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문화유산561 [경남]합천 영암사지 쌍사자석등 및 귀부 종 목 : 보물 제353호 명 칭 : 합천 영암사지 쌍사자 석등 (陜川 靈岩寺址 雙獅子 石燈)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석등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경남 합천군 가회면 황매산로 637-97 (둔내리)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합천군 영암사터에 세워진 통일신라시대의 석등으로, 1933년경 일본인들이 불법으로 가져가려는 것을 마을 사람들이 막아 면사무소에 보관하였다가 1959년 절터에 암자를 세우고 원래의 자리로 옮겨 놓았다. 석등은 일반적으로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하여, 아래로는 이를 받치기 위한 3단의 받침을 두고, 위로는 지붕돌을 얹었다. 이 석등은 사자를 배치한 가운데받침돌을 제외한 각 부분이 모두 통일신라.. 2015. 7. 17. [경남]합천 백암리석등 및 대동사지석조여래좌상 종 목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2호 명 칭 : 대동사지석조여래좌상 (大同寺址石造如來坐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량/면적 : 1좌 지정일 : 1972.02.12 소재지 : 경상남도 합천군 대양면 백암리 102 시 대 소유자 : 관리자 : 문 의 : 경상남도 합천군 문화체육과 055-930-3175 경상남도 합천군 대양면의 대동사 절터에 있는 불상으로 8각의 연꽃무늬 대좌 위에 앉아 있으며 얼굴 부분의 마멸이 심하지만 전체적인 보존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머리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높이 솟아 있고, 옷은 양 어깨를 감싸고 있다. 가슴은 넓게 트여 있고, 상체에서부터 흘러내린 옷주름은 무릎을 감싸고 있다. 손모양은 오른손을 무릎 위에 올리고 손끝이 아래를 향하고 있는 모습으로 .. 2015. 7. 17. [전남]장성 백양사 만암당탑 장성 백양사 만암당탑 2014.12.28 문현준 백양사 이전글보기 2011/09/19 - [한국의석탑/전라남도] - [전남]장성 백양사팔층석탑 2011/09/19 - [한국의법당/전라권] - [전남]장성 백양사 2015. 7. 8. [전북]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종 목 : 보물 제38호 명 칭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南原 實相寺 證覺大師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전북 남원시 산내면 입석길 94-129, 실상사 (입석리)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실상사 관리자 : 실상사 홍척국사의 사리를 모신 탑으로, 팔각의 평면을 기본으로 삼고 있는 전형적인 팔각원당형 탑이다. 홍척은 통일신라 후기의 승려로 시호는 ‘증각’이다. 탑은 기단(基壇)은 팔각형의 석재를 여러층 쌓은 뒤 연꽃이 피어있는 모양의 돌을 올렸다. 각 면의 조각들은 닳아 없어져 거의 형체를 알아보기가 힘들고 윗받침돌의 연꽃잎만이 뚜렷하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로 구성되었는데 낮은 편이다. 몸돌은 기둥 모양을 새겨 .. 2015. 7. 3. [전북]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종 목 : 보물 제39호 명 칭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南原 實相寺 證覺大師塔碑) 분 류 : 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전북 남원시 산내면 입석길 94-129, 실상사 (입석리)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실상사 관리자 : 실상사 실상사에 있는 증각대사의 탑비이다. 증각대사는 일명 홍척국사 ·남한조사로 불리며, 통일신라 헌강왕 때에 당나라에 들어갔다가 흥덕왕 1년(826)에 귀국한 뒤 구산선문의 하나인 실상사파를 일으켜 세운 고승이다. 비는 비몸돌이 없어진 채 현재 거북받침돌과 머릿돌만이 남아있다. 받침돌은 용의 머리를 형상화 하지않고 거북의 머리를 그대로 충실히 따랐다. 머릿돌은 경주의 ‘태종무열왕릉비’계열에 속하는 우수한.. 2015. 7. 3. [전북]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종 목 : 보물 제34호 명 칭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南原 實相寺 秀澈和尙塔碑) 분 류 : 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전북 남원시 산내면 입석길 94-129, 실상사 (입석리)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실상사 관리자 : 실상사 실상사에 위치한 수철화상의 탑비이다. 수철화상은 통일신라 후기의 승려로, 본래 심원사에 머물다가 뒤에 실상사에 들어가 수도하였다. 진성여왕 7년(893) 5월 77세로 이 절에서 입적하자 왕이 시호와 탑명을 내렸다고 한다. 비문에는 수철화상의 출생에서 입적까지의 행적과 사리탑을 세우게 된 경위 등을 기록하고 있다. 그는 실상사에서 입적하였으나 심원사의 승려이었기 때문에 비문에는 ‘심원사수철화상’으로.. 2015. 7. 3. [전북]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 종 목 : 보물 제33호 명 칭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 (南原 實相寺 秀澈和尙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전북 남원시 산내면 입석길 94-129, 실상사 (입석리)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실상사 관리자 : 실상사 실상사 안에 있는 극락전을 향하여 그 오른쪽에 서 있는 탑으로, 수철화상의 사리를 모셔 놓은 사리탑이다. 수철화상은 신라 후기의 승려로, 본래 심원사(深源寺)에 머물다가 후에 실상사에 들어와 이 절의 두번째 창건주가 되었다. 진성여왕 7년(893)에 77세로 입적하니, 왕은 그의 시호를 ‘수철화상’이라 하고, 탑 이름을 ‘능가보월’이라 내리었다. 탑은 신라 석조부도의 전형적인 양식인 8각의 평면을 기본.. 2015. 7. 3. [전북]남원 실상사 석장승 종 목 : 중요민속문화재 제15호 명 칭 : 남원 실상사 석장승 (南原 實相寺 石長栍)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민간신앙/ 마을신앙 수량/면적 : 3기 지정일 : 1969.12.15 소재지 : 전북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 33-1번지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실상사 관리자 : 실상사 장승은 민간신앙의 한 형태로 마을이나 사찰 입구에 세워져 경계를 표시함과 동시에 잡귀의 출입을 막는 수호신의 구실을 한다. 실상사 입구에 있는 3기의 돌장승 역시 경계표시와 함께 경내의 부정을 금하는 뜻에서 세운 것으로 보여진다. 만수천의 해탈교를 건너기 전 마을쪽에 있는 돌장승이 옹호금사축귀장군(擁護金沙逐鬼將軍)이고, 해탈교를 건너자 마자 길 좌우에 2기의 돌장승이 마주보고 서 있다. 오른쪽 논두렁 가에 있는.. 2015. 7. 3. [충남]서산 보원사지 당간지주 종 목 : 보물 제103호 명 칭 : 서산 보원사지 당간지주 (瑞山 普願寺址 幢竿支柱)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당간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05, 992번지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서산시 절에서는 기도나 법회 등의 의식이 있을 때, 절 입구에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이 깃발을 달아두는 장대를 당간(幢竿)이라 하며,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고 한다.이곳은 옛 절터로, 지금은 주변이 모두 경작지로 변하였는데, 땅을 갈 때 가끔 기와조각이 발견되고 있다. 지주는 절터 동쪽에 있으며, 70㎝정도 간격을 두고 마주 서 있다. 안쪽면에는 아무런 .. 2015. 6. 27.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