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문화유산/충청남도210 충남 예산 상가리미륵불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82호 명 칭 : 상가리미륵불 (上加里彌勒佛)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 량 : 1구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예산군 덕산면 상가리 25 시 대 : 고려시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에 위치한 이 불상은 전체적으로 돌기둥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미륵불로 불리지만 형태로 볼 때 관세음보살을 표현한 것이 분명하다. 머리에는 풀과 꽃무늬가 장식된 화려한 관(冠)을 쓰고 있으며, 관의 가운데에는 작은 부처가 조각되어 있다. 얼굴은 길쭉하며 양 볼에 두툼하게 살이 올라있다. 왼쪽 어깨를 감싸며 입은 옷은 선으로 새겼으며,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으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리고 있다. 양 팔은 몸에 붙인 채 오른손은.. 2020. 3. 12. 충남 부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부도 충남 부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내 부도 2020.03.02 2020. 3. 5. 충남 부여 현내리부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2호 현내리부도 (縣內里浮屠)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73.12.26 소재지 : 충청남도 부여군 금백로 369-18 (석성면)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부도는 승려의 무덤을 상징하여 그 유골이나 사리를 모셔둔다. 현내리 탑골마을에 서 있는 이 부도는 주위에 별다른 절터의 흔적을 찾을 수 없어 원래의 자리인지 다른 곳에서 옮겨온 것인지는 알 수가 없다. 맨 아래의 바닥돌은 보이지 않고, 그 위의 기단(基壇)부터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1층으로 마련된 기단은 네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을 본떠 새겼다. 윗돌을 괴어주는 가장자리에는 얕게 연꽃을 조각하여 장식하였다. 2층을 이루는 탑신(塔身)은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하나의 돌로 이.. 2020. 3. 5. 충남 당진 면천읍성 충청남도 기념물 제91호 당진면천읍성 (唐津沔川邑城)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수량/면적 : 16,954㎡(10필) 지정일 : 1993.12.31 소재지 : 충남 당진군 면천면 군자길 3, 9필 (성상리) 읍성이란 군이나 현의 주민을 보호하고, 군사적·행정적인 기능을 함께하는 성을 말한다. 충청남도 당진군 면천면 소재지의 거의 전역을 둘러싸고 있는 읍성으로 조선 초기에 쌓은 것이다. 성의 둘레는 약 1,200m이고 성벽은 자연석을 다듬어 축조하였는데, 저수지 공사 등의 사업에서 이곳의 돌을 빼다 써서 현재는 유실된 부분이 많다. 서쪽 성벽과 남쪽 성벽이 비교적 잘 남아 있는데, 서벽의 경우 높이가 3.6m정도이다. 서벽의 안쪽 부분은 사다리꼴 모양으로 비탈지게 쌓았으며 바닥의 폭.. 2020. 2. 29. 충남 예산 향천사 부도 종 목 : 문화재자료 제179호 (충남)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2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예산군 예산읍 향천리 57 시 대 : 시대미상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부도는 승려의 무덤을 상징하여 그 유골이나 사리를 모셔둔다.향천사 천불전에서 서쪽으로 약 70m 정도 떨어진 곳에 자리하고 있는 이 2기의 부도는 각각 백제말 이 절을 창건하였던 의각스님의 사리와 조선 임진왜란 당시 승병을 모아 금산전투에 참여하였던 멸운스님의 사리를 모시고 있다.앞에서 보았을 때 왼쪽으로 보이는 부도는 바닥돌 위로 아래·가운데·위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 기단(基壇)을 쌓고, 둥그스름한 탑신(塔身)의 몸돌을 올린 후 지붕돌을 얹은 구조로, 8각의 평면을 기본으로 하고 .. 2020. 1. 6. 충남 아산 게바위 충남 아산 해암리 게바위 2019.07.20 2019. 12. 24. 충남 예산 대흥동헌및아문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74호 예산대흥동헌및아문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관아 수량/면적 : 2동 지정일 : 2003.10.30 소재지 : 충남 예산군 대흥면 동서리 106-1번지 시 대 : 조선시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대흥동헌은 조선 초인 태종 7년(1407)에 창건되었고, 1914년에 대흥면사무소로 개조하여 사용되다가 1979년 해체복원 정비되었다. 대흥동헌은 기본 구조가 잘 남아 있고, 예산지역에 현존하고 있는 유일한 관아건물이며 1405년에 건립된 대흥향교와 함께 대흥지역의 역사를 증명하는 건축물로서 역사적·건축학적 보존가치가 있다.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74호 예산대흥동헌및아문 2019.04.15 충남 예산 대흥동헌 이전글보기 2019/08/24 - [한국의문.. 2019. 12. 10. 충남 당진 안국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 보물 제100호 당진 안국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 3구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청남도 당진시 원당골1길 188 (정미면) 시 대 : 고려시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안국사는 안국산(일명 은봉산)에 위치한 폐사지(廢寺地)로 1929년에 다시 세웠다고하나 또다시 폐사되었다. 이곳에서 200m쯤 떨어진 곳에 높이 5m에 가까운 큰 석불입상이 있다. 머리에는 커다란 사각형의 갓을 쓰고 있으며, 얼굴은 신체의 비례상 어색하게 큰 편이다. 불상의 몸은 대형화되었는데 인체의 조형성이 감소되어 네모난 기둥같은 느낌을 준다. 또 몸과 어울리지 않게 팔과 손을 붙여 비현실적인 모습을 하고 있다. 오른손은 가슴에 대고 있으며, 왼손은 배에 붙여.. 2019. 9. 27. 충남 홍성 홍주의사총 사적 제431호 홍성 홍주의사총 분 류 :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기타 수량/면적 : 36,229㎡ 지정일 : 2001.08.17 소재지 : 충남 홍성군 홍성읍 의사로 79, 외 (대교리) 시 대 : 대한제국시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한말 홍성군 지역에서 있었던 의병활동 가운데 홍주성 전투에서 희생된 수백 의병들의 유해를 모신 묘소이다. 1905년 일본과의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각지에서 의병활동이 일어났는데, 충청남도 홍성지방에서는 이조참판 민종식을 중심으로 활발한 활동이 전개되었다. 1906년 고종 황제의 명을 받아 의병을 모아 남포와 보령에 있는 일본군을 습격하여 병기를 탈취하였으며, 3월 20일에는 홍주성을 함락시켰다. 그러나 일본군의 대포 공격이 본격화되면서 의병 수백명이 전사하여 시.. 2019. 9. 20. 이전 1 2 3 4 5 6 7 8 ··· 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