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문화유산/충청남도217

[충남]아산 온천리석불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27호 명 칭 : 온천리석불 (溫泉里石佛)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 량 : 면적 1구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아산시 온천동 229 시 대 : 소유자 : 관광호텔 관리자 : 관광호텔 문 의 : 충청남도 아산시 문화예술과 041-540-2069 온천리석불에 대한 설명입니다.충청남도 아산시 온양관광호텔에 있는 것으로 1927년 신창면에 파손되어 흩어져 있던 것을 모아서 옮긴 것이다. 전체 높이는 84㎝이며 둥근 얼굴에 양 어깨를 감싼 옷을 입고 있다. 두 손은 무언가를 들어 마주 쥐고 가슴 위까지 올리고 있어 스님의 모습으로 보이기도 한다. 전반적인 불상의 형태로 보아 보아 조선 후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자 료 : 문화재청 충청남.. 2012. 7. 4.
[충남]아산 영괴대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28호 명 칭 : 영괴대 (靈槐臺) 분 류 :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역사사건/ 역사사건 수 량 : 면적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아산시 온천동 242-10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관광호텔 관리자 : 관광호텔 문 의 : 충청남도 아산시 문화예술과 041-540-2069 영괴대에 대한 설명입니다.영조가 온양의 온궁에 행차하였을 때, 함께 따라온 장헌세자(사도세자)가 무술을 연마하던 곳이다. 세자는 이를 기념하고자 온양군수 윤염에게 세 그루의 느티나무를 심도록 하였고, 이후 아들인 정조가 왕위에 오른지 19년만인 1795년에 온양군수 변위진과 충청도 관찰사 이형원에게 명하여 이곳에 대를 만들도록 하였다. 대의 옆에 공사가 끝난 후 그 간의.. 2012. 7. 4.
[충북]영동 마니사지석조여래입상 마니사지 석조여래입상 영동군 양산면 죽산리 이마을 뒤에 마니산 남쪽 기슭에 있는 마니사지에 있던 불상으로 현재는 양산면 송호리 유원지내의 여의정 옆에 옮겨져 있다. 조각 수법으로 보아 대략 고려후기의 작품으로 추정되며,영동군 향토문화재로 1996년 5월에 지정되었다. 충북영동 마니사지석조여래입상 2012.04.14 문현준 2012. 6. 13.
[충남]논산 송불암 미륵불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83호 명 칭 : 송불암미륵불 (松佛庵彌勒佛)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 량 : 면적 1구/2㎡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논산시 연산면 연산리 75 소유자 : 송불암 관리자 : 송불암 문 의 : 충청남도 논산시 문화관광과 041-730-3226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에 있는 이 미륵불은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석불사(石佛寺)의 불상이다. 지금의 송불암이란 명칭은 미륵불 바로 옆의 노송이 불상과 조화를 이루며 지붕처럼 퍼져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양쪽 어깨에 걸치고 있는 옷은 가슴부분에서 U자형을 이루었고, 옷자락의 주름은 얕은 선으로 조각하여 발목까지 내려왔다. 왼손은 가슴에 대고 있으며, 오른손은 몸의 측면에 붙이고 있다.. 2012. 6. 6.
[충남]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및 석등 종   목 : 보물  제218호  명   칭 :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論山 灌燭寺 石造彌勒菩薩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보살상  수   량 : 1구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논산시  관촉로1번길 25 (관촉동)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관촉사 관리자 : 관촉사 우리나라에서 제일 큰 불상으로 흔히 ‘은진미륵’이라고 불리며 높이가 18m에 이르는데, 당시 충청도에서 유행하던 고려시대의 지방화된 불상양식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머리에는 원통형의 높은 관(冠)을 쓰고 있고, 그 위에는 이중의 네모난 갓 모양으로 보개(寶蓋)가 표현되었는데, 모서리에 청동으로 만든 풍경이 달려 있다. 체구에 비하여 얼굴이 큰 편이며, 옆으로 긴 눈, 넓은 코, 꽉 다문.. 2012. 6. 5.
[대전]유성 진잠 성북리 석조보살입상 종 목 :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5호 명 칭 : 진잠 성북리 석조보살입상 (鎭岑城北里石造菩薩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보살상 수 량 : 1구 지정일 : 1989.03.18 소재지 : 대전 유성구 성북동 산11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봉소사 관리자 : 봉소사 문 의 : 대전광역시 유성구 문화공보실 042-611-2078 성북동 산뜸 마을 동북쪽 산중턱에 있는 봉소사 안에 서 있는 석조보살상이다. 신체에 비하여 너무 큰 머리에는 높은 보관(寶冠)을 쓰고 있는데, 보관의 양 옆에는 장신구를 매달았던 듯한 구멍이 있으며, 귀에는 귀걸이를 길게 내려 뜨리고 화려한 장엄구를 달았다. 천의(天衣)는 왼쪽 어깨를 감싸 흘러내리고 있으며, 오른손은 곧게 아래로 내려 손바닥이 앞을 향하도록 하고.. 2012. 5. 3.
[충남]금산 신안사부도 충남 금산 천태산 신안사 부도 2012.04.08 문현준 2012. 5. 3.
[충남]당진 안국사지석조여래삼존불상 종 목 : 보물 제100호 명 칭 : 당진 안국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 (唐津 安國寺址 石造如來三尊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 량 : 3구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당진시 정미면 원당골1길 188 (수당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당진시 안국사는 안국산(일명 은봉산)에 위치한 폐사지(廢寺地)로 1929년에 다시 세웠다고하나 또다시 폐사되었다. 이곳에서 200m쯤 떨어진 곳에 높이 5m에 가까운 큰 석불입상이 있다. 머리에는 커다란 사각형의 갓을 쓰고 있으며, 얼굴은 신체의 비례상 어색하게 큰 편이다. 불상의 몸은 대형화되었는데 인체의 조형성이 감소되어 네모난 기둥같은 느낌을 준다. 또 몸과 어울리지 않게 팔과 손을 붙여 비현실적인 모습을 .. 2012. 4. 9.
[충남]서산 용현리마애여래삼존상 종 목 : 국보 제84호 명 칭 :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瑞山 龍賢里 磨崖如來三尊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 량 : 3구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2-10 시 대 : 백제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서산시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가야산 계곡을 따라 들어가면 층암절벽에 거대한 여래입상을 중심으로 오른쪽에는 보살입상, 왼쪽에는 반가사유상이 조각되어 있다. 흔히 ‘백제의 미소’로 널리 알려진 이 마애불은 암벽을 조금 파고 들어가 불상을 조각하고 그 앞쪽에 나무로 집을 달아 만든 마애석굴 형식의 대표적인 예로 꼽힌다. 연꽃잎을 새긴 대좌(臺座) 위에 서 있는 여래입상은 살이 많이 오른 얼굴에 반원형의 눈썹, 살구씨 모양의 눈, 얕고 넓은 .. 2012. 4.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