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문화유산/충청남도210

[충남]당진 안국사지석조여래삼존불상 종 목 : 보물 제100호 명 칭 : 당진 안국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 (唐津 安國寺址 石造如來三尊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 량 : 3구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당진시 정미면 원당골1길 188 (수당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당진시 안국사는 안국산(일명 은봉산)에 위치한 폐사지(廢寺地)로 1929년에 다시 세웠다고하나 또다시 폐사되었다. 이곳에서 200m쯤 떨어진 곳에 높이 5m에 가까운 큰 석불입상이 있다. 머리에는 커다란 사각형의 갓을 쓰고 있으며, 얼굴은 신체의 비례상 어색하게 큰 편이다. 불상의 몸은 대형화되었는데 인체의 조형성이 감소되어 네모난 기둥같은 느낌을 준다. 또 몸과 어울리지 않게 팔과 손을 붙여 비현실적인 모습을 .. 2012. 4. 9.
[충남]서산 용현리마애여래삼존상 종 목 : 국보 제84호 명 칭 :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瑞山 龍賢里 磨崖如來三尊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 량 : 3구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2-10 시 대 : 백제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서산시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가야산 계곡을 따라 들어가면 층암절벽에 거대한 여래입상을 중심으로 오른쪽에는 보살입상, 왼쪽에는 반가사유상이 조각되어 있다. 흔히 ‘백제의 미소’로 널리 알려진 이 마애불은 암벽을 조금 파고 들어가 불상을 조각하고 그 앞쪽에 나무로 집을 달아 만든 마애석굴 형식의 대표적인 예로 꼽힌다. 연꽃잎을 새긴 대좌(臺座) 위에 서 있는 여래입상은 살이 많이 오른 얼굴에 반원형의 눈썹, 살구씨 모양의 눈, 얕고 넓은 .. 2012. 4. 2.
[충남]서산 여미리석불입상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32호 명 칭 : 서산여미리석불입상 (瑞山余美里石佛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 량 : 1구 지정일 : 1989.12.29 소재지 : 충남 서산시 운산면 여미리 산17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여미리부락 관리자 : 여미리부락 문 의 : 충청남도 서산시 문화관광과 041-660-3023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여미리에 있는 불상으로, 1970년대 지금의 위치에서 1㎞ 떨어진 용장천 정비사업 때 하천에서 발견되어 현재의 위치로 옮긴 것이다. 전해오는 이야기에 의하면 이 냇가에서 5㎞ 쯤 거슬러 올라간 상류에 2구의 불상이 있었는데, 그 중 하나가 떠내려온 것이라고 하나 정확하지는 않다. 화강암으로 얼굴과 손등을 조각했으나 옆과 뒷면에는 거친 못 .. 2012. 4. 2.
[충남]예산 상가리미륵불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82호 명 칭 : 상가리미륵불 (上加里彌勒佛)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 량 : 1구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예산군 덕산면 상가리 25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예산군 관리자 : 예산군 문 의 : 충청남도 예산군 문화관광과 041-339-7323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에 위치한 이 불상은 전체적으로 돌기둥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미륵불로 불리지만 형태로 볼 때 관세음보살을 표현한 것이 분명하다. 머리에는 풀과 꽃무늬가 장식된 화려한 관(冠)을 쓰고 있으며, 관의 가운데에는 작은 부처가 조각되어 있다. 얼굴은 길쭉하며 양 볼에 두툼하게 살이 올라있다. 왼쪽 어깨를 감싸며 입은 옷은 선으로 새겼으며, 왼쪽 어깨에서 .. 2012. 4. 2.
[충남]천안 용화사석조여래입상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58호 명 칭 : 용화사석조여래입상 (龍華寺石造如來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 량 : 1구 지정일 : 1976.01.08 소재지 : 충남 천안시 목천면 동리 178 소유자 : 용화사 관리자 : 용화사 문 의 : 충청남도 천안시 문화관광담당관실 041-521-2034 목천면사무소에서 병천으로 가는 길 왼쪽 산기슭에 있는 불상으로 원통형의 돌을 다듬어 만들었다. 갸름하면서도 복스러운 얼굴에 감은 듯한 눈, 오똑한 콧날, 작고 단정한 입 등이 단아하고 자비로운 인상을 준다. 양 어깨를 감싼 옷은 두꺼워서 신체의 굴곡이 거의 드러나지 않지만, 드러낸 가슴에서부터 무릎 아래까지 U자형의 옷주름을 표현하고 있다. 오른손은 손바닥을 정면으로 하여 손가락이 위로.. 2012. 3. 29.
[충남]공주 중동석조 및 반죽동석조(대통사석조) 종 목 : 보물 제148호 명 칭 : 공주 중동 석조 (公州 中洞 石槽)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기타 수 량 : 1개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국립공주박물관 (웅진동) 시 대 : 백제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국립공주박물관 국립공주박물관 정원에 있는 백제시대 석조로, 사찰에서 연꽃을 담아 장식했던 것이다. 원래는 공주시 반죽동의 대통사 터에 공주 반죽동 석조(보물 제149호)와 함께 있었으나, 일제시대에 일본군이 말구유로 쓰기 위해 옮겨가 제자리를 떠나게 되었다. 1940년 이 곳으로 옮겨올 당시 중동초등학교에서 보관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때부터 ‘중동석조’라 부르게 되었다. 규모에 있어서 반죽동 석조보다 약간 작을 뿐 양식이나 조각 수.. 2012. 3. 5.
[충남]논산 관촉사석등 종 목 : 보물 제232호 명 칭 : 논산 관촉사 석등 (論山 灌燭寺 石燈)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석등 수 량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논산시 관촉로1번길 25 (관촉동)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관촉사 관리자 : 관촉사 관촉사 앞뜰의 큰 석불 앞에 놓여있는 4각 석등으로,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이 중심이 되어, 아래에는 3단의 받침돌을 쌓고,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었다. 평면이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고려식으로, 아래받침돌과 윗받침돌에 새겨진 굵직한 연꽃무늬가 두터움을 드러내고 있다. 가운데받침은 각이없는 굵고 둥그런 기둥으로 세웠는데, 위아래 양끝에는 두줄기의 띠를 두르고, 중간에는 세줄기의 띠를 둘렀다. 특히 중간의 세 .. 2012. 2. 22.
[충남]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은진미륵) 종 목 : 보물 제218호 명 칭 :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論山 灌燭寺 石造彌勒菩薩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보살상 수 량 : 1구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논산시 관촉로1번길 25 (관촉동)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관촉사 관리자 : 관촉사 우리나라에서 제일 큰 불상으로 흔히 ‘은진미륵’이라고 불리며 높이가 18m에 이르는데, 당시 충청도에서 유행하던 고려시대의 지방화된 불상양식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머리에는 원통형의 높은 관(冠)을 쓰고 있고, 그 위에는 이중의 네모난 갓 모양으로 보개(寶蓋)가 표현되었는데, 모서리에 청동으로 만든 풍경이 달려 있다. 체구에 비하여 얼굴이 큰 편이며, 옆으로 긴 눈, 넓은 코, 꽉 다문 입 등에서 토속적인 느낌을 .. 2012. 2. 22.
[충남]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 (天安 奉先弘慶寺 碣記碑)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 (天安 奉先弘慶寺 碣記碑) 종 목 : 국보 제7호 분 류 : 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 수 량 : 1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충남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대홍3길 77-48 (대홍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천안시 봉선홍경사는 고려 현종 12년(1021)에 창건된 절이다. 절이름 앞의 ‘봉선(奉先)’은 불교의 교리를 전하고자 절을 짓기 시작한 고려 안종(安宗)이 그 완성을 보지 못하고 목숨을 다하자, 아들인 현종(顯宗)이 절을 완성한 후 아버지의 뜻을 받든다는 의미로 붙인 이름이다. 현재 절터에는 절의 창건에 관한 기록을 담은 이 갈비(碣碑)만이 남아 있다. 갈비는 일반적인 석비보다 규모가 작은 것을 말하는데, 대개는 머릿돌이나 지.. 2012. 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