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문화유산/충청남도217 [충남]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종 목 : 보물 제105호 명 칭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瑞山 普願寺址 法印國師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19-2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서산시 승려의 사리를 모셔놓은 탑은 사리탑 혹은 탑이라 하여 절의 한켠에 세워두며, 사리를 넣어두는 탑신(塔身)을 중심으로, 아래에는 이를 받쳐주는 기단부(基壇部)를 쌓고, 위로는 머리장식을 얹어둔다. 이 탑은 보원사(普願寺)터에 세워져있는 사리탑으로, 법인국사 탄문(坦文)의 사리를 모셔놓고 있다. 법인국사는 신라 말과 고려 초에 활약한 유명한 승려로, 광종 19년(968)에 왕사(王師), 974년에 국사(國師)가 되었고,.. 2015. 6. 27. [충남]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종 목 : 보물 제106호 명 칭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瑞山 普願寺址 法印國師塔碑) 분 류 : 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19-2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서산시 보원사는 고란사라고도 하며, 이 절에 관한 역사는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주변에 담아있는 유물들을 볼 때 규모가 큰 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다. 비받침인 귀부(龜趺)는 거북모양이나, 머리는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의 모습으로, 목은 앞으로 빼고 콧수염은 뒤로 돌아 있으며 눈은 크게 튀어 나와 있다. 등 위에는 3단받침을 하고 비를 얹었으며, 비머리는 네 귀퉁이에서 안쪽을 바라보는 용을 새기고, 앞·뒷면에는 구름무늬를.. 2015. 6. 27. [충남]예산 향천사 부도 예산 향천사부도 종 목 : 문화재자료 제179호 (충남)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2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예산군 예산읍 향천리 57 시 대 : 시대미상 소유자 : 향천사 관리자 : 향천사 연락처 : 충청남도 예산군 경영관리실 041-330-2314 부도는 승려의 무덤을 상징하여 그 유골이나 사리를 모셔둔다.향천사 천불전에서 서쪽으로 약 70m 정도 떨어진 곳에 자리하고 있는 이 2기의 부도는 각각 백제말 이 절을 창건하였던 의각스님의 사리와 조선 임진왜란 당시 승병을 모아 금산전투에 참여하였던 멸운스님의 사리를 모시고 있다.앞에서 보았을 때 왼쪽으로 보이는 부도는 바닥돌 위로 아래·가운데·위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 기단(基壇)을 .. 2015. 6. 27. [충남]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종 목 : 보물 제106호 명 칭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瑞山 普願寺址 法印國師塔碑) 분 류 : 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19-2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서산시 보원사는 고란사라고도 하며, 이 절에 관한 역사는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주변에 담아있는 유물들을 볼 때 규모가 큰 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다. 비받침인 귀부(龜趺)는 거북모양이나, 머리는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의 모습으로, 목은 앞으로 빼고 콧수염은 뒤로 돌아 있으며 눈은 크게 튀어 나와 있다. 등 위에는 3단받침을 하고 비를 얹었으며, 비머리는 네 귀퉁이에서 안쪽을 바라보는 용을 새기고, 앞·뒷면에는 구름무늬를.. 2015. 6. 22. [충남]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종 목 : 보물 제105호 명 칭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瑞山 普願寺址 法印國師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19-2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서산시 승려의 사리를 모셔놓은 탑은 사리탑 혹은 탑이라 하여 절의 한켠에 세워두며, 사리를 넣어두는 탑신(塔身)을 중심으로, 아래에는 이를 받쳐주는 기단부(基壇部)를 쌓고, 위로는 머리장식을 얹어둔다. 이 탑은 보원사(普願寺)터에 세워져있는 사리탑으로, 법인국사 탄문(坦文)의 사리를 모셔놓고 있다. 법인국사는 신라 말과 고려 초에 활약한 유명한 승려로, 광종 19년(968)에 왕사(王師), 974년에 국사(國師)가 되었고,.. 2015. 6. 22. [충남]공주 마곡사 영산전 종 목 : 보물 제800호 명 칭 : 공주 마곡사 영산전 (公州 麻谷寺 靈山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량/면적 : 1동 지정(등록)일 : 1984.11.30 소재지 : 충남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로 966, 마곡사 (운암리)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마곡사 관리자 : 마곡사 마곡사는 신라 선덕여왕 9년(640) 자장율사가 세웠다는 설과 신라의 승려 무선이 당나라에서 돌아와 세웠다는 두 가지 설이 전한다. 신라말부터 고려 전기까지 폐사되었던 절로 고려 명종 2년(1172) 보조국사가 절을 다시 세웠으나 임진왜란 뒤 60년 동안 다시 폐사되었다. 훗날 조선 효종 2년(1651)에 각순대사가 대웅전·영산전·대적광전 등을 고쳐 지었다고 한다.영산전은 석가모니불과 일대기를 담은 팔.. 2015. 6. 4. [충남]부여 무량사석등 종 목 : 보물 제233호 명 칭 : 부여 무량사 석등 (扶餘 無量寺 石燈)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석등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부여군 외산면 무량로 203 (만수리)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무량사 관리자 : 무량사 무량사 법당 앞뜰에 세워져 있는 8각 석등으로,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에는 네모난 바닥돌 위로 3단의 받침돌을 쌓고,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 아래받침돌은 연꽃 8잎이 조각되어 있고, 가운데받침은 기둥으로 길게 세워져있으며 그 위로 연꽃이 새겨진 윗받침돌이 놓여 있다. 화사석은 8면 중 4면은 넓고, 4면은 좁은 형태로, 넓은 4면에 창이 뚫려 있다. 지붕돌은 여덟 귀퉁이의 치켜올.. 2015. 4. 28. [충남]아산 맹씨행단 종 목 : 사적 제109호 명 칭 : 아산 맹씨 행단 (牙山 孟氏 杏壇)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제사유적/ 제사터 수량/면적 : 7,856㎡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아산시 배방읍 중리 300번지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관리자 : 아산시 조선 전기 청백리로 유명한 고불 맹사성(1360∼1438) 가족이 살던 집으로, 원래 고려 후기에 최영 장군이 지은 집이라고 전하기도 한다.맹사성은 고려말 · 조선초의 문신으로, 최영 장군의 손주사위이다. 고려 우왕 12년(1386) 문과에 급제하여 춘추관검열, 전의시승 등을 지내고 조선 태조 때에는 예조의랑, 이조참의, 예문관대제학, 우의정의 벼슬을 했다. 사람됨이 소탈하고 조용하며, 효성이 지극하였으나, 조정의 중요한 일을 의.. 2015. 4. 27. [대전]유성 숭현서원지 종 목 : 대전광역시 기념물 제27호 명 칭 : 숭현서원지 (崇賢書院址) 분 류 :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교육기관/ 서원 수량/면적 : 7,000㎡(비1기) 지정일 : 1992.07.22 소재지 : 대전 유성구 원촌동 산35-1번지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관리자 : 회덕향교 문 의 : 대전광역시 유성구 문화공보실 042-611-2078 숭현서원은 정광필·김정·송인수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정광필(1462∼1538)은 조선 전기 문신으로 우의정과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을 역임한 분이다. 김정은 조선 전기 문신이며 학자로 이조참판, 대사헌 등을 거쳐 형조판서를 역임하였다. 시문에도 능하였고 조광조와 함께 사림파의 대표적인 인물로 알려져 있다. 송인수는 조선 중기 문신으로 사헌.. 2015. 4. 22.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