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문화유산561 전남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종 목 : 보물 제152호 명 칭 :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求禮 鷰谷寺 玄覺禪師塔碑) 분 류 : 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전남 구례군 토지면 피아골로 806-16, 연곡사 (내동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연곡사 관리자 : 연곡사 연곡사에 있는 비(碑)로, 고려 전기의 승려 현각선사를 기리기 위해 세운 것이다. 임진왜란 당시 비몸돌이 없어져 현재는 받침돌과 머릿돌만 남아 있다. 비를 받치고 있는 돌거북은 부리부리한 두 눈과 큼직한 입이 웅장하며, 수염을 가진 용머리를 하고 있다. 등 중앙에 마련된 비를 꽂아두는 부분에는 안상(眼象)과 꽃조각이 새겨져 있다. 받침돌 위에 놓여 있는 비의 머릿돌에는 여러 마리의 용이 서로 얽.. 2015. 10. 23. 전남 구례 연곡사 북 승탑 종 목 : 국보 제54호 명 칭 : 구례 연곡사 북 승탑 (求禮 鷰谷寺 北 僧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전남 구례군 토지면 피아골로 806-16, 연곡사 (내동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연곡사 관리자 : 연곡사 부처님의 사리를 모시는 곳이 탑이라면, 수행이 높았던 스님의 사리를 두는 곳이 승탑이다. 구성은 석탑과 비슷해서, 기단(基壇) 위에 사리를 모시는 탑신(塔身)을 두고 그 위에 머리장식을 얹게 된다. 이 승탑은 연곡사 내의 북쪽 산 중턱에 네모나게 둔 바닥돌 위로 세워져 있으며, 전체적으로 8각형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연곡사는 고려 초까지 스님들이 선(禪)을 닦는 절로 이름이 높았는데, 이 때문인지 이 .. 2015. 10. 23. 전남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 종 목 : 보물 제154호 명 칭 :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 (求禮 鷰谷寺 逍遙大師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전남 구례군 토지면 피아골로 806-16, 연곡사 (내동리)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연곡사 관리자 : 연곡사 연곡사는 통일신라시대에 연기조사가 창건하였으며, 고려 전기까지 선을 닦는 도량으로 이름이 높았던 사찰이다. 이 탑은 연곡사 서쪽에 있으며, 소요대사의 사리를 모셔두고 있다. 승려의 사리를 두는 탑신(塔身)을 중심으로 그 아래에 기단(基壇)을 두고, 위로는 머리장식을 얹었으며, 각 부분이 8각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단은 3단으로 나누어 각 단마다 연꽃무늬를 새겼으며, 그 위로 탑신을 받치도록 두툼한 .. 2015. 10. 23. 전남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종 목 : 보물 제153호 명 칭 :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求禮 鷰谷寺 東 僧塔碑) 분 류 : 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전남 구례군 토지면 피아골로 806-16, 연곡사 (내동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연곡사 관리자 : 연곡사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된 연곡사에는 승려의 사리를 모셔놓은 승탑이 3개 있는데, 이 비(碑)는 동승탑 앞쪽에 서 있는 비로, 비몸돌이 없어진 채 받침돌과 머릿돌만이 남아 있다. 받침돌은 네 다리를 사방으로 쭉 뻗고 엎드린 용의 모습을 하고 있으나 사실성이 떨어지며, 잘려진 것을 복구해 놓아 부자연스럽다. 용의 등에는 새 날개 모양의 무늬를 조각해 놓아 새로운 느낌이다. 등 중앙에 비를 끼우도록 마련된 .. 2015. 10. 23. 전남 구례 연곡사 동 승탑 종 목 : 국보 제53호 명 칭 : 구례 연곡사 동 승탑 (求禮 鷰谷寺 東 僧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전남 구례군 토지면 피아골로 806-16, 연곡사 (내동리)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연곡사 관리자 : 연곡사 탑이 부처의 사리를 모시는 곳이라면, 승탑은 유명했던 스님들의 사리를 두는 곳이다. 승탑의 구성은 석탑과 같아서, 기단(基壇) 위에 사리를 모시는 탑신(塔身)을 두고 그 위에 머리장식을 얹는다. 이 승탑은 연곡사의 동쪽에 네모난 바닥돌위로 세워져 있으며, 전체적으로 8각형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연곡사는 고려 전기까지 스님들이 선(禪)을 닦는 절로 이름이 높았는데, 이 때문인지 이곳에는 이 승탑 외에도 .. 2015. 10. 23. 전남 구례 연곡사 의병장 고광순 순절비 전남 구례 연곡사 의병장 고광순 순절비 2015.05.04 문현준 2015. 10. 23. 충남 아산 맹씨행단 및 구괴정(삼상당) 충남 아산 맹씨행단,구괴정 2015.05.01 문현준 2015. 10. 8. 경기 이천 영월암 마애여래입상 종 목 : 보물 제822호 명 칭 : 이천 영월암 마애여래입상 (利川 映月庵 磨崖如來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량/면적 : 1좌 지정일 : 1985.01.08 소재지 : 경기 이천시 관고동 산64-1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이천시 높이 7∼8m의 자연 암석을 다듬고 바위면 전체에 꽉 채워 조각한 마애불로 전체적으로 장대하며 힘찬 솜씨를 보이고 있어 고려 초기에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머리와 양 손은 얕은 돋을새김으로 표현하였고 옷주름 등은 선으로 조각되었다. 원만하고 둥근 얼굴에 이목구비가 크고 뚜렷하며 지그시 감은 듯한 눈과 굵직한 코, 두터운 입술 등에서 힘차고 후덕한 고승의 느낌을 갖게 한다. 양 손은 가슴에 모아 엄지와 약지를 맞대고 있으며, 손.. 2015. 10. 2. 2015 문화유산채널 사진전 (순회전) 사진으로 만나는 우리의 문화유산 2015 문화유산채널 사진전시회 (순회전) 2015년09월21일 부터 10월08일까지 세종특별자치시 교육청 1층로비 문화유산채널 사진작가모임에서 지난 서울전시에 이어 금번에는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순회전을 가집니다. 우리의 문화유산에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2015. 9. 19.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