어져 있다. 민머리이며 그 위에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커다랗게 솟아 있다. 둥글 넓적한 얼굴에 눈은 가늘게 감았고 입술은 두터우며 귀는 길게 늘어졌다. 목에는 3줄로 새겨진 삼도(三道)가 있는데 고려시대 불상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왼쪽 어깨에 걸친 옷자락에는 나비모양으로 묶은 띠매듭이 있어 매우 독특하다. 몸체에 비.. 2022. 8. 10. 이전 1 2 3 4 5 ··· 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