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문화유산561

충남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종 목 : 보물 제105호 명 칭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瑞山 普願寺址 法印國師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19-2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서산시 승려의 사리를 모셔놓은 탑은 사리탑 혹은 탑이라 하여 절의 한켠에 세워두며, 사리를 넣어두는 탑신(塔身)을 중심으로, 아래에는 이를 받쳐주는 기단부(基壇部)를 쌓고, 위로는 머리장식을 얹어둔다. 이 탑은 보원사(普願寺)터에 세워져있는 사리탑으로, 법인국사 탄문(坦文)의 사리를 모셔놓고 있다. 법인국사는 신라 말과 고려 초에 활약한 유명한 승려로, 광종 19년(968)에 왕사(王師), 974년에 국사(國師)가 되었고,.. 2016. 3. 20.
충남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종 목 : 보물 제106호 명 칭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瑞山 普願寺址 法印國師塔碑) 분 류 : 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19-2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서산시 보원사는 고란사라고도 하며, 이 절에 관한 역사는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주변에 담아있는 유물들을 볼 때 규모가 큰 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다. 비받침인 귀부(龜趺)는 거북모양이나, 머리는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의 모습으로, 목은 앞으로 빼고 콧수염은 뒤로 돌아 있으며 눈은 크게 튀어 나와 있다. 등 위에는 3단받침을 하고 비를 얹었으며, 비머리는 네 귀퉁이에서 안쪽을 바라보는 용을 새기고, 앞·뒷면에는 구름무늬를.. 2016. 3. 20.
전남 나주 금성관 종 목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호 명 칭 : 나주금성관 (羅州錦城館)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궁궐·관아/ 관아 수량/면적 : 1동 지정일 : 1972.01.29 소재지 : 전남 나주시 금성관길 8 (과원동) 관리자 : 나주시 문 의 : 전라남도 나주시 문화공보실 061-333-5891 객사는 고려·조선시대에 각 고을에 설치하였던 것으로 관사 또는 객관이라고도 한다. 객사는 고려 전기부터 있었으며 외국 사신이 방문했을 때 객사에 묵으면서 연회도 가졌다. 조선시대에는 객사에 위패를 모시고, 초하루와 보름에 궁궐을 향해 예(망궐례)를 올리기도 하였으며 사신의 숙소로도 이용하였다. 나주 금성관은 조선 성종 6∼10년(1475∼1479) 사이에 나주목사 이유인이 세웠다. 일제시대에는 내부를 고쳐 .. 2016. 3. 12.
전남 나주읍성 영금문(서성문) 종 목 : 사적 제337호 명 칭 : 나주읍성 (羅州邑城)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지 수량/면적 : 30,260㎡ 지정일 : 1990.10.31 소재지 : 전남 나주시 남내동 2-20번지 외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관리자 : 나주시 고려시대에 쌓은 성으로 조선 세조 3년(1457)에 성을 확장했고, 임진왜란(1592) 후에 대대적인 보수 공사가 있었다. 돌을 쌓아 만든 것으로 둘레는 3,126척(약 940m), 높이는 9척(약 2.7m)이며 대포를 쏠 수 있는 성벽에 나온 포루가 3개이고, 우물이 20여 개 있었다고 한다. 성문은 4개로 동·서·남·북에 있었으나 현재는 모두 없어지고 북문터에 기초석만 남아있다. 1993년 남문터에 복원한 남고문이 있는데, 2층으로 된 누(樓)는.. 2016. 3. 12.
충북 영동 반야사 부도 영동군 향토유적 제10,11호 반야사부도 2015.08.21 문현준 반야사 이전글보기 2011/10/14 - [한국의석탑/충청북도] - [충북]영동 반야사삼층석탑 2011/10/13 - [한국의석탑/충청북도] - [충북]영동 반야사 삼층석탑 2011/10/07 - [한국의법당/충청권] - [충북]영동 반야사 2011/10/07 - [한국의석탑/충청북도] - [충북]영동 반야사 삼층석탑 2015. 12. 22.
전북 전주 풍남문 종   목 : 보물  제308호  명   칭 : 전주 풍남문 (全州 豐南門)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곽시설  수   량 : 면적 1동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전북 전주시 완산구 풍남문3길 1 (전동)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전주시  읍성은 지방행정의 중심지가 되는 고을을 둘러쌓았던 성을 말한다. 옛 전주읍성의 남쪽문으로 선조 30년(1597) 정유재란 때 파괴된 것을 영조 10년(1734) 성곽과 성문을 다시 지으면서 명견루라 불렀다. ‘풍남문’이라는 이름은 영조 43년(1767) 화재로 불탄 것을 관찰사 홍낙인이 영조 44년(1768) 다시 지으면서 붙인 것이다. 순종 때 도시계획으로 성곽과 성문이 철거되면서 풍남문도 많은 손상을 .. 2015. 12. 21.
경남 진주 진주성야경 종 목 : 사적 제118호 명 칭 : 진주성 (晋州城)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곽 수량/면적 : 171,805㎡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626 (본성동, 진주성)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관리자 : 진주시 진주성은 진주의 역사와 문화가 집약되어 있는 진주의 성지(聖地)이다. 본시 토성이던 것을 고려조 우왕 5년(1379)에 진주목사 김중광(金仲光)이 석축하였다. 조선조 선조 24년(1591) 7월, 경상감사 김수(金수:1537∼1615)는 진주성을 수축하고 외성(外城)을 쌓았다. 동 25년(1592) 10월, 임진왜란 제1차 진주성 전투에서는 진주목사 김시민(金時敏:1554∼1592)이 3,800명의 군사로서 3만 여명의 왜적을 물리쳐 진.. 2015. 12. 17.
충남 예산 예산읍삼층석탑 명 칭 : 예산읍삼층석탑 (禮山邑三層石塔)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75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예산군 덕산면 상가리 227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보덕사 관리자 : 보덕사 문 의 : 충청남도 예산군 문화관광과 041-339-7323 보덕사 내에 자리하고 있는 3층 석탑이다. 원래는 근처의 가야사터에 있었으나, 1914년 일본인이 몰래 반출하려던 것을 보덕사 주지의 항의로 돌려 받아 이 절에 남아 있게 되었다. 2층의 기단(基壇) 위로 3층으로 이루어진 탑신(塔身)을 올려놓은 모습인데, 처음에는 5층이었던 것이 훼손되어 3층 까지만 남게 되었다 한다 자료바로가기 : 문화재청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75.. 2015. 11. 26.
전남 진도 남도진성(남도석성) 종 목 : 사적 제127호 명 칭 : 진도 남도진성 (珍島 南桃鎭城)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곽 수량/면적 : 41,368㎡ 지정일 : 1964.06.10 소재지 : 전남 진도군 임회면 남동리 149번지 시 대 : 삼국시대 소유자 : 관리자 : 진도군 고려 원종(재위 1259∼1274), 삼별초가 진도에서 몽골과 항쟁을 벌일 때 해안지방을 방어하기 위해 쌓은 성으로, 삼별초가 제주도로 옮겨갈 때 이곳에서 출발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백제 때 진도에는 3개의 마을이 있었고 그 중 한 마을의 중심지가 이곳으로 여겨지는데, 통일신라를 거쳐 고려시대까지 이어져 오는 것을 보면, 삼국시대에 이미 성이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13세기부터는 왜구가 나타나서 노략질을 계속해 오자, 고려 충정왕 2년.. 2015. 1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