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문화유산561

[충남]아산 맹씨행단 종 목 : 사적 제109호 명 칭 : 아산 맹씨 행단 (牙山 孟氏 杏壇)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제사유적/ 제사터 수량/면적 : 7,856㎡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아산시 배방읍 중리 300번지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관리자 : 아산시 조선 전기 청백리로 유명한 고불 맹사성(1360∼1438) 가족이 살던 집으로, 원래 고려 후기에 최영 장군이 지은 집이라고 전하기도 한다.맹사성은 고려말 · 조선초의 문신으로, 최영 장군의 손주사위이다. 고려 우왕 12년(1386) 문과에 급제하여 춘추관검열, 전의시승 등을 지내고 조선 태조 때에는 예조의랑, 이조참의, 예문관대제학, 우의정의 벼슬을 했다. 사람됨이 소탈하고 조용하며, 효성이 지극하였으나, 조정의 중요한 일을 의.. 2015. 4. 27.
[전북]군산 발산리석등 종 목 : 보물 제234호 명 칭 : 군산 발산리 석등 (群山 鉢山里 石燈)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석등 수 량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전북 군산시 개정면 바르메길 43 (발산리)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군산시 원래는 완주지역에 세워져 있던 석등으로, 일제강점기에 지금의 자리로 옮겨 세웠다. 불을 켜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로는 이를 받쳐주는 3단의 받침돌을 두고,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 받침의 가운데기둥은 사각의 네 모서리를 둥글게 깍은 모습으로, 표면에 구름 속을 요동치는 용의 모습을 새겼는데, 이러한 형태는 우리나라에서는 하나밖에 없는 독특한 모습이다. 화사석은 4각의 네 모서리를 둥글게 깍아 8각.. 2015. 4. 24.
[대전]유성 숭현서원지 종 목 : 대전광역시 기념물 제27호 명 칭 : 숭현서원지 (崇賢書院址) 분 류 :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교육기관/ 서원 수량/면적 : 7,000㎡(비1기) 지정일 : 1992.07.22 소재지 : 대전 유성구 원촌동 산35-1번지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관리자 : 회덕향교 문 의 : 대전광역시 유성구 문화공보실 042-611-2078 숭현서원은 정광필·김정·송인수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정광필(1462∼1538)은 조선 전기 문신으로 우의정과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을 역임한 분이다. 김정은 조선 전기 문신이며 학자로 이조참판, 대사헌 등을 거쳐 형조판서를 역임하였다. 시문에도 능하였고 조광조와 함께 사림파의 대표적인 인물로 알려져 있다. 송인수는 조선 중기 문신으로 사헌.. 2015. 4. 22.
[대전]회덕 동춘당 종 목 : 보물 제209호 명 칭 : 대전 회덕 동춘당 (大田 懷德 同春堂) 분 류 :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가옥 수량/면적 : 1동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대전 대덕구 동춘당로 80 (송촌동)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송영진 관리자 : 송영진 조선 효종 때 대사헌, 이조판서, 병조판서를 지낸 동춘당(同春堂) 송준길(1606∼1672)선생의 별당(別堂)이다. 늘 봄과 같다는 뜻의 동춘당(同春堂)은 그의 호를 따서 지은 것으로 이곳에 걸린 현판은 송준길 선생이 돌아가신 6년 후 숙종 4년(1678)에 우암 송시열이 쓴 것이다. 조선시대 별당 건축의 한 유형으로, 구조는 비교적 간소하고 규모도 크지 않다.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이며, 평면으로는 총 6칸 중 오른쪽 4.. 2015. 4. 22.
[대전]동구 남간정사 종 목 :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호 명 칭 : 남간정사 (南澗精舍) 분 류 :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가옥 수량/면적 : 1동 지정일 : 1989.03.18 소재지 : 대전 동구 충정로 53 (가양동) 소유자 : 관리자 : 송영달 문 의 : 대전광역시 동구 문화관광과 042-251-4204 낮은 야산 기슭 숲이 우거진 골짜기에 자리하고 있는 남간정사는 조선 중기의 대학자인 우암 송시열(1607∼1689)이 지은 것이다. 우암은 소제동에 살 때 서재를 짓고 능인암이라 하여 학문을 연마하였다. 숙종 9년(1683) 능인암 아래에 이 건물을 지었는데, 많은 제자를 기르고 그의 학문을 대성한 유서깊은 곳이다.앞면 4칸·옆면 2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 2015. 4. 22.
[경기]평택 심복사 석조비로자나물좌상 종 목 : 보물 제565호 명 칭 : 평택 심복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平澤 深福寺 石造毘盧遮那佛坐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량/면적 : 1구 지정일 : 1972.03.02 소재지 : 경기 평택시 현덕면 덕목5길 47-24, 심복사 (덕목리)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심복사 관리자 : 심복사 심복사 능인전 안에 모셔진 이 불상은 고려말에 파주군 몽산포에 살던 천노인(千老人)이 덕목리 앞바다에서 건져 올린 것이라고 전한다. 불상 모실 곳을 찾아 옮기던 중 광덕산에 있는 지금의 심복사 자리에 이르자 갑자기 무거워졌으므로 여기에 모시게 되었다고 한다.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그 위에 있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는 낮게 표현되어 있다. 둥글고 원만한 얼굴에 .. 2015. 4. 21.
[충남]공주 공산성야경 충남 공주 공산성야경 2014.10.05 문현준 공산성 이전글보기 2012/07/09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공주 공산성의봄 2012/06/14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공주 공산성야경 2015. 4. 20.
[경기]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종 목 : 보물 제488호 명 칭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安城 七長寺 慧炤國師碑) 분 류 : 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8.12.19 소재지 : 경기 안성시 죽산면 칠장로 399-18, 칠장사 경내 (칠장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칠장사 관리자 : 칠장사 혜소국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비이다. 혜소국사는 고려 광종 23년(972)에 안성에서 출생하여, 10세에 출가하였으며 17세에 융천사(融天寺)에서 가르침을 받았다. 국사는 말년을 칠장사에서 보내면서 많은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다 한다. 현재 비는 비받침인 귀부(龜趺)와 비몸돌·머릿돌이 각각 따로 놓여 있는 상태이다. 흑대리석으로 만든 비몸돌의 양쪽 옆면에는 상하로 길게 두 마리의 용을 새.. 2015. 4. 19.
[경기]안성 봉업사지석조여래입상 종 목 : 보물 제983호 명 칭 : 안성 봉업사지 석조여래입상 (安城 奉業寺址 石造如來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량/면적 : 1구 지정일 : 1989.04.10 소재지 : 경기 안성시 죽산면 칠장로 399-18, 칠장사 (칠장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칠장사 관리자 : 칠장사 원래 봉업사지에 있었던 것을 죽산중학교로 옮기고 그 뒤 다시 선덕여왕 5년(636년)에 자장율사가 세운 경기도 안성의 칠장사(七長寺)로 옮겼다. 불상과 광배(光背)가 같은 돌로 만들어졌으며 불상 높이는 1.57m이고 총 높이는 1.98m이다. 눈·코·입은 심하게 닳았고, 옷은 양 어깨를 감싸 입고 있다. 옷주름은 여러 겹의 둥근 모양을 이루며 자연스럽게 흐르고 있으며, 그 아래에는 치마가 양다리 .. 2015. 4.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