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문화유산/충청남도214 충남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종 목 : 보물 제106호 명 칭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瑞山 普願寺址 法印國師塔碑) 분 류 : 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19-2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서산시 보원사는 고란사라고도 하며, 이 절에 관한 역사는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주변에 담아있는 유물들을 볼 때 규모가 큰 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다. 비받침인 귀부(龜趺)는 거북모양이나, 머리는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의 모습으로, 목은 앞으로 빼고 콧수염은 뒤로 돌아 있으며 눈은 크게 튀어 나와 있다. 등 위에는 3단받침을 하고 비를 얹었으며, 비머리는 네 귀퉁이에서 안쪽을 바라보는 용을 새기고, 앞·뒷면에는 구름무늬를.. 2016. 3. 20. 충남 예산 예산읍삼층석탑 명 칭 : 예산읍삼층석탑 (禮山邑三層石塔)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75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예산군 덕산면 상가리 227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보덕사 관리자 : 보덕사 문 의 : 충청남도 예산군 문화관광과 041-339-7323 보덕사 내에 자리하고 있는 3층 석탑이다. 원래는 근처의 가야사터에 있었으나, 1914년 일본인이 몰래 반출하려던 것을 보덕사 주지의 항의로 돌려 받아 이 절에 남아 있게 되었다. 2층의 기단(基壇) 위로 3층으로 이루어진 탑신(塔身)을 올려놓은 모습인데, 처음에는 5층이었던 것이 훼손되어 3층 까지만 남게 되었다 한다 자료바로가기 : 문화재청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75.. 2015. 11. 26. 충북 충주 원평리 석조여래입상 종 목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8호 명 칭 : 충주 원평리 석조여래입상 (忠州 院坪里 石造如來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량/면적 : 1구 지정일 : 1976.12.21 소재지 : 충북 충주시 신니면 원평리 108번지 시 대 : 소유자 : 관리자 : 충주시 문 의 : 충청북도 충주시 문화체육과 043-850-6631~4 연꽃이 새겨진 대좌(臺座) 위에 8각형의 넓은 갓을 쓰고 서 있는 거대한 석불이다. 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큼직한 머리묶음이 있으며, 얼굴은 이목구비가 뚜렷하고 풍만한 얼굴이다. 양감 넘치는 어깨와 당당한 하체,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 묵중한 옷은 불상의 격을 높여 주고 있다. 고려시대 경기·충청 일대에서 유행하던 석불입상의 형식을 잘 따르고 있는 이 불상은 .. 2015. 11. 17. 충남 아산 맹씨행단 및 구괴정(삼상당) 충남 아산 맹씨행단,구괴정 2015.05.01 문현준 2015. 10. 8. [충남]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종 목 : 보물 제217호 명 칭 : 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扶餘 大鳥寺 石造彌勒菩薩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보살상 수량/면적 : 1구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부여군 임천면 성흥로197번길 112 (구교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대조사 관리자 : 대조사 고려시대에 유행한 거대한 석조미륵보살의 하나로 논산에 있는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보물 제218호)과 쌍벽을 이루는 작품이다. 미래세계에 나타나 중생을 구제한다는 미륵보살을 형상화한 것으로 높이가 10m나 되는 거구이다.머리 위에는 이중의 보개(寶蓋)를 얹은 네모난 관(冠)을 쓰고 있으며 보개의 네 모서리에는 작은 풍경이 달려있다. 관 밑으로는 머리카락이 짧게 내려져 있는데 이와 같은 머리모.. 2015. 8. 15. [충남]서산 보원사지 당간지주 종 목 : 보물 제103호 명 칭 : 서산 보원사지 당간지주 (瑞山 普願寺址 幢竿支柱)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당간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05, 992번지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서산시 절에서는 기도나 법회 등의 의식이 있을 때, 절 입구에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이 깃발을 달아두는 장대를 당간(幢竿)이라 하며,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고 한다.이곳은 옛 절터로, 지금은 주변이 모두 경작지로 변하였는데, 땅을 갈 때 가끔 기와조각이 발견되고 있다. 지주는 절터 동쪽에 있으며, 70㎝정도 간격을 두고 마주 서 있다. 안쪽면에는 아무런 .. 2015. 6. 27. [충남]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종 목 : 보물 제105호 명 칭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瑞山 普願寺址 法印國師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19-2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서산시 승려의 사리를 모셔놓은 탑은 사리탑 혹은 탑이라 하여 절의 한켠에 세워두며, 사리를 넣어두는 탑신(塔身)을 중심으로, 아래에는 이를 받쳐주는 기단부(基壇部)를 쌓고, 위로는 머리장식을 얹어둔다. 이 탑은 보원사(普願寺)터에 세워져있는 사리탑으로, 법인국사 탄문(坦文)의 사리를 모셔놓고 있다. 법인국사는 신라 말과 고려 초에 활약한 유명한 승려로, 광종 19년(968)에 왕사(王師), 974년에 국사(國師)가 되었고,.. 2015. 6. 27. [충남]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종 목 : 보물 제106호 명 칭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瑞山 普願寺址 法印國師塔碑) 분 류 : 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19-2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서산시 보원사는 고란사라고도 하며, 이 절에 관한 역사는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주변에 담아있는 유물들을 볼 때 규모가 큰 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다. 비받침인 귀부(龜趺)는 거북모양이나, 머리는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의 모습으로, 목은 앞으로 빼고 콧수염은 뒤로 돌아 있으며 눈은 크게 튀어 나와 있다. 등 위에는 3단받침을 하고 비를 얹었으며, 비머리는 네 귀퉁이에서 안쪽을 바라보는 용을 새기고, 앞·뒷면에는 구름무늬를.. 2015. 6. 27. [충남]예산 향천사 부도 예산 향천사부도 종 목 : 문화재자료 제179호 (충남)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2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예산군 예산읍 향천리 57 시 대 : 시대미상 소유자 : 향천사 관리자 : 향천사 연락처 : 충청남도 예산군 경영관리실 041-330-2314 부도는 승려의 무덤을 상징하여 그 유골이나 사리를 모셔둔다.향천사 천불전에서 서쪽으로 약 70m 정도 떨어진 곳에 자리하고 있는 이 2기의 부도는 각각 백제말 이 절을 창건하였던 의각스님의 사리와 조선 임진왜란 당시 승병을 모아 금산전투에 참여하였던 멸운스님의 사리를 모시고 있다.앞에서 보았을 때 왼쪽으로 보이는 부도는 바닥돌 위로 아래·가운데·위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 기단(基壇)을 .. 2015. 6. 27. 이전 1 ··· 6 7 8 9 10 11 12 ··· 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