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문화유산561 [제주]용두암 종 목 : 기념물 제57호 명 칭 : 용연 용두암 (龍淵·龍頭岩) 분 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지구과학기념물/ 지질지형 수량/면적 : 6필지 지정일 : 2001.03.07 소재지 : 제주 제주시 용담1동 2581-4번지 등 관리자 : 제주시 제주도 서쪽에 위치한 용연과 그 주변 해안가에 있는 용암이다. 용연은 작은 연못과 같은 소(沼)를 말하는데, 취병담 또는 용추라고도 불린다. 조선시대 지방관리와 유배된 사람들이 풍류를 즐겼던 곳으로 특히 밤 경취가 매우 아름다워 뱃놀이를 하였다고 한다. 용두암은 약 50∼60만년 전의 용암류로 구성된 층으로 추정되는데, 밖으로 드러난 암석이 모두 붉은색의 현무암질로 되어 있다. 이 용두암은 용암이 위로 뿜어 올라가면서 만들어진 것으로 관찰되고 있어 지질학적으로.. 2014. 10. 16. [경북]경주 집경전구기 비 (숭정기원후 삼무오사월) 영조14년 즉 1738년에 건립 되었다는 비문. 경북 경주 집경전구기 비 구 경주여중에 위치 2013.12.22 문현준 2014. 10. 13. [경북]경주 읍성 종 목 : 사적 제96호 명 칭 : 경주읍성 (慶州邑城)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지 수량/면적 : 7,557㎡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경북 경주시 북부동 1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관리자 : 경주시 읍성이란 군이나 현의 주민을 보호하고, 군사적·행정적인 기능을 함께 하는 성을 말한다. 경주는 통일신라시대 이후 지방통치의 중심지였다. 주로 중심이 되는 지방도시에 읍성을 쌓았으므로 경주에 읍성이 있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정확히 언제 만들어졌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동경통지』에 고려 우왕 4년(1378) 다시 지었다는 기록이 있어 처음 이 성이 만들어진 것은 그 이전의 일이라고 짐작할 뿐이다. 지금의 읍성은 조선 전기에 다시 짓고, 임진왜란(1592) 때.. 2014. 10. 13. [경북]경주 주전지(집경전지) 경북 겨주 주전지(집경전지) 2013.12.22 문현준 2014. 10. 13. [경북]경주 동경관 종 목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호 명 칭 : 동경관 (東京館)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궁궐·관아/ 관아 수량/면적 : 1동 지정일 : 1985.08.05 소재지 : 경북 경주시 중앙로 64 (동부동) 시 대 : 소유자 : 관리자 : 경주시 문 의 : 경상북도 경주시 문화재과 054-779-6392 동경관은 원래 신라 왕실에서 사용하던 집기 등을 보관하던 곳이다.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외국 손님이나 중앙 관리들이 경주지방을 방문하였을 때 머물거나 대기하던 객사로 이용되었다. 지금 있는 건물은 조선 정조 10년(1786)경에 다시 지은 것으로 일부만 남아 있다. 3동(정청·동헌·서헌) 건물이었던 것을 일제시대에 국민학교로 사용하다가 해방 후 철거하고 서헌만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겼다. 건물을 옮.. 2014. 10. 13. [서울]창덕궁 종 목 : 보물 제383호 명 칭 : 창덕궁 돈화문 (昌德宮 敦化門)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궁궐·관아/ 궁궐 수량/면적 : 1동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서울 종로구 율곡로 99, 창덕궁 (와룡동)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창덕궁 돈화문은 창덕궁의 정문이다 ‘돈화(敦化)’라는 말은 원래 중용에서 인용한 것으로 ‘공자의 덕을 크게는 임금의 덕에 비유할 수 있다’는 표현으로 여기에서는 의미가 확장되어 ‘임금이 큰 덕을 베풀어 백성들을 돈독하게 교화 한다’는 뜻으로 쓰인 것이다. 보물 제 383호인 돈화문은 현존하는 궁궐의 대문 중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물로, 1412년 5월에 세워졌으며, 1609년(광해원년)에 중수(重修)했다고 한다. 돈화문에는 원래 현.. 2014. 9. 3. [전북]고창 중앙동할아버지당 종 목 : 중요민속문화재 제14호 명 칭 : 고창오거리당산 (高敞五巨里堂山)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제사유적/ 산신당 수 량 : 3기 지정일 : 1969.12.15 소재지 : 전북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 584-6번지 , 282-4, 878-1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읍내리마을 관리자 : 읍내리마을 고창읍 중앙동에 위치한 당산이다. 당산은 민간신앙에서 신이 있다고 믿고 섬기는 것으로, ‘당’혹은 ‘신당’이라고도 한다. 중앙동을 중심으로 동·서·남 방향의 상거리·하거리·중거리에 각각 1쌍의 당산이 있고, 마을 북쪽의 교촌리에 3기의 당산이 있다. 이곳에서는 각 쌍의 당산을 할아버지당, 할머니당으로 부르는데, 그 이름에 따라 외형을 구분할 수 있는 특징은 없다. 처음에는 당산 5곳 모두 자.. 2014. 8. 29. [충남]천안 삼태리마애여래입상 종 목 : 보물 제407호 명 칭 : 천안 삼태리 마애여래입상 (天安 三台里 磨崖如來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 량 : 1좌 지정일 : 1964.09.03 소재지 : 충남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휴양림길 70 (삼태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천안시 충청남도 천안시 풍세면 태학산의 해선암 뒷산 기슭 큰 바위에 높이 7.1m나 되는 거대한 불상이 조각되어 있으며 마애불 윗부분의 바위에는 건물이 있었던 흔적이 남아 있다. 얼굴 부분은 도드라지게 조각하고 신체는 선을 이용하여 표현하였는데, 이는 고려 후기 마애불의 일반적인 양식으로 이 작품이 만들어진 시기를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 민머리 위에는 둥근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큼직하게 솟아 있다. 양감있는 넓적한 .. 2014. 8. 29. [서울]종로 원주법천사지지광국사탑 종 목 : 국보 제101호 명 칭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原州 法泉寺址 智光國師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서울 종로구 세종로 1 경복궁 내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국립중앙박물관 이 탑 고려시대의 승려 지광국사 해린(984∼1070)을 기리기 위한 것으로, 원래 법천사터에 있던 것인데 일제시대에 일본의 오사카로 몰래 빼돌려졌다가 반환되었으며, 현재는 경복궁 경내에 있다. 일반적으로 통일신라 이후의 탑이 8각을 기본형으로 만들어진 것에 비해, 이 탑은 전체적으로 4각의 평면을 기본으로 하는 새로운 양식을 보여준다. 바닥돌은 네 귀퉁이마다 용의 발톱같은 조각을 두어 땅에 밀착된 듯한 안정감이 느껴지.. 2014. 8. 28. 이전 1 ··· 26 27 28 29 30 31 32 ··· 63 다음