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문화유산/충청남도214 [충남]청양 모덕사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52호 명 칭 : 모덕사 (慕德祠) 분 류 :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인물기념/ 사우 수 량 : 1동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청양군 목면 나분동길 12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유림 관리자 : 청양군 문 의 : 충청남도 청양군 기획감사실 041-940-2226 조선 후기 애국지사인 최익현(1833∼1906)선생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최익현은 이학로의 제자로 문학과 도학에 조예가 깊었으며 철종 6년(1855)에 문과에 급제하고 벼슬이 현감에까지 올랐다. 그러나 나라를 걱정하며 대원군의 정책을 비판하는 상소문을 여러 차례 올리고 흑산도에 유배되기도 하였다. 또한 1905년 일제에 의해 강제로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을사 5적을 처단할 것을 주장.. 2014. 4. 14. [충남]아산 공세리성당의 봄 종 목 : 충청남도 기념물 제144호명 칭 : 아산공세리성당 (牙山貢稅里聖堂)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천주교/ 성당수 량 : 면적 8,988㎡지정일 : 1998.07.28소재지 : 충남 아산시 인주면 공세리 194-1시 대 : 조선시대소유자 : 대전교구천주교회관리자 : 공세리 성당문 의 : 충청남도 아산시 문화예술과 041-540-2069 인주면 공세리 언덕에 자리하고 있는 천주교 성당이다. 130여 평 규모에 본당·사제당·피정의 집·회합실 등의 건물이 있고 병인박해 때 순교한 3인의 묘가 조성되어 있다. 본당은 1층 적벽돌 건물로, 정면에는 높은 첨탑이 있고, 내부에는 무지개 모양의 회색 천장이 마련되어 있다. 사제관은 2층 벽돌 건물로, 정면이 팔자(八)계단으로 2층을 오르게 되어있으며, .. 2013. 10. 9. [충남]천안 광덕사 석사자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52호명 칭 : 광덕사석사자 (廣德寺石獅子)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수 량 : 1쌍지정일 : 1984.05.17소재지 : 충남 천안시 광덕면 광덕리 640시 대 : 소유자 : 광덕사관리자 : 광덕사문 의 : 충청남도 천안시 문화관광담당관실 041-521-2034 광덕사 대웅전으로 오르는 계단 양쪽에 놓여 있는 2기의 돌사자상이다. 받침돌을 따로 두지 않고 한돌로 조각하였는데, 하늘을 바라 보는 얼굴은 거의 수평으로 되어 있으며 사람 얼굴 모양을 하고 있다. 머리털은 구름무늬를 이루고 있고, 입은 약간 벌린 모습으로, 그 안에 이빨도 표현하였는데, 사실성은 떨어진다. 자료바로가기 : 문화재청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52호광덕사석사자 2013.05.02문현준 2013. 10. 2. [충남]논산 송불암 미륵불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83호 명 칭 : 송불암미륵불 (松佛庵彌勒佛)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 량 : 면적 1구/2㎡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논산시 연산면 연산리 75 소유자 : 송불암 관리자 : 송불암 문 의 : 충청남도 논산시 문화관광과 041-730-3226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에 있는 이 미륵불은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석불사(石佛寺)의 불상이다. 지금의 송불암이란 명칭은 미륵불 바로 옆의 노송이 불상과 조화를 이루며 지붕처럼 퍼져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양쪽 어깨에 걸치고 있는 옷은 가슴부분에서 U자형을 이루었고, 옷자락의 주름은 얕은 선으로 조각하여 발목까지 내려왔다. 왼손은 가슴에 대고 있으며, 오른손은 몸의 측면에 붙이고 있다... 2013. 9. 23. [충남]예산 이성만형제효제비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02호명 칭 : 예산이성만형제효제비 (禮山李成萬兄弟孝悌碑)분 류 : 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수 량 : 1기지정일 : 1983.09.29소재지 : 충남 예산군 대흥면 동서리 106-2시 대 : 조선시대소유자 : 예산군관리자 : 예산군문 의 : 충청남도 예산군 문화관광과 041-339-7323 고려 전기의 사람인 이성만·이순 형제의 효행과 형제의 의를 기리기 위해 세운 비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기록에 의하면 형제가 모두 지극한 효성으로 부모를 섬겼다고 한다. 부모가 돌아가신 후에도 형은 아버지 묘를 지키고 동생은 어머니 묘를 3년간 곁에서 지키며 돌보았다. 한가지 음식이 생겨도 형제 중 한사람이 없으면 먹지 않았으며, 아침은 형집에서 저녁은 아우집에서 아침과.. 2013. 9. 15. [충남]예산 대흥향교 종 목 : 충청남도 기념물 제136호명 칭 : 대흥향교 (大興鄕校)분 류 :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교육기관/ 향교수 량 : 면적 3,464㎡지정일 : 1997.12.23소재지 : 충남 예산군 대흥면 교촌향교길 88시 대 : 조선시대소유자 : 충남향교재단관리자 : 대흥향교문 의 : 충청남도 예산군 문화관광과 041-339-7323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대흥향교는 조선 태종 5년(1405)에 처음 지었다고 전한다. 건물 배치는 앞쪽에 교육 공간으로 명륜당이 있고, 뒤쪽에 제사 공간인 대성전이 있어 전학후묘의 형태를 따르고 있다. 대성전은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 2013. 9. 15. [충남]예산 대흥동헌및아문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74호명 칭 : 예산대흥동헌및아문 (禮山大興東軒및衙門)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궁궐·관아/ 관아수 량 : 2동지정일 : 2003.10.30소재지 : 충남 예산군 대흥면 의좋은형제길 37(동서리 106-1)시 대 : 조선시대소유자 : 예산군수관리자 : 대흥면장문 의 : 청남도 예산군 문화관광과 041-339-7323 대흥동헌은 조선 초인 태종 7년(1407)에 창건되었고, 1914년에 대흥면사무소로 개조하여 사용되다가 1979년 해체복원 정비되었다. 대흥동헌은 기본 구조가 잘 남아 있고, 예산지역에 현존하고 있는 유일한 관아건물이며 1405년에 건립된 대흥향교와 함께 대흥지역의 역사를 증명하는 건축물로서 역사적·건축학적 보존가치가 있다. 자료바로가기 : 문화재청.. 2013. 9. 15. [충남]예산 추사김정희선생고택(추사고택)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43호명 칭 : 김정희선생고택 (金正喜先生古宅)분 류 :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가옥수 량 : 2동지정일 : 1976.01.08소재지 : 충남 예산군 신암면 추사고택로 261시 대 : 조선시대소유자 : 예산군관리자 : 예산군관광시설사업소 추사고택담당문 의 : 충청남도 예산군 문화관광과 041-339-7323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실학자이며 서예가인 추사 김정희(1786∼1856)의 옛 집이다. 안채와 사랑채 2동짜리 건물로 조선 영조(재위 1724∼1776)의 사위이자 김정희의 증조할아버지인 김한신에 의해 지어진 집이라고 한다. 건물 전체가 동서로 길게 배치되어 있는데, 안채는 서쪽에 있고 사랑채는 안채보다 낮은 동쪽에 따로 있다. 사랑채는 남자주인이 머물면서.. 2013. 9. 6. [충남]예산 상가리미륵불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82호명 칭 : 상가리미륵불 (上加里彌勒佛)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수 량 : 1구지정일 : 1984.05.17소재지 : 충남 예산군 덕산면 상가리 25시 대 : 고려시대소유자 : 예산군관리자 : 예산군문 의 : 충청남도 예산군 문화관광과 041-339-7323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에 위치한 이 불상은 전체적으로 돌기둥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미륵불로 불리지만 형태로 볼 때 관세음보살을 표현한 것이 분명하다. 머리에는 풀과 꽃무늬가 장식된 화려한 관(冠)을 쓰고 있으며, 관의 가운데에는 작은 부처가 조각되어 있다. 얼굴은 길쭉하며 양 볼에 두툼하게 살이 올라있다. 왼쪽 어깨를 감싸며 입은 옷은 선으로 새겼으며,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으로 자연스.. 2013. 9. 5.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