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문화유산561 충남 서산 여미리석불입상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32호 명 칭 : 서산여미리석불입상 (瑞山余美里石佛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 량 : 1구 지정일 : 1989.12.29 소재지 : 충남 서산시 운산면 여미리 산17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여미리부락 관리자 : 여미리부락 문 의 : 충청남도 서산시 문화관광과 041-660-3023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여미리에 있는 불상으로, 1970년대 지금의 위치에서 1㎞ 떨어진 용장천 정비사업 때 하천에서 발견되어 현재의 위치로 옮긴 것이다. 전해오는 이야기에 의하면 이 냇가에서 5㎞ 쯤 거슬러 올라간 상류에 2구의 불상이 있었는데, 그 중 하나가 떠내려온 것이라고 하나 정확하지는 않다. 화강암으로 얼굴과 손등을 조각했으나 옆과 뒷면에는 거친 못 .. 2017. 1. 5. 충남 서산 유기방가옥 종 목 :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제23호 명 칭 : 서산유기방가옥 (瑞山유기방家屋) 분 류 :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가옥 수량/면적 : 4770㎡ 지정일 : 2005.10.31 소재지 : 운산면 여미리 203-1번지 운산면 이문안길 72-10 시 대 : 일제강점기 소유자 : 관리자 : 문 의 : 충청남도 서산시 문화관광과 041-660-3023 송림이 우거진 낮은 야산을 배경으로 남향하여 자리하고 있다. 북으로ㅡ자형의 안채와 서측의 행랑채, 동측에는 안채와의 사잇담과 근래에 지은 주택이 안마당을 형성하고있다. 안채와 우측으로 ㄴ자형의 사랑채와 행랑채가 서로 마주보고있다. 원해 안채앞에 중문채가 있었던것을 1988년에 헐어내고 현재와 같이 누각형 대문채를 건립하였다. 사랑마당과 안마당은 담장으.. 2017. 1. 5. 전남 구례 화엄사 석등외 종 목 : 국보 제12호 명 칭 :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求禮 華嚴寺 覺皇殿 앞 石燈)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석등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539, 화엄사 (황전리) / (지번)전남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12 화엄사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화엄사 관리자 : 화엄사 화엄사 각황전 앞에 세워진 이 석등은 전체 높이 6.4m로 한국에서 가장 커다란 규모이다. 석등은 부처의 광명을 상징한다 하여 광명등(光明燈)이라고도 하는데, 대개 사찰의 대웅전이나 탑과 같은 중요한 건축물 앞에 배치된다.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로는 3단의 받침돌을 두고, 위로는 지붕돌을 올린 후 꼭대기에 머리장식을 얹.. 2017. 1. 4. 서울 종로 종묘 명 칭 : 종묘 (宗廟)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궁궐·관아/ 사우 수량/면적 : 200,545㎡ 지정일 : 1963.01.18 소재지 : 서울 종로구 종로 157 (훈정동)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문화재청 종묘관리소 종묘는 조선왕조의 왕과 왕비, 그리고 죽은 후 왕으로 추존된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시는 사당이다. 종묘는 본래의 건물인 정전과 별도의 사당인 영녕전을 비롯하여 여러 부속건물이 있다. 태조 3년(1394)에 한양으로 도읍을 옮기면서 짓기 시작하여 그 이듬해에 완성되었다. 태조는 4대(목조, 익조, 도조, 환조)의 추존왕을 정전에 모셨으나, 세종 때 정종이 죽자 모셔둘 정전이 없어 중국 송나라 제도를 따라 세종 3년(1421) 영녕전을 세워 4대 추존왕의 신위.. 2017. 1. 4. 충남 서산 보원사지 당간지주 종 목 : 보물 제103호 명 칭 : 서산 보원사지 당간지주 (瑞山 普願寺址 幢竿支柱)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당간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05, 992번지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서산시 절에서는 기도나 법회 등의 의식이 있을 때, 절 입구에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이 깃발을 달아두는 장대를 당간(幢竿)이라 하며,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고 한다.이곳은 옛 절터로, 지금은 주변이 모두 경작지로 변하였는데, 땅을 갈 때 가끔 기와조각이 발견되고 있다. 지주는 절터 동쪽에 있으며, 70㎝정도 간격을 두고 마주 서 있다. 안쪽면에는 아무런 .. 2016. 8. 30. 전북 전주 오목대 종 목 : 전라북도 기념물 제16호 명 칭 : 오목대이목대 (梧木臺梨木臺) 분 류 :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역사사건/ 역사사건 수량/면적 : 일원2필지(23,267.7㎡ 지정일 : 1974.09.24 소재지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기린대로 55 (교동, 오목대) 시 대 : 소유자 : 관리자 : 전주시 문 의 : 전라북도 전주시 전통문화시설과 063-281-2168 오목대는 고려 우왕 6년(1380) 운봉 황산에서 왜구를 크게 무찌른 이성계가 개선길에 잠시 머물렀던 곳이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대한제국 광무(光武) 4년(1900)에 비석을 건립했는데, 태조가 잠시 머물렀던 곳이라는 뜻의 라는 비문은 고종황제가 직접 쓴 친필을 새긴 것이다. 이목대는 이성계의 5대 할아버지인 목조(穆祖) 이안사(李安社.. 2016. 8. 28. 전북 전주 전주향교 명륜당 전북 전주향교 명륜당 2016.02.10 문현준 전주향교 이전글보기 2015/08/17 - [한국의문화유산/전라권] - [전북]전주 전주향교 대성전 2013/05/02 - [한국의문화유산/전라권] - [전북]전주 전주향교 2016. 8. 28. 경북 영주 부석사 석조여래좌상 종 목 : 보물 제1636호 명 칭 : 영주 부석사 석조석가여래좌상 (榮州 浮石寺 石造釋迦如來坐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량/면적 : 1구 지정일 : 2010.02.24 소재지 :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8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부석사 관리자 : 부석사 부석사 자인당에는 거의 같은 규모의 여래삼존상이 봉안되어 있다. 2구는 지권인의 비로자나불상이며, 1구는 항마촉지인의 석가모니불의 도상특징을 보여준다. 이 불상은 1958년 11월 부석사 동쪽의 약사곡에서 옮겨온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자인당에 이미 보물로 지정된 두 구의 석조비로자나불좌상과 함께 봉안되어 있다. 이 석조여래좌상은 동그란 얼굴, 항마촉지인의 수인과 꽃문양이 조각된 승각기, 부드러우면서도 사실적인 옷주.. 2016. 8. 21. 경북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앞석등 종 목 : 국보 제17호 명 칭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 (榮州 浮石寺 無量壽殿 앞 石燈)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석등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사로 345 (부석면, 부석사)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부석사 관리자 : 부석사 부석사 무량수전 앞에 세워져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등으로 부처의 광명을 상징한다 하여 광명등(光明燈)이라고도 하며, 대개 대웅전이나 탑과 같은 중요한 건축물 앞에 세워진다.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로는 3단의 받침돌을 두고, 위로는 지붕돌을 올린 후 꼭대기에 머리장식을 얹어 마무리한다. 4각 바닥돌은 옆면에 무늬를 새겨 꾸몄으며, 그 위의 아래받침돌은 큼직한 연꽃 조각을.. 2016. 8. 21.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