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문화유산561

[충남]홍성 상하리미륵불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87호 명 칭 : 홍성상하리미륵불 (洪城上下里彌勒佛)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량/면적 : 1구 지정일 : 1979.07.03 소재지 : 충남 홍성군 홍북면 상하리 산1-2번지 시 대 : 소유자 : 관리자 : 홍성군 문 의 : 충청남도 홍성군 문화공보실 041-630-1227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면 상하리에 있는 거대한 마애불이다. 민머리에 가늘고 긴 눈, 넓적하고 낮은 코, 비교적 작은 입이 평면적으로 표현되었고, 입가의 희미한 미소가 부드러운 인상을 풍긴다. 신체 역시 입체감 없이 평면적인데, 두 손을 아래위로 나란히 대고 있는 것만 표현했을 뿐 다른 것은 거의 생략되었다. 지방양식을 잘 드러내고 있는 관촉사 미륵보살입상(보물 제218호) 등 충청도.. 2014. 12. 8.
[충남]서산 보원사지 석조 종 목 : 보물 제102호 명 칭 : 서산 보원사지 석조 (瑞山 普願寺址 石槽)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기타 수량/면적 : 1개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50번지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서산시 서산 보원사터에 위치한 석조이다. 보원사는 고란사라고도 하며 사찰에 대한 역사는 전혀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1959년 국보 제84호인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이 발견되면서 큰 관심을 끌었던 곳이다. 석조는 승려들이 물을 담아 쓰던 돌그릇으로, 원형·팔각형·장방형 등이 있다. 이 석조는 화강석의 통돌을 파서 만든 직사각형 모양으로 통일신라시대의 일반적 형식을 보인다. 규모가 거대하며 표면에 아무 장식이 없어 장중해 보인다. 내부.. 2014. 12. 8.
[충남]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종 목 : 보물 제105호 명 칭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瑞山 普願寺址 法印國師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19-2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서산시 승려의 사리를 모셔놓은 탑은 사리탑 혹은 탑이라 하여 절의 한켠에 세워두며, 사리를 넣어두는 탑신(塔身)을 중심으로, 아래에는 이를 받쳐주는 기단부(基壇部)를 쌓고, 위로는 머리장식을 얹어둔다. 이 탑은 보원사(普願寺)터에 세워져있는 사리탑으로, 법인국사 탄문(坦文)의 사리를 모셔놓고 있다. 법인국사는 신라 말과 고려 초에 활약한 유명한 승려로, 광종 19년(968)에 왕사(王師), 974년에 국사(國師)가 되었고,.. 2014. 12. 8.
[충남]서산 보원사지 당간지주 종 목 : 보물 제103호 명 칭 : 서산 보원사지 당간지주 (瑞山 普願寺址 幢竿支柱)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당간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05, 992번지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서산시 절에서는 기도나 법회 등의 의식이 있을 때, 절 입구에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이 깃발을 달아두는 장대를 당간(幢竿)이라 하며,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고 한다. 이곳은 옛 절터로, 지금은 주변이 모두 경작지로 변하였는데, 땅을 갈 때 가끔 기와조각이 발견되고 있다. 지주는 절터 동쪽에 있으며, 70㎝정도 간격을 두고 마주 서 있다. 안쪽면에는 아무런 장식이 없으나, 바깥면에.. 2014. 12. 8.
[전북]익산 모현동 부도 높직한 기단위에 구형의 탑신을 안치하고 옥개석과 상륜을 갖춘 부도이다. 이부도는 조선 인조(1623-1649)대에 전라북도 군산시 서수면 무장리 보천사 연화당 스님의 후덕을 추모하기 위하여 제자들이 건립한것이다. 한때 군산시 서수면 장군리 민가(양일동)와 익산시 갈산동 민가(송주섭)의 정원에 옮겨졌었다.1960년데 현 혜봉원으로 옮겨져 오늘에 이르고 있다. 전북 익산 모현동 부도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3호 2014.05.10문현준 2014. 12. 2.
[전남]장흥 천관사 석등 종 목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34호 명 칭 : 천관사석등 (天冠寺石燈)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석등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6.02.07 소재지 : 전남 장흥군 관산읍 칠관로 1272-473 (농안리) 시 대 : 소유자 : 관리자 : 천관사 문 의 : 전라남도 장흥군 문화관광과 061-860-0228 천관사 극락보전 아래쪽에 놓여 있는 석등으로, 바닥돌을 제외한 각 부분이 8각을 이루고 있다.등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에는 3단의 받침을 두고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었다. 받침부분은 아래·윗받침돌에 서로 대칭되는 연꽃을 새기고, 그 사이는 기둥을 세워 가운데 받침을 삼았다. 화사석은 불빛이 퍼져나오도록 4곳에 창을 뚫었다. 지붕돌은 여덟 귀.. 2014. 11. 27.
[충북]괴산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 종 목 : 보물 제97호 명 칭 : 괴산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 (槐山 院豊里 磨崖二佛並坐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량/면적 : 2구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북 괴산군 연풍면 원풍리 산124-2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괴산군 높이가 12m나 되는 큰 암석을 우묵하게 파고, 두 불상을 나란히 배치한 마애불로서 우리나라에서는 드문 예이다. 둥근 얼굴에 가늘고 긴 눈, 넓적한 입 등 얼굴 전반에 미소가 번지고 있어 완강하면서도 한결 자비로운 느낌을 준다. 반듯한 어깨, 평평한 가슴 등 신체의 표현은 몸의 굴곡이 거의 드러나지 않고 형식화되었다. 옷은 양 어깨를 감싸고 있으며 옷주름은 무딘 선으로 형식적으로 표현하였다. 몸에서 나오는 빛을 상징.. 2014. 11. 19.
[충남]아산 온주아문및동헌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6호 명 칭 : 온주아문및동헌 (溫州衙門및東軒)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궁궐·관아/ 관아 수량/면적 : 1동 지정일 : 1973.12.24 소재지 : 충남 아산시 읍내동 817번지 아문159-6, 동헌 159-2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관리자 : 아산시 문 의 : 충청남도 아산시 문화관광과 041-540-2069 조선시대 온양군의 관아건물로, 아문과 동헌이 있다. 아문은 조선 고종 8년(1871)에 다시 세워진 건물이다. ‘온주아문(溫州衙門)’이라는 현판은 신라 문무왕 3년(663)에 온양군의 이름이 온주였던 것을 따서 붙인 듯하다.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이며, 아문건축에서 흔히 볼 수 있는 2층의 문루건물이다. 아래층은 통로로 사용하고 윗층은 누.. 2014. 11. 18.
[충남]아산 공세리성당 종 목 : 충청남도 기념물 제144호 명 칭 : 아산공세리성당 (牙山貢稅里聖堂)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천주교/ 성당 수 량 : 면적 8,988㎡ 지정일 : 1998.07.28 소재지 : 충남 아산시 인주면 공세리 194-1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대전교구천주교회 관리자 : 공세리 성당 문 의 : 충청남도 아산시 문화예술과 041-540-2069 인주면 공세리 언덕에 자리하고 있는 천주교 성당이다. 130여 평 규모에 본당·사제당·피정의 집·회합실 등의 건물이 있고 병인박해 때 순교한 3인의 묘가 조성되어 있다. 본당은 1층 적벽돌 건물로, 정면에는 높은 첨탑이 있고, 내부에는 무지개 모양의 회색 천장이 마련되어 있다. 사제관은 2층 벽돌 건물로, 정면이 팔자(八)계단으로 2층을 오르.. 2014. 1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